酒通血脈上行性
少飮壯神過損命
제가 술을 좋아하는 이유죠.
기가 부족해서 아래로 늘어지므로 끌어올리려고.
그런데 과음하면 명을 재촉한다고요.ㅠㅠ
菉豆氣寒解百毒
並治煩渴諸熱屬
한약 먹을 때는 녹두나 사슴고기 먹으면 안 되는 것 아시죠?
아! 보약이 그래서 차군.^.^
녹두가 100가지 독만 푼다고???
우승국 이탈리아! 누구보다 토티의 부인 일라리 블라시의 활약이 컸다. 일라리는 스위스 일간지 츠반시히미누텐이 선정한 토티 시리즈 ‘최고의 유머’에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일라리가 토티에게 “자기야~나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라고 말하자 토티가 “뭘 물을 땐 제발 천천히 한 가지씩만 물어!”라고 화를 냈다는 내용이다.
히히?! 그래도 먼 말인지 못 알아듣는 눈치다.....우리를 슬프게 한다…….
上統 64 사군자탕(四君子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眞氣가 허약한 것을 補養하고 氣가 짧고 氣가 적은 것을 치료한다. ① 虛損을 다스리기 위해 當歸와 黃芪를 가하는데, 이것은 人蔘黃芪湯이다. ② 四物湯과 合方한 것은 八物湯이라 한다. 또 黃芪, 肉桂 각 一錢을 가한 것은 十全大補湯이다. ③ 陳皮를 加하면 異功散이고, 陳皮와 半夏를 加하면 六君子湯이다. ④ 虛泄에는 黃芪, 升麻, 柴胡, 防風을 加한다.
[活套] 冷에는 肉桂와 附子를 加한다. ⑤ 浮腫이 나면 猪苓과 澤瀉를 加한다. ⑥ 暑에는 香薷, 白扁豆 白檀香등을 加한다. ⑦ 虛泄에는 五苓散을 合方한다.
上統 68 사물탕(四物湯)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血病을 治療한다. ① 脚痛 血熱에는 知柏과 牛膝을 加한다. ② 虛陽에는 黃芩을 加하여 浮萍草末로 調服한다. ③ 봄에는 川芎을 배로 하고, 여름에는 芍藥을 배로 하고 가을에는 地黃을 배로 하고, 겨울에는 當歸를 배로 한다. ④ 봄에는 防風을 加하고 여름에는 黃芩을 加하고, 가을에는 天門冬을 가하고, 겨울에는 桂枝를 加한다.
[活套] 合方法은 四君子湯을 보라. ⑤ 血虛로 經水가 不調하면 香附子, 益母草, 吳茱萸, 肉桂, 人蔘 따위를 加한다.
上統 32 팔물탕(八物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氣와 血이 다 虛한 것을 다스린다. ① 일명 八珍湯이다. ② 虛淋에는 黃芪, 虎杖根, 黃芩, 牛膝 등을 가한다.
[活套] 子瘧이 오래된 데에 人蔘과 熟地黃을 배로 하고 柴胡, 條芩, 砂仁등을 加한다. ③ 汗多에는 桂枝, 黃芪, 防風을 가한다. ④ 頭痛에는 天麻와 細辛을 加한다.
上統 33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人蔘5 白朮5 白茯苓5 甘草5 熟地黃5 白芍藥5 川芎5 當歸5 黃芪4 肉桂4
氣와 血이 다 虛한 것을 다스린다.
[活套] 一切의 虛損에는 모든 증세에 따라 加減할 수 있다. ① 대개 癰疽의 病邪가 아직도 깨끗하지 않으면 金銀花, 皂角刺, 穿山甲 따위를 加하고, 혹은 膿流淸水하거나 오래도록 收斂되지 않으면 人蔘, 肉桂, 黃芪를 倍로 하고 生薑, 附子, 蓮肉 따위를 加한다.
上統 40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熟地黃320 山藥160 山茱萸160 白茯苓120 牧丹皮120 澤瀉120
腎水不足을 치료한다. ① 五味子 4냥을 가한 것을 <腎氣丸>이라고 한다. 이는 肺의 원천을 滋養하여 腎水를 나게 하는 것이다. ② 肉桂와 附子炮를 각 1냥씩 加하면 <八味元>인데, 命門陽虛를 다스린다. ③ 陰虛浮腫에는 牛膝과 車前子를 가하여 쓰는데 <金匱腎氣丸>이라고 한다. ④ 遺尿無尿에는 澤瀉를 빼고 益智仁을 加한다. ⑤ 노인 및 孕婦의 轉脬에는 澤瀉를 倍로 한다. ⑥ 冷淋으로 먼저 추워서 떨고 洩하지 못하는 데는 <八味元>이 좋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梧子大로 蜜丸을 지어 溫酒나 鹽湯으로 50~70알씩 服用한다. ⑦ <腎氣丸>의 五味子를 1냥으로 하여 俗用하기도 한다.
