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 공인 47종의 병증 치료법
김홍경선생님의 철학은 암기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해서 이런 내용은 이곳에 올리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제 홍경사랑의 회원님들의 수준이 음양관, 오운육기의 기본 개념은 통달하셨다고 판단해서 올립니다.
침 치료에서 경혈의 혈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의 체질입니다. 아무리 혈성이 병증에 맞는다고 해도 환자의 체질과 부합하지 않는다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정 승격으로 대표되는 사암침법이 현실에서 잘 맞지 않는 이유도 바로 체질에 맞게 변형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하기 때문입니다.
음양관과 오운육기에 관한 개념에 충실하다면 자유자재로 대기묘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홍경사랑 회원님들의 지혜를 믿으며 올려 봅니다. 직접 침을 놓은 것은 위험하오니 가급적 지압을 하십시오. 아래 내용에는 보사가 빠져 있습니다. 그러나 수준 높은 홍경사랑 회원님이라면 단박에 그 방법을 찾아 내실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공인 47종의 병증 치료법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979. 12. 27. 침의술로 47개 부분 치료치유 효과를 공인하였고, 인류 전체 질 병의 75%는 침요법을 활용한 일차진료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1. 급성 축농증
취혈 : 상성(上星), 인당(印堂), 거료, 영향(迎香), 합곡(合谷).
조작 : 거료에서 영향(迎香)까지 피하 투침한다. 쌍혈을 응용하 고 합곡(合谷) 쌍혈을 강자극한다.
2. 감기
취혈 : ① 대추(大椎), 삼상<三商-소상(少商),중상(中商),노상(路 商)>.
② 대추(大椎), 곡지(曲池), 합곡(合谷).
조작 : 두운 - 인당(印堂), 태양(太陽),
구토 - 백회(百會), 태양(太陽),
오심 - 태충(太衝),
오한 - 후항(後項-대추혈 상방으로 직자 2촌하되 제3, 4 경추사이로).
3. (A) 급성 비염
취혈 : 합곡(合谷), 인당(印堂), 영향(迎香).
조작 : 합곡(合谷) 강자극 그외는 보통으로 자극하고 유침을 약30분간한다.
(B) 만성 비염
취혈 : 영향(迎香), 상성(上星), 백회(百會).
조작 : 침자 후 일반증상이 경감된다.
4. 급성 편도선염
취혈 : 풍지(風池), 협계(俠溪), 소상(少商), 관충(關衝), 액문(液門), 양곡(陽谷).
조작 : 소상(少商), 관충(關衝)을 점자한 후 방혈(放血).
5. 급성 기관지염
취혈 : 대추(大椎), 천돌(天突), 폐유(肺兪), 합곡(合谷), 태연(太淵).
조작 : 대추(大椎)는 방혈하고, 천돌(天突)에 침자 후 아래로 후문(後門)을 직자한다.
이상한 소리가 나면 소상(少商)을 가하고 담이 있으면 풍륭(豊隆)을 가한다.
소아는 천돌(天突)이 적합한데 얕게 단자법(單刺法)을 사용한다.
6. 기천성 기관지염
취혈 : 전중.
조작 : 피하 15도 각도로 전중에 자입하여 중정(中庭)까지 유침한다.
어린이는 단자법(單刺法)을 사용한다.
* 어린이 환자에게는 효과가 특별히 좋다.
7. 급성 결막염
취혈 : 주혈 - 태양(太陽), 정명(睛明), 두유(頭維), 사백(四白), 양백(陽白).
배혈 - 합곡(合谷), 행간(行間), 족삼리(足三里).
조작 : 주혈을 사자하거나 직자하며 5분∼1촌으로 평보평사하되 유침은 약 45분간 한다.
8. 중앙 시망막염
취혈 : 풍지(風池), 동자료, 어요(魚腰), 정명(睛明), 사죽공(絲竹空), 찬죽,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조작 : 매번 취혈을 2∼3개로 하고 교대로 침자하여 경자극하되 유침을 약15분간 한다.
9. 아동근시
취혈 : 복류(復溜), 협계(俠溪), 천주(天柱), 목창(目窓), 광명(光明), 곡천(曲泉).
조작 : 평보평사법을 사용하고 약 30분간 유침한다.
