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십오락혈(十五絡穴)
○ 경혈(經穴)의 락(絡)이란 연락(連絡)한다는 의미(意味)로, 본경(本經)에서 별락(別絡)이 분리(分離)하여 표리(表裏)에 있는 타경(他經)으로 향(向)한 곳이기 때문에 경혈이라 호칭(呼稱)되는 것이다.
○ 표리관계(表裏關系)에 있는 장부경락에 대하고, 경혈은 그 양경(陽經)에 요대(繞帶)하여 양경(陽經)을 경대(結代)하는 것을 통하여 십이경맥(十二經脈)의 기혈(氣血)을 소통(疏通)하여 순환(循環)시켜서 전신(全身)을 장양(滋養)하는 작용이 있다.
○ 십이경맥(十二經脈)에는 각기 락혈(絡穴)이 1개씩 있으며, 더욱이 임맥(任脈)의 구미혈(鳩尾穴)(腹中에 散布해 있다), 독맥(督脈)의 장강혈(長强穴)(背部에 散布해 있다), 비(脾)의 대락(大絡)인 대포혈(大包穴)(胸脇中에 散布해 있다)을 합(合)하여 십오락혈(十五絡穴)이 된다.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에는 락혈(絡穴)인 공손혈(公孫穴)이 있는데, 어찌하여 또 비(脾)의 대락(大絡)의 대포혈(大包穴)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 이는 "사지(四肢)는 모두 기(氣)를 위에 품(稟)한다. 이리하여 경(經)에 도달(到達)하지 못하고, 필히 비(脾)에 의하여 이에 품(稟)을 득(得)한다."
○ [素問:太陰陽明論]에 있는 바와 같이 비(脾)는 위(胃)를 대신하여 진액(津液)을 운송(運送)하는 오장(五臟)이며 사지(四肢)를 관계(灌漑)하지만, 그런 경우, 대락(大絡)에서 전신(全身)에 산포(散布)하여, 동시(同時)에 음양(陰陽)의 제락(諸絡)을 통솔(統率)하므로 비(脾)의 대락(大絡)이 존재(存在)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십오락은 모두 일정한 순행로선(循行路線)을 지니며, 또한 독립(獨立)된 병후(病候)가 있으므로, 경혈(經穴)은 혈 중(穴中)에서는 중요한 위치를 점(占)하고 있다.
本 經 |
絡穴名 |
關聯經(部位) |
主 病 | |
實 |
虛 | |||
手太陰 肺經 |
腕을 떠나서 1寸半 陽明에 別走 |
手掌과 手首의 열 |
숨가쁨, 遺尿, 頻尿 | |
手少陰 心經 |
腕을 떠나서 1寸半 太陽에 別走 |
胸 心下部의 膨滿不快感 |
言語障害 | |
手厥陰 心包經 |
腕을 떠나서 2寸 少陽에 別走 |
心痛 |
胸中의 煩悶感 | |
手太陽 小腸經 |
腕을 떠나서 5寸 少陰에 內注 |
關節弛緩, 上肢萎縮, 주運動制限 |
贅 | |
手陽明 大腸經 |
腕을 떠나서 3寸 太陰에 別入 |
齒痛, 難聽 |
齒의 厥冷, 心下部閉塞 煩悶感 | |
手少陽 三焦經 |
腕을 떠나서 2寸 心主(厥陰)와 合함 |
주部痙攣 |
주部가 弛緩하여 굽히지 않는다 | |
足太陽 膀胱經 |
外과를 떠나서 2寸 少陰에 別走 |
鼻閉,頭痛, 背部痛 |
鼻出血 | |
足少陽 膽經 |
外과를 떠나서 5寸 厥陰에 別走 |
氣가 逆上하고 足이 厥冷한다 |
足萎縮, 起立不能 | |
足陽明 胃經 |
外과를 떠나서 8寸 太陰에 別走 |
喉聾, 突關性失語, 癎疾,狂疾 |
足萎縮, 屈曲不能 | |
足太陰 脾經 |
第 一指本節의 後1寸 陽明에 別走 |
곽亂, 腹中의 끊어지는 것 같은 痛證 |