[活套] 또한 20첩으로 분작해서 쓰기도 한다. ⑧ 陰虛浮腫에는 熟地黃을 減하고, 牛膝, 車前子, 桂枝, 附子 등을 加한다. ⑨ 黃疸이 겸했으면 인진을 加한다. ⑩ 傷寒이 過經하여 虛熱이 不退하고 입이 燥하고 혀가 마르고 脈이 虛한 증세 등에는 人蔘을 배로 하고 麥門冬, 橘皮 따위를 加한다. ⑪ <加減八味元>을 消渴에 구복하면 영구히 없어진다. 질병이 消除되었으면 腎氣가 회복된 것이다.
[適應症]모든 腎疾患, 膀胱疾患, 佝僂病, 바세도우氏病, 白內障, 便秘, 四肢煩熱, 肺結核
김홍경은 느릿느릿 책을 집어 들었다. 그리곤 요통편(사암침구 요결; ??페이지???)을 펼쳤다. 그런데 거기엔 말도 안 되는 글이 적혀 있었다.
‘척추가 끊어지게 아플 때는 대장(大腸)정격을 활용하라.’
주(註) 筋骨如折
【見證】筋骨이 잡아 쥐고 꺾는 것같이 아픈 證.
【療法】大腸傷인지라 三里‧曲池(토경과 자경의 토혈) 補, 陽谷‧陽谿(화경과 자경의 화혈) 瀉. - 大腸正格.
☞ 알 수 없는 일이었다. 허리가 아프다는데 왜 대장이 나올까. 학교 다닐 때 교수님들이 “이 사암침법은 난해하고 심오해서 가르칠 엄두가 나지 않는다.” 고 하던 말이 갑자기 생각났다. 교수님들이 그런 말을 할만 했다. 하지만 엉터리라는 생각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었다. 환자는 기대에 찬 눈으로 그를 보고 있었고 그 사이 시간은 빠르게 흘렀다. 김홍경은 눈을 질끈 감았다.
“이판사판, 더해 육판, 곱해 팔판, 엎으면 개판, 두드리면 빨래판!!!”이고 밑져야 본전 아닌가. 환자도 어차피 큰 기대는 하지 않았을 것이고 정상적인 치료법으로는 어림없는 일이니 이해가 가지 않아도 하라는 대로 해보기로 했다.
이후 내용은 다 아는 것이죠?^.^
저녁 무렵 약국에 한 사내가 들어와서 다급하게 말했다
“딸꾹질 멎게 하는 약 좀 주세요.”
약사는 “예, 잠시만요.” 하면서 약을 찾는 척 하더니 사내의 뺨을 있는 힘껏 내리 갈겼다. 그리곤 히죽거리며 말했다. “어때요. 멎었죠? 하하.”
그러자 사나이는 약사를 한참 바라보더니 말했다.
“나 말고 우리 마누라.....”
上統 66 귀비탕(歸脾湯)
當歸4 龍眼肉4 酸棗仁 炒4 人蔘4 黃芪4 白朮4 白茯神4 遠志4 木香2 甘草1
憂思로 인한 心脾의 勞傷과 健忘, 怔忡을 다스린다. ① 또, 접촉할 때마다 遺精되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氣가 昇降하지 못할 때는 便香附子를 加한다. ② 虛火로 인해 吐血하면 熟地黃 五~七錢 및 검게 炒한 乾薑 一~二錢을 加한다. ③ 崩漏 帶下가 오래 가면 人蔘을 倍로 하고 地楡, 荊防, 升麻 따위를 加한다. 不眠에는 熟地黃 五~七錢을 加한다.
虛火로 인해 吐血하면 熟地黃 五~七錢 및 검게 炒한 乾薑 一~二錢을 加한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부혈 강좌 5 소택혈(뚱뚱한 사람 중풍예방의 특효) (0) | 2008.12.19 |
---|---|
삼부혈 공부 초발심가 (0) | 2008.12.19 |
孫思邈(손사막) (0) | 2008.12.18 |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대한 답변 (0) | 2008.12.14 |
삼부혈 설명 4 한열왕래에 함곡혈 (0) | 2008.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