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스크랩] Re: 백회에 뜸을 떴더니..현상요..

별꽃바람 2009. 3. 5. 07:35
  • 백회에 뜸을 떴더니..현상요..
  • 아래 내용은 지난 추석에 김남수옹께서 출현하셔서 백회혈에 뜸을 뜨는 것을 보고 시청자 소감을 작성했던 것입니다. 참고로 봐주세요. 무극 보양뜸에 대해 나름 찾아보기도 하고 공부도 해 보았는데, 깊이 있게 공부하지 않고 무조건 따라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결론입니다. 김남수옹이나 그분에게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은 분들은 나름의 관이 있기 때문에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법을 아실지 모르지만 일반인은 주의할 점이 많습니다. 특히 백회혈과 같은 곳에 함부로 뜸을 뜨는 것은 특히 위험천만입니다. 백회혈과 관련한 시청자 소감 및 동의보감 내용 추석 특집으로 KBS1에서 방송한 구당김남수옹의 침뜸이야기를 보고 여러 이야기가 많습니다. 특히 백회혈에 뜸을 뜨면 좋다는 이야기 때문에 더욱 이견이 분분한 것 같습니다. 의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두한족열을 아실 겁니다. 발은 따듯하게 하고 머리는 차게 하면 건강하다는 말이죠.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 격언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물론 특별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 뜸에 대한 말을 찾아 보다 보면 기본적인 전제가 있습니다. 몸이 냉증으로 인해 병이 생겼거나 양기가 부족하고 음이 실해 병이 생긴 경우 사용합니다. 특히 설사를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특정 경락이 냉해지는 경우에 그 경락의 혈에 뜸을 뜨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뜸은 몸을 데우는 작용을 하므로 노인들에게는 많이 쓰입니다. 그러나 열이 많은 젊은 사람들에게는 금기입니다. 특히 백회혈은 양경락이 모이는 장소이므로 열이 많은 사람에게 뜸을 뜨면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당김남수선생님께서는 이런 기본적인 상식은 시청자가 다 알 것이라고 전제하고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더보기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별꽃바람83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