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Re: 금토실증(오른쪽 귀 구멍 외벽에서 통증과 가려움증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별꽃바람 2009. 6. 30. 17:55

글로 보면 간실 담허증이 아닌가 합니다. 삼부혈 측면에서 보면 목토실증일 수도 있지만 금토실증으로 볼 수도 있고요. 직접 맥을 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군요. 이런 정도의 증상이라면 가까운 한의원에 가셔서 적절한 진단과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지난번에 토수실증으로 보았는데 이번 글을 보니 완전히 관점이 달라지는 느낌입니다. 맥을 보지 않고 판단한다는 것이 참 어렵군요. 일단 맥은 보통 맥인 것 같으므로 금토실증으로 보고 판단해 보겠습니다.

 

목화수를 보하는 삼부혈은 후계, 곡택, 용천, 협계혈이 있습니다. 그런데 증상이 나타나는 곳인 귀가 담경에 속하므로 협계혈이 좋을 듯 합니다. 협계혈은 허한 담을 보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신기가 허한 측면도 있으므로 용천혈도 함께 보해 주세요.

 

일반적으로 경련은 뇌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의학 측면에서는 목실에 해당하고요. 따라서 과도하게 항진되는 목 기운을 사하기 위해 행간혈을 사하고 중봉혈을 보해 줄 것을 권해 봅니다.

 

대체로 잠들기 전에 호흡곤란으로 산소가 부족해지면 경련이 일어나는 경향아 있습니다. 평소 복식호흡을 하시는 습관을 가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침실은 신선한 공기가 늘 통할 수 있게 관리하시고 너무 푹신한 침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번 댓글에도 말씀드렸지만 바로 주무시기 보다는 옆으로 주무시고, 취침 전에는 가능한 아무것도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열을 내리는 의미로 결명자를 물대신 끓여 드시면 좋겠습니다. 신음이 부족한 측면도 있으므로 사상자를 구해 드셔 보십시오.

 

시고 단 것은 피하시고 마음을 느긋하게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족소양담경 협계혈(목화수 삼부혈) 보하는 방향

 

족소음신경 용천혈(수화목 삼부혈) 보하는 방향

 

족궐음간경 행간혈(목목화 이부혈) 보하는 방향

귀하는 사해야 하므로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지압하세요.

 

족궐음간경 중봉혈(목목금 이부혈) 보하는 방향

 

 

 

이하는 귀하께서 올리신 글 내용입니다.

지난번 수면 시 깜작깜작 놀라는 증세로 진단받았던 청계입니다.

진단후 지속적인 치료를 하고 있으나 차도(현재 20~30회씩 깜작 놀라는

증세 발생)가 없고, 최근 오른쪽 귀 구멍 외벽(외벽이 불그스럼하게 부음)

에 통증과 가려움증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다시한번 정밀 진단을 부탁드립니다.

      자 가 진 단 차 트

나이 :  57세 (남)     키 :  179cm     몸무게 :  85kg     

 

1. 당신은 앞으로 살이 쪘으면 좋겠다.(  )  

                  살이 빠졌으면 좋겠다.( 0 )   지금이 적당하다.(  )

                        * 뱃살이 빠졌으면 좋겠다.

 

2. 당신의 체중에 최근 변화가 있었습니까?

   살이 찌고 있다.(  )  살이 빠지고 있다.(  )  변화 없다( 0 )

 

3. 당신의 성격은 어떤 편에 속한다고 생각됩니까? 

   급하고 참지 못한다.( 0 )   내색 못하고 참는다.(  )

 

4. 평소 추위나 더위를 많이 타는 편이신가요?

   추위를 많이 탄다.( 0 )   더위를 많이 탄다.( 0 )

    * 추위도 타고 더위도 탄다.

 

5. 밤에 이불을 덮고 주무시나요?

   꼭 덮고 자야한다.( 0 )   더워서 덮지 않는다.(  )

    * 배만 꼭 덮고 자야하며 사타구니에서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아랫배

       이하는 덮지 않는다. 

