건강 관련

[스크랩] Re: 체질을 알아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소음인,소양인,태양인등을 부탁올립니다.

별꽃바람 2009. 2. 25. 21:40
  • 체질을 알아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소음인,소양인,태양인등을 부탁올립니다.
  • 체질에 관해서는 수 없이 많은 자료가 있으므로 다 소개할 수는 없고 만일 그런다면 질려서 보시지도 않을 것 같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갖고 있는 수많은 체질 관련 자료 중 체질 판별 내용만을 정리한 자료를 올려 봅니다. 본문을 다 올리면 글자수 초과도 등록이 안 될 테니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작성한 글 일부를 올려 봅니다. 나머지는 첨부 파일을 참고하세요. 체질 판별 방법에 대해 이글은 지인이 체질에 대해 문의해 온 것에 대한 답장으로 쓴 것입니다. 편협한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임을 감안하고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체질론은 아직 완성된 이론이 아닙니다. 사상체질은 장기의 물리적인 대소가 아닌 기능상의 우열의 측면에서의 구분입니다. 사람에 따라 질병에 맞는 처방이 다른 것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것이 이제마의 사상의학입니다. 즉 폐대간소인 경우는 태양인, 간대폐소인 경우는 태음인, 비대신소인 경우는 소양인, 신대비소인 경우는 소음이라는 식이지요. 태양인은 하체가 부실하고 창의적이고 폐기능은 좋지만 간이 좋지 않은 경우, 땀을 많이 흘리면 개운한 체질이고 술이 센 경우 태음인, 땀이 잘 나지 않고 몸에 열이 많으며 상체가 발달한 경우 소양인, 몸이 차고 땀을 많이 흘리면 피곤하고 소화가 안 될 때가 많은 경우 소음인이라 합니다. 그러나 섭생이나 생활환경에 따라 체질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몸 상태도 달라지므로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정확하게 집어 낼 수 있는 체질을 가진 사람이라면 오히려 건강이 안 좋다는 증거입니다. 건강한 사람을 음양화평지인이라고 합니다. 이는 과유불급을 강조하는 동양철학의 중심이 건강에도 적용됨을 의미합니다. 체질을 말할 때 사상을 말하기 전에 음양을 먼저 말해야 합니다...더보기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별꽃바람83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