10. 비병발성적 백내장
취혈 : 천주(天柱), 양로(養老), 태충(太衝), 광명(光明), 결각(結却), 간유(肝兪).
조작 : 중등자극을 행한다.
11. 치통
취혈 : 이간(二間), 삼간(三間), 합곡(合谷), 태계(太溪), 내정(內庭) 또는 동측의 천돌(天突), 합곡(合谷).
조작 : 이뿌리 통증에는 태계(太溪)를 이가 조금 아플때는 합곡(合谷)을 잇몸은 내정(內庭)을 앞니는 이간(二間) 중. 후를 치통은 삼간(三間) 또는 합곡(合谷)을 침자한다.
12. 발아후동통
취혈 : 합곡(合谷), 내정(內庭).
조작 : 모두 쌍혈을 사용하거나 이침(耳鍼)을 사용한다.
귀부리 앞측 발아 마취점.
13. 치은염
취혈 : 합곡(合谷), 내정(內庭), 하관(下關), 협차(頰車), 이문(耳門), 천응(天應).
조작 : 먼저 치통측의 합곡(合谷), 천돌(天突)을 침자한다. 잇몸이 검으면 삼릉침(三 鍼)으로 배자하여 독혈(毒血)을 방출한다.
14. 급성 인염
취혈 : 천돌(天突), 폐유(肺兪).
조작 : 가슴에 붉은 점이 있으면 침술치료 후 삼릉침(三 鍼)으로 침자하여 출혈하도록 하면 즉시 치유된다.
15. 만성 인염
취혈 : 천돌(天突), 폐유(肺兪).
조작 : 천돌(天突)은 쑥으로 5∼10분간 뜸뜬다. 쌍 신유(腎兪)는 투화법(投火法)으로 부항을 5∼10분간 붙인다.
16. 액역
취혈 : 곡지(曲池),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풍지(風池), 아시혈(阿是穴)(후절하 일횡지).
조작 : 순서대로 침자한 후 마지막엔 아시혈(阿是穴)을 침자한다.
17. 식관부위 경련
취혈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중완(中脘), 천돌(天突), 선기(璇璣).
조작 : 강자극하며 유침은 20분한다.
18. 심장부위 경련
취혈 : 공손(公孫), 내관(內關), 신문(神門), 소부(少府)
조작 : 강자극하고 유침은 20분한다.
19. 위하수
취혈 : 내정(內庭), 관원(關元), 수도(水道), 석문(石門), 대거(大巨), 중완(中脘), 하완(下脘).
조작 : 순서대로 침자하되 유침은 30분한다. 여성은 석문(石門)을 금침(禁鍼)한다.
20. 급성 위염
취혈 : 주혈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중완(中脘), 상완(上脘), 천돌(天突).
배혈 - 건리(建里), 하완(下脘), 내정(內庭), 공손(公孫), 천추(天樞).
조작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는 좌우로 시침(施鍼)하고 기타는 교대로 침자한다.
21. 만성 위염
취혈 : 주혈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배혈 - 간유(肝兪), 격유(膈兪), 위유(胃兪), 신문(神門).
22. 위산과다
취혈 :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상완(上脘), 중완(中脘), 중괴(中魁).
조작 : 중괴(中魁)는 경외기혈인데 뜸을 뜬다.
23. 급성 십이지장궤양 동통 경감
취혈 : 주혈 - 내관(內關), 통관(通關), 중완(中脘).
배혈 - 상완(上脘), 족삼리(足三里), 유문(幽門), 양문(梁門).
조작 : 주배혈을 순서대로 윤번하여 시침하고 통관(通關)은 경외기혈(經外奇穴)이다.
24. 만성 십이지장궤양 동통 경감
취혈ㆍ조작 23번과 동일, 다만 치료기간이 다소 길다.
25. 급성 결장염
취혈 : 족삼리(足三里), 합곡(合谷).
조작 : 매일 침구 1회 강자극하고 유침 20분 하되 매 5분에 한번씩 염자(捻刺)한다.
26. 만성 결장염
취혈ㆍ조작 25번과 동일, 다만 치료기간이 길다.
27. 급성 세균성 이질
취혈 : 중완(中脘), 천추(天樞), 관원(關元), 족삼리(足三里).