 

6. 평소 얼굴로 열이 달아오르는 느낌이 있으신가요?

   있다.( 0 )   없다.(  )

    * 가끔씩 얼굴로 열이 달아오른다.

 

7. 평소 손발이나 아랫배가 찬편인가요?

   (손, 발, 아랫배)가 차다.( 0 )   차지 않다.(  )

    * 아랫배가 차다고 느끼며, 등(견갑골 부분)도 차면 굳는다.

 

8.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었을 때 불편함을 느끼시나요?  

   차가운 음식.(  )   맵거나 뜨거운 음식.( 0 )

 

9. 신체의 일부가 떨리거나 경련이 생길 때가 있나요? 

   있다.( 0 )   없다.(  )

10. 현재의 불편한 증상이 밤에 심한가요 낮에 심한가요?  

    밤에 심하다.( 0 )   낮에 심하다(  )

 

11. 현재의 불편한 증상이 특히 심해지는 계절이 있나요? 

    봄(  )   여름( 0 )   장마철(  )   가을(  )   겨울( 0 )

 

12. 흐리고 비오는 날 몸이 무겁다고 느껴지나요?

    그렇다(  )   아니다( 0 )

  

13. 평소 안색은 ?

    흰색(  )   검은색( 0 )  붉은색(  )   황색(  ) 청색(  )

 

14. 체형을 구분한다면 ?

    근육질(  )   물살체질 ( 0 )  보통 (  ) 

    * 배 부분만 물살체질이다.

 

15. 좋아하는 음식맛 ?

    신맛  0)   매운맛 (  )  단맛 (0)   쓴맛 (  )  짠맛 (  )

 

먼저 몸이 통통한지 마른지 아니면 보통인지 표기해 주시고요.  가장 중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이라면 반드시 보통이라고 적어 주세요. 키와 몸무게를 적어

주시면 더 좋지만. ⇒ 몸이 통통하다.(179cm / 85kg)

 

둘째 성격은 위에 나타나 있는데 어른 말을 거절하지 못하는 성격인지, 일을

잘 벌이고 마무리를 못하는 성격인지, 평소 사소한 것에도 화를 잘 내는 것은

아닌지,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친화력이 있는지, 남의 잘못을 잘 지적하고 냉정

총명한 성격인지? ⇒ 친화력이 부족하다. 남의 잘못을 잘 지적한다.

  

그리고 몸에 열이 많은 편인지, 찬 편인지, 아니면 평범한지요?  

또 혹 머리는 덥고 발은 찬 것이 아닌지?  아니면 속은 덥고 겉은 차거나

반대는 아닌지, 그냥 보통이라면 보통이라고 표기해 주시고요.

⇒ 몸에 열이 많은 편인데 잠잘 때 배만 차다고 느낀다.

  

가능하시다면 요골 동맥(손목)에서 맥을 보셔서 일분에 몇 차례 뛰는지도 좀

봐주시고요. ⇒ 맥박은 정상으로 알고 있다.

 

정밀하게 보실 수 있다면 맥이 힘이 있는지 약한지, 맥이 살짝만 대도 잡히는지,

꽉 눌러야 느껴지는지 등도 봐 주시고요. 맥이 팽팽한지, 힘이 없는지, 아니면

날카로운 느낌이 드는지도 봐주세요.

⇒ 맥이 약하고 힘이 없다. 꽉 눌러야 느낀다.

⇒ 평소 찬 곳에서 잠자면 등이 굳는 증세가 있고, 여름철에도 이불로 배를 덮고

   자며, 겨울철에도 하반신은 내놓고 잠을 잔다. (사타구니에 땀이 많이 남)

⇒ 여름철에 땀이 많으며, 히프 습진 및 낭습이 있었는데 현재 치료한 상태임.

⇒ 잠이 슬며시 들기 직전 순간적으로 깜작깜작 놀라는 증상이 발생

   * 하루 밤에 20~30회 발생

   * 대학병원에서는 수면반사, 주기성 사지 운동장애, 간대성근경련 등으로 추정   * 치료방법으로는 항경련제 투약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