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Re:문진표 올립니다.

별꽃바람 2009. 5. 1. 23:52

자 가 진 단 차 트         

나이 : 만 44  키 :   150     몸무게 :   43  성별: 여    


1. 당신은 앞으로 살이 쪘으면 좋겠다.( 0 )  

                 살이 빠졌으면 좋겠다.(  )   지금이 적당하다.(  )


2. 당신의 체중에 최근 변화가 있었습니까?

살이 찌고 있다.(  )   살이 빠지고 있다.(  )   변화 없다( 0 )

---지난 겨울에 정신적인 고민으로 살이 2kg 빠진 이후로 살이 찌지않음.


3. 당신의 성격은 어떤 편에 속한다고 생각됩니까? 

급하고 참지 못한다.( 0 )   내색 못하고 참는다.(  )

---하지만 요즘은 내색을 못하고 참는 부분이 있음.


4. 평소 추위나 더위를 많이 타는 편이신가요?

추위를 많이 탄다.(  0  )   더위를 많이 탄다.(  )


5. 밤에 이불을 덮고 주무시나요?

꼭 덮고 자야한다.(  0  )   더워서 덮지 않는다.(  )


6. 평소 얼굴로 열이 달아오르는 느낌이 있으신가요?

있다.(  )   없다.(  0  )


7. 평소 손발이나 아랫배가 찬편인가요?

(손, 발, 아랫배)가 차다.(  0   )   차지 않다.(  )

손발이 찬 것보다는 가끔 저린 증상이 있음.


8.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었을 때 불편함을 느끼시나요?  

차가운 음식.( 0 )   맵거나 뜨거운 음식.(  )


9. 신체의 일부가 떨리거나 경련이 생길 때가 있나요? 

있다.(  )   없다.(  0  )

발이 저린 증상이 가끔,


10. 현재의 불편한 증상이 밤에 심한가요 낮에 심한가요?  

밤에 심하다.(  0  )   낮에 심하다(  )

잠자기 전에 발이 조금 저리고, 아침에 일어날 때 어깨가 조금 아프나 낮에 생활하면서는 별로 못 느낌.


11. 현재의 불편한 증상이 특히 심해지는 계절이 있나요? 

봄(  )   여름(  )   장마철(  )   가을(  )   겨울(  0  )

추위를 많이 느끼는 편임.


12. 흐리고 비오는 날 몸이 무겁다고 느껴지나요?

그렇다(  )   아니다(  0  )

몸은 무겁지 않은데...감정의 굴곡이 심함. 많이 우울해짐.

 

참고로... 갑상선 저하증 증상으로 갑상선 호르몬제를 복용중임.

  

150에 43이면 적당한 것 아닌가요? 원래 토기가 실했는데 단기적으로 신경쓸일이 있어 금기가 생기고 그로 인해 살이 빠진 것 같습니다. 갑상성기능저하증이라고 하셨는데 아무래도 약물의 부작용일수도 있고요.


일단 금수실증으로 보고 이야기를 전개해야겠군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는 것은 한의학적으로 보면 삼초경이나 심포경의 허증이라고 봐야 합니다. 귀하의 경우 감정의 굴곡이 심하다는 것을 보면 심포경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일단 삼부혈로는 대릉혈을 보하십시오. 몸이 많이 차고 하체에 혈액순환이 좋지 않으므로 소충혈을 짧게 보해 주세요. 평상시에 족탕을 자주 해 주시고 짧게 태충혈을 보하는 것도 생각해 보세요.


지압은 아래 그림을 화살표 방향으로 해 주시면 됩니다. 지압이 어려우면 긁어만 주셔도 됩니다. 방향이 틀리면 절대 안 됩니다.


평상시에 생강차 음양탕을 늘 드시면 몸도 따듯해지고 좋을 것입니다. 우울하신 부분은 귀비탕에 향부자를 동변초해서 다려 드시면 좋습니다. 정확한 처방은 한의사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참고로 귀비탕은 백출, 복령(去木), 황기(去蘆), 용안육, 산조인(炒, 去殼), 인삼 각 4그램, 목향(不見火) 각 2그램, 감초(炙) 1그램을 한첩으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여기에 어린남자아이 소변에 침한 향부자를 더해 다려 드시면 좋답니다. 감초를 볶아서 쓰는 것 잊지 마시고, 몸이 차기 때문에 인삼을 두 배로 하세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의 평화입니다. 모든 것은 시간이 지나면 별 것 아닙니다. 죽고 사는 것 차체도 추억이 될 수 있습니다. 늘 복 짓는 마음으로 세상을 너그럽게 대하십시오. 억울함을 밝히려 하지 말고, 손해가 아니라 보시를 한다는 생각으로 살다 보면 건강은 물론 삶도 윤택해 질 것입니다.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수궐음심포경 대릉혈(화목트 삼부혈) 보하는 방향

 

수소음심경 소충혈(화화목 이부혈) 보하는 방향

새끼 손가락 손톱 위 약지쪽입니다.

 

족궐음간경 태충혈(목목토 이부혈) 보하는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