鼓脹 | |
足少陰 腎經 |
內과後에서 根 上方 太陽에 別走 |
胸中의 煩悶感, 尿閉 |
腰痛 | |
足厥陰 肝經 |
內과를 떠나서 2寸 少陽에 別走 |
子宮脫, 陰囊腫大, 卒疝 |
陰部瘙痒感 | |
任脈 |
鳩尾를 내린다 腹에 散한다. |
腹部皮膚의 疼痛 |
腹部皮膚의 瘙痒感 | |
督脈 |
脊骨을 따라서 목으로 올라감 頭에 上하여 散한다 |
脊背部 强直 |
頭重 眩暈 | |
脾大絡 |
淵液出下 3寸 胸脇에 布한다 |
全身疼痛 |
全身關節의 無力 |
○ 표에서 명시한 것처럼, 십이경맥(十二經脈)의 락혈(絡穴)은 모두 사지(四肢)의 주관절( 關節)과 슬관절(膝關節)보다 끝 부분 있어서, 음경(陰經)의 락혈(絡穴)은 거기에서 양경(陽經)을 향하여 별락(別絡)이 뻗으며, 양경(陽經)의 경혈(經穴)은 거기에서 음경(陰經)에 향하여 별락(別絡)이 뻗어 있다. 따라서 십이경맥(十二經脈)에는 표리양경(表裏陽經)을 소통(疏通)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 십오경(十五經)은 모두 인체(人體)의 대락(大絡)이며, 이 대락(大絡)은 또한 소락(小絡), 손락(孫絡), 부락(浮絡)을 내고 있으며, 이것들의 작은 락맥(絡脈)에 대하여, 통솔관리(統率管理)하는 작용이 있다.
○ 락혈(絡穴)은 십이경(十二經)의 경기(經氣)가 집결(集結)하는 점(點)이며 중요한 포인트이다.
임맥(任脈)의 락혈(絡穴) 구미(鳩尾)는 제음경(諸陰經)의 락맥(絡脈)을 통솔(統率)하고, 독맥(督脈)의 장강(長强)은 제음경(諸陽經)의 락맥(絡脈)을 통솔(統率)하고 있다.
○ 비(脾)의 대락(大絡)인바 대포(大包)는 전신(全身)의 혈락(血絡)에 대하여 통솔관리(統率管理)하고 있으므로, "비(脾)는 혈(血)을 통리(統理)한다."고 칭(稱)하였다.
○ 십오락맥(十五絡脈)은 모두 기혈(氣血)을 운행(運行)하고 있는 통로(通路)이며, 이들의 락맥(絡脈)을 통하여 기혈(氣血)은 전신(全身)의 각 장부(臟腑)며 조직(組織)에 운반(運搬)되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 락맥(絡脈)이 손상(損傷)되면 혈맥(血脈)의 흐름이 원활(圓滑)하지 못하고 어체(瘀滯)가 생기며, 기체어혈(氣滯瘀血)의 상태가 형성된다. ○ 임상에서는, 상술(上述)한 "원락배혈법(原絡配穴法)에 인용(引用)하는 외에, 락맥(絡脈)을 단독(單獨)으로 시진(視診)하여 질병을 진단(診斷)하는 일이 흔히 시행(施行)되고 있다.
○ [靈樞:經脈篇]에서는 "십오락(十五絡)이란 실(實)하면 칙필견(則必見)이요, 허(虛)하면 칙필하(則必下)한다. 이를 규시(窺視)하여 보이지 않은지라 이를 상하(上下)로 구(求)한다. 인(人)과 경(經)이 같지 않으며, 락맥(絡脈)의 별락(別絡)하는지 상이(相異)하다."
○ "대저(大抵) 락맥(絡脈)을 진맥(診脈)함에 맥색청(脈色靑)이면 칙한(則寒)이며 통증(痛症)이 있다.
○ 적(赤)이면 칙(則) 열(熱)이 있다.
○ 위중(胃中)의 한(寒)은 수어(手魚)의 맥락(脈絡)이 많고,
○ 청색(靑色), 위중(胃中)의 열(熱)은 어제(魚際)의 락적(絡赤),
○ 그 외 감각이 검은 것, 맥류(脈留)가 오랜 것은 비(痺)이다.
○ 적(赤)이 있고 흑(黑)이 있으며, 또한 청(靑)한 것은 한열(寒熱)의 기(氣)이다.
