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지식인 답글로 작성한 것입니다.
창이자
창이자 중국어(한자)로 뭐라하죠? |
창이자는 도꼬마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요.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볶거나 술로 쪄서 사용해야 합니다. 창이자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 자료 몇가지를 올리니 참고바랍니다.
도꼬마리(창이자)
항암작용 건선 비염 축농증 술 끊는데 효험
▶ 항암작용(각종암, 갑상선암, 피부암, 비인암, 뇌종양, 노뇌종유(顱腦腫瘤) 등), 억균작용, 진정, 진경, 해열, 발한, 감기로 인한 두통, 입안염증, 건선, 습진, 은진, 부스럼, 피부소양증, 천연두, 궤양성 피부염, 뱀이나 벌레 물린데, 악성종양의 진통작용, 만성비염, 심상성 백반(尋常性 白斑), 피부궤양(皮膚潰瘍), 과잉육아종(過剩肉芽腫), 신경통, 관절염, 코염증, 축농증, 류마티즘성관절염, 전립선염(前立腺炎), 정자결핍증(精子缺乏症), 신생아제염(新生兒臍炎), 부고환결핵(副睾丸結核), 치통, 비증(痺證)으로 팔다리에 경련이 일며 아픈 데, 부비강염(副鼻腔炎), 비연(鼻淵), 연주창, 알코올 중독, 옴, 마풍(나병), 금주(禁酒: 술끊는 약),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창이자
흔히 들이나 길가에서 자라는데, 키는 1.5m 가량 자라며 전체에 빳빳한 털이 많이 나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잎자루가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이 심장형이다. 얕게 3~5갈래로 갈라지며 가장 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노란색의 단성화이며 수꽃의 두상화서는 다소 둥근 모양이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도꼬마리 전초의 다른 이름은 창이[蒼耳, 지자:只刺: 천금(千金), 식치(食治)], 권이[捲耳: 시경(詩經)], 시[葹: 초사(楚辭)], 영이[苓耳: 모시전(毛時傳)], 호시[胡葈, 지규:地葵: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시이[枲耳: 초사(楚辭), 왕일주(王逸注)], 백호유[白胡荽: 정현(鄭玄)], 상시[常枲: 광아(廣雅)], 작이[爵耳, 이당초:耳璫草: 육기(陸璣), 시소(詩疏)], 상사[常思: 명의별록(名醫別錄)], 상사채[常思菜, 양부래:羊負來: 도홍경(陶弘景)], 진신채[進腎菜: 기사주(記事珠)], 도인두[道人頭: 본초도경(本草圖經)], 갈기초[喝起草: 두문방(斗門方)], 불이[佛耳: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겸사초[縑絲草: 증치요결(證治要訣)], 야겸사[野縑絲: 적원방(摘元方)], 야가[野茄, 저이:猪耳: 본초강목(本草綱目)], 치두파[痴頭婆: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슬마두[虱麻頭: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점점규[黏黏葵: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백치두파[白痴頭婆: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자아과[刺兒顆: 중약지(中藥誌)], 가왜과[假矮瓜, 백저모락채:白猪母絡菜: 민동본초(閩東本草)], 야락소[野落蘇, 구이타초:狗耳朶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창자과[蒼子棵: 산동중초약수책(山東中草藥手冊)], 도꼬마리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열매의 다른 이름은 창이자(蒼耳子: 천금, 식치), 시이실(葈耳實: 신농본초경), 우슬자(牛虱子: 귀주민간방약집), 호침자(胡寢子: 약재자료휘편), 창낭종(蒼郎種, 면당랑:棉螳螂: 강소식물지), 창자(蒼子, 호창자:胡蒼子: 동북약식지), 아슬자(餓虱子: 광서중약지), 창과자(蒼棵子, 창이질려:蒼耳蒺藜: 합서중초약), 호시(胡葈), 지규(地葵), 시일(施一), 상사(常思), 도꼬마리, 대꼬리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뿌리의 다른 이름은 창이근[蒼耳根: 식료본초(食療本草)], 도꼬마리뿌리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꽃의 다른 이름은 창이화[蒼耳花: 본초강목(本草綱目)], 도꼬마리꽃 등으로 부른다.
도꼬마리 줄기 속에 기생하는 벌레의 다른 이름은 창이두충[蒼耳蠹蟲, 창이충:蒼耳蟲: 본초강목(本草綱目)], 마충[麻蟲], 도꼬마리줄기벌레 등으로 부른다.
창이자(蒼耳子)
이명 : 창이실(蒼耳實), 시이실(시耳實), 호침자(胡寢子), 창자(蒼子), 도꼬마리열매
생약명 : XANTHII FRUCTUS
학명 : Xanthium strumarium LINNE
효능해설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스하고 독성이 있습니다. 폐에 작용합니다.
창이자는 따뜻하고 매운 약으로 풍한을 잘 없애 줍니다. 풍한이 인체에 침입하면 두통, 오한, 발열, 콧물, 기침, 등이 생기는데 창이자는 이러한 증상들을 개선시켜 주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풍한으로 인한 콧물, 코막힘, 축농증, 비염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피부 소양감이나 몸이 무거우면서 저린 듯 한 것 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기원 : 국화과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도꼬마리의 성숙한 과실.
성상 : 방추형이나 난원형으로 길이 1-1.5cm입니다. 표면은 황갈색이거나 황녹색으로 전체에 가시가 있습니다. 질은 단단하면서 질기고 횡단면의 중앙에는 격막과 2개의 방이 있습니다. 이삭은 약간 방추형으로 한쪽 면은 비교적 평탄하고 과피는 얇고 회흑색이며 세로주름이 있습니다.
산지 : 우리 나라 각지의 들에서 자랍니다.
약리실험 결과 : 약리실험 결과 항균작용이 밝혀졌습니다.
복용법 : 가을철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합니다. 하루에 4-12g을 복용합니다.
복용실례 : 백지(白芷), 신이(辛夷) 등과 배합하여 두통, 콧물나는 것을 다스립니다.
주의사항 : 몸에 혈이 부족한 사람의 두통과 저린감에는 쓰지 않습니다.
성분 : xanthostrumarin, 수지, 지방유, 알카로이드,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관련질환 : 비구, 비연
민간요법 : 건선, 부비동염, 음부 가려움증, 고환염, 부고환 결핵, 비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