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터 한번 실천 해 보고 싶었는데 잘 되지 않더군요.
아래 내용 중 침을 삼끼는 것과 귀를 잡아 당기는 것은 가끔 합니다.
이침을 소개하려고 하는데 많이 바빠서 정리할 시간이 없네요.ㅠㅠ
시간 나시면 한번 실천해 보십시오.
효과를 보셨거든 알려 주시고요.^.^
안마도인법[按摩導引]
『양생서(養生書)』에는 ꡒ밤잠에서 깨어나 이를 아홉 번 쪼고 침을 아홉 번 삼킨 다음 손으로 코의 양쪽을 아래위로 수십 번씩 문지른다.ꡓ고 씌어 있다.
○ 또한 ꡒ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이를 쪼고 침으로 양치하며 입안에 가득 차게 한다. 이것을 삼킨 다음 숨을 멈추고 오른손을 머리 위로 넘겨 왼쪽 귀를 14번 잡아당기고 또 왼손을 머리 위로 넘겨서 오른쪽 귀를 14번 잡아당긴다. 이렇게 하면 귀가 밝아지고 오래 산다.ꡓ고 씌어 있다.
○ 또한 ꡒ손바닥을 비벼서 뜨겁게 한 다음 양쪽 눈을 비벼주기를 매일 20번씩 하면 눈에 예막이 자연히 생기지 않고 눈이 밝아지며 풍을 없앤다. 이마를 자주 문질러주는 것은 천정(天庭)을 수양한다고 하는데 머리털이 난 곳에서 뒤로 쓰다듬기를 14번씩 하면 얼굴이 자연히 윤기가 난다.
또한 가운뎃손가락으로 양쪽을 20-30번씩 문질러서 겉과 속이 다 뜨거워지게 한다. 이것은 소위 코에 물을 대서 폐를 축여준다는 것과 같다. 손으로 귓바퀴를 문질러 주기를 횟수에는 관계없이 여러 번 하는 것은 귓바퀴를 수양해서 신기를 보 하여 귀가 먹는 것을 미리 막는 데 있다ꡓ고 씌어 있다.
○ 구선이 노래하기를
ꡒ눈감고 편히 앉아
(발을 괴고 앉는다)
주먹 쥐고
(엄지손가락이 속으로 가게 한다)
정신 모아,
36번 이를 쪼고
(정신을 모으면서)
두 손으로 곤륜(崑崙)을 안아
(곤륜은 머리이다. 두 손의 손가락을 깍지 끼고 목뒤를 안아 귀까지 막고 아홉 번 숨쉴 동안 있는다.),
좌우천고(佐右天鼓) 울리기를 24번하고 나서
(두 손바닥으로 두 귀를 덮고 둘째손가락으로 가운뎃손가락을 눌러 뒤통수를 24번 퉁긴다),
이리저리 목 돌리며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목을 돌려 어깨를 돌아보아 켕기게 한다. 이것도 24번 한다)
입안에서 혀를 돌려
(입안에서 혀를 돌려 침이 고이면 삼킨다)
36번 꿀꺽거려 입에 침이 가득 찬 후,
세 번 갈라 넘기고서
(꿀꺽거린 침을 세 번에 갈라 꿀꺽꿀꺽 소리나게 넘긴다)
숨죽이고 손을 비벼, 뜨거워진 뒤 숨 내쉬고
(코로 맑은 공기를 마신 후 숨을 죽이고 조금 있다가 손을 비벼 몹시 뜨거워진 뒤 천천히 숨을 내쉰다)
두 손을 뒤로 돌려, 허리를 문지르고
(두 손을 뒤로 돌려 손바닥으로 허리를 문질러 더워지게 한 뒤 꼭 누른다)
숨을 한번 모은 뒤에
(다시 숨을 모은다),
배꼽 밑에 불기운을 생각하며
(속에 불로 단전을 태우는 생각을 하여 몹시 뜨거운 감이 생긴 후 다음의 방법을 쓴다)
팔다리를 쭉 펴고
(고개를 숙이고 두 팔을 펴서 하나 올리면 하나 내리기를 36번하여 단전에서 뜨거운 기운이 정수리로 올라가게 하고 맑은 공기를 코로 들이쉰 다음 잠깐 숨을 죽이고 또 두 다리를 앞으로 쭉 편다)
두 손을 깍지 끼고 허공을 받쳐든 후,
팔을 펴고 고개 숙여 두 발을 잡아당겨
(양쪽 손가락을 깍지 끼고 두 팔을 쳐들어 위로 올렸다가 고개를 숙이고 팔을 편 채로 앞으로 내려 두 발을 13번 잡아당긴 다음 발을 고이고 앉는다),
입에 침이 생기거든
(입에 침이 생기면 전과 같이 혀를 굴려 모은다)
꿀꺽거려 삼키기를, 한 입을 세 번 갈라 세 입을 아홉 번
(한 입의 침을 세 번에 갈라 세입을 삼켜 아홉 번이 되게 한다)
꿀꺽꿀꺽 삼키고는 온갖 맥이 고르게 신체운동을 또 한다네
(어깨와 몸통을 돌리기를 24번하고 한 팔을 내리면서 다른 한 팔을 올리기를 24번 한다)
불꽃처럼 몸이 더워
(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아래에서부터 타올라와 온몸을 다 태우는 듯한 감이 난다. 이때에는 입을 다물며 숨을 죽이고 잠깐 있는다.),
마귀도 접근 할 수 없고 꿈자리도 편안하며,
추위도 안 타고 더운 줄도 모른다네,
첫새벽과 두 시전에 때를 맞춰 하고 나면,
기혈순환 잘도 되고 팔괘(八卦)가 잘 돈다네.ꡓ고 하였다.
[註] 두드리기(안마)도인법 : 손으로 몸을 문지르고 두드려 주며 간단한 운동과 호흡을 조절해서 몸의 기혈을 잘 돌아가게 하는 양생법의 한 가지이다.
[註] 천정(天庭) : 앞이마의 한가운데를 이르는 말.
[註] 천고(天鼓) : 머리의 양쪽 귀 뒤. 손끝이 뒤로 가게 손바닥으로 양쪽 귀를 덮고 손가락으로 귀 뒤 뼈를 퉁기는 것.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부혈 강좌 9 아스피린 보다 강한 해열제 - 내정혈 (0) | 2009.01.17 |
|---|---|
| 공부는 하면 할수록 어렵다. (0) | 2009.01.16 |
| 동의보감의 以道療病 (0) | 2009.01.13 |
| 황제내경 소문 2편 사기조신대론과 동의보감 내용 (0) | 2009.01.13 |
| 사부혈 강의 8 상체를 따듯하게 해 주는 양릉천혈 (0) | 200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