조작 : 열이 많이 오르면 합곡(合谷), 곡지(曲池)를 가하고 보통 열이 오르면 합곡(合谷)을 가하여 이급후중(裏急後重)하면 태충(太衝)을 가한다.
28. 변비
취혈 : 장문(章門), 지구(支溝), 조해(照海), 건리(建里), 천추(天樞).
조작 : 중등 자극을 행한다.
29. 복사
취혈 : 천추(天樞), 수분(水分), 족삼리(足三里), 중완(中脘).
조작 : 중등 자극을 행한다.
* 설사는 여러종류인데 배속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가 하면 아래배가 내려 앉는듯 아프기도 한다.
30. 마비성 장색
* 복부 수술 후 발생
취혈 : 대장유(大腸兪), 차료(次 ).
배혈 - 지구(支溝),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조작 : 침자시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고 진침을 승양법(升陽法)(보법)으로 하며 침감이 있으면 온침구(溫鍼灸)하는데 강음법(降陰法)(사법)을 사용한다.
31. 두통
취혈 : ① 전두통(前頭痛) - 합곡(合谷), 태충(太衝), 상성(上星), 찬죽,
사죽공(絲竹空) 또는 전두점(前頭点) 자침.
② 전두통(全頭痛) - 합곡(合谷), 태충(太衝), 백회(百會), 풍지(風池) 또는
두정점(頭頂点) 자침.
③ 두정통(頭頂痛) - 백회(百會), 위중(委中), 용천(湧泉) 또는 두정점(頭頂点) 자침.
④ 양섭유통 - 태양(太陽), 두유(頭維), 솔곡(率谷), 열결(列缺), 태충(太衝).
조작 : 두정(頭頂)의 혈위에 침자할 때는 강자극을 하지 말것.
32. 편두통
취혈 : 태양(太陽), 솔곡(率谷), 두유(頭維), 구허(丘墟).
조작 : 오른손으로 침을 잡고 왼손으로 솔곡(率谷)을 취하며 피부를 집어올린 후 태양(太陽), 두유(頭維)까지 평자 유침하고 구허(丘墟)는 유침한다.
33. 삼차신경통
취혈 : 아시혈(阿是穴).
조작 : 동통부위를 확정한 후 자입한다.
치료시 환자는 강렬한 침감이 있다. 예를들면 마치 점격 혹은 폭발하는 감각이다. 자극을 5∼30분간 한
다.
34. 안면신경마비
취혈 : 협차(頰車), 지창(地倉), 협승장(夾承奬), 영향(迎香),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조작 : 지창(地倉)에서 협차(頰車)까지 투침(透鍼)한다.
협승장(夾承奬)은 경외기혈이다. 지창(地倉), 협차(頰車)를 침자한 후 뜸 1장을 뜬다.
35. 중풍후마비=졸중
취혈 : 상지(上肢) - 합곡(合谷), 곡지(曲池), 견우, 견료, 외관(外關), 완골(腕骨).
구안와사는 협차(頰車), 지창(地倉), 인중(人中), 영향(迎香), 하관(下關), 수삼리(手三里), 열결(列缺)을 가한다.
하지(下肢) - 승산(承山), 위중(委中),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현종(懸鐘), 구허(丘墟),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조작 : 먼저 침자하고 좀 나아지면 보법을 사용한다. 다시 침자 후 병이 안나으면 사법을 사용하되 3∼4 혈을 윤번으로 시침한다.
36. 말초신경염
* 외측신경실거 감각
취혈 : ① 손 및 전비자(前臂者) - 팔사(八邪), 합곡(合谷), 후계(後溪), 외관(外關), 내관(內關), 곡지(曲池).
② 족부자(足部者) - 팔풍(八風), 해계(解溪), 곤륜(崑崙)에서 태계(太溪)까지 투침(透鍼), 강자극 유침 약 60분. 매 15분에 한번씩 염자한다.
37. 소아마비후유증
* 퇴부연약, 초기 6개월이내.
취혈 : ① 견정(肩井), 족삼리(足三里), 풍시(風市), 음시(陰市), 승산(承山), 양릉천(陽陵泉).
② 해계(解溪), 족삼리(足三里), 풍시(風市), 양릉천(陽陵泉), 환도(環跳), 척택(尺澤).
조작 : ①, ② 두조를 윤번으로 시침한다.
38. 인기운현적 이병
* 메니엘씨 병
취혈 : 풍지(風池), 백회(百會), 청회(聽會), 합곡(合谷), 내관(內關).
또는 이혈(耳穴) - 신(腎), 침(枕), 내이(內耳), 신문(神門), 위(胃).
조작 : 평보평사를 사용하고 유침은 약 15분한다. 만약 현운, 구토가 사라지면 복진시 내관(內關)은 취소하고 인당(印堂), 신문(神門)을 가하지 않으며 이혈(耳穴)은 당연히 이침(耳鍼)으로 자침해야 한다.
39. 신경성 방광기능장애
취혈 : 주혈 - 신유(腎兪), 방광유(膀胱兪), 중추(中樞), 삼음교(三陰交).
배혈 - 곡골(曲骨), 관원(關元), 태충(太衝), 음릉천(陰陵泉).
조작 : 주혈은 침자시 누운 자세로 취하고 먼저 신유(腎兪), 방광유(膀胱兪)을 침자한다.
침자 후 뜸을 뜨고 온침구(溫鍼灸)를 행한다. 침감이 생식기까지 도달하게 한다
40. 야뇨증
취혈 : 관원(關元), 삼음교(三陰交), 신유(腎兪),
또는 수침(手鍼) - 야뇨점.
조작 : 단자법(單刺法)을 사용, 염자 15 ∼ 30분간 한다. 신유(腎兪)는 구법(灸法)도 사용한다.
41. 늑간신경통
취혈 : 주혈 - 행간(行間), 유근(乳根).
배혈 - 곡지(曲池), 전중, 주영(周榮).
조작 : 유침은 30분 격일로 한번씩 침치료한다.
42. 두여비증후군
* 두ㆍ견비동통
취혈 : 주혈 - 합곡(合谷), 태충(太衝), 백회(百會), 신맥(申脈), 후계(後溪), 중저(中渚), 이간(二間).
배혈 - 곡지(曲池), 상성(上星), 풍지(風池), 천응(天應).
조작 : 주혈. 배혈을 윤번으로 시침한다.
43. 응견 = 오십견
취혈 : 주혈 - 조구(條口), 승산(承山).
배혈 - 합곡(合谷), 비노, 견우, 척택(尺澤), 노유, 완골(腕骨).
조작 : 조구(條口)에서 승산(承山)까지 투침(透鍼)하는데 보통 한번에 치유된다. 유침은 약 15분간 한다.
44. 망구가주통 = 테니스엘보
취혈 : 곡지(曲池), 주료, 천정(天井), 소해(少海), 아시혈(阿是穴).
조작 : 아시혈(阿是穴) 주위를 침자하여 방혈한다.
완관절의 동통이 중간이면 극문(隙門)을 가한다.
동통이 우측에 있으면 양계(陽溪)를 가하고 동통이 좌측에 있으면 양곡(陽谷)을 가한다.
45. 좌골신경통
취혈 : 위중(委中), 신유(腎兪), 상료,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구허(丘墟), 곤륜(崑崙).
좌골신경통점, 요퇴점에 침자한다.
조작 : 윤번으로 시침하고 유침은 20분 좌우로 한다.
46. 하배통
취혈 : 합곡(合谷), 이간(二間), 승산(承山), 곤륜(崑崙).
조작 : 보통 자극 및 사법을 사용한다.
47. 골관절염
취혈 : 상지(上肢) - 견우, 곡지(曲池), 합곡(合谷), 비노, 주료, 외관(外關), 중저(中渚), 양지(陽池).
하지(下肢) - 환도(環跳), 풍시(風市), 복토, 음시(陰市), 양구(梁丘), 독비(犢鼻), 족삼리(足三里), 양릉천(陽陵泉), 현종(懸鐘), 구허(丘墟), 삼음교(三陰交), 조해(照海), 팔풍(八風).
척추(脊椎) - 풍지(風池), 천주(天柱), 대추(大椎), 신주(身柱), 명문(命門), 폐유(肺兪), 간유(肝兪), 비유(脾兪), 신유(腎兪).
조작 : 윤번으로 선혈하고 만성에는 뜸을 뜨고 급성에는 뜸을 뜨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