○ 그 청(靑)이 짧은 것은 소기(少氣)이다.",
○ "대저(大抵) 한열(寒熱)에 자극(刺戟)한다 함은, 개혈락(皆血絡)을 많이 하고,
○ 필(必)히 격일(隔日)로 하여 그 하나를 취(取)하고, 혈진(血盡)하면 멎는다. 즉 그 허실(虛實)을 정리(整理)한다."라고 락맥(絡脈)의 색상(色相)을 시찰(視察)하여 진단(診斷)하는 방법이며 질병치료(疾病治療)의 방법이 기록되었다.
○ 구체적 응용으로는 상기표에 열거한 락맥(絡脈)의 병증(病症)에 기인(其人)하여 해당하는 락혈(絡穴)을 취(取)한다.
○ 예(例)를 들면 주관절부의 경련(痙攣)을 소장경(少腸經)의 락맥(絡脈)의 실증(實證)에 속함으로써, 그 락혈(絡穴)의 외관(外關)혈을 취(取)하여 사(瀉)하고, 또 기약(氣弱)하여 언어불능(言語不能)이 된 실어증(失語症)은 소음경(少陰經)의 락맥(絡脈)의 허증(虛症)에 속함으로, 그 락혈(絡穴)의 통리(痛里)혈을 취(取)하여 보(補)하는 등이다.
○ "초병(初病)은 경(經)에 재(在)하고, 구병(久病)은 락(絡)에 존(存)한다."라고하는 것과 같이 혈(穴), 기(氣), 동(疼), 습(濕) 등이 적취(積聚)한 유형(有形)의 병리산물(病理産物)을 경(經)에서 락(絡)에 입(入)하므로, 내상(內傷)에 의하여 발생되는 일절의 만성질환(慢性疾患)은 락혈(絡穴)을 취(取)하여 치료(治療)하면 된다.
1) 수태음경맥의 낙혈은 열결혈이다[手太陰之別名曰列缺].
순행 부위 : 손목 위에서 갈라지는데 손목에서 1치 5푼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양명대장경으로 갔으며 또 수태음경과 합하여 곧바로 손바닥으로 가서 어제혈(魚際穴)에서 흩어졌다.
병 증후 : 여기에 생긴 병은 실하면 손바닥 뒤 내민 뼈와 손바닥이 열이 나고 허하면 하품하며 오줌을 자주 누고 유뇨가 있다.
2) 족태음경맥의 낙혈은 공손혈이다[足太陰之別名曰公孫].
순행 부위 : 엄지발가락 밑 마디에서 1치 뒤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양명위경으로 나갔으며 다시 갈라진 것은 장위를 얽었다. 궐기(厥氣)가 생기면 곽란이 생긴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배가 끊어지는 듯이 아프고 허하면 고창증(鼓脹證)이 생긴다. [註] 궐기(厥氣) : 기운이 순조롭지 못하여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
3) 수소음경맥의 낙혈은 통리혈이다[手少陰之別名曰通里].
순행 부위 : 손목에서 1치 5푼 뒤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양소장경으로 갔으며 제경을 따라 심으로 들어가 혀뿌리에 연계되고 목계(目系)에 속하였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지격(支膈)이 되고 허하면 말을 못한다.
[註] 지격(支膈) : 흉격부가 치밀어 오르는 감.
4) 족소음경맥의 낙혈은 태종혈이다[足少陰之別名曰太種].
순행 부위 : 발 안쪽 복사뼈 뒤 발꿈치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태양방광경으로 갔으며 다른 한 가지는 제경과 합하여 수궐음심포경으로 올라갔다가 내려와 허리와 등뼈대를 뚫고 밖으로 나왔다.
병 증후 : 여기에 병이 생기면 기가 치밀어 오르고 답답한데 실하면 오줌을 누지 못하며 허하면 허리가 아프다.
5) 수궐음경맥의 낙혈은 내관혈이다[手厥陰之別名曰內關].
손목에서 2치 올라가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소양삼초경으로 나갔으며 두 힘줄 사이로 나와 제경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 심포에 얽히고 심계(心系)에 연계되었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가슴이 아프고 허하면 머리와 목이 뻣뻣하다.
6) 족궐음경맥의 낙혈은 예구혈이다[足厥陰之別名曰 溝].
순행 부위 : 안쪽 복사뼈에서 5치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소양담경으로 갔으며 다른 한 가지는 제경을 따라서 올라가 고환에 연계되었다.
병 증후 :여기에 병이 생겨 기가 치밀어 오르면 고환이 붓고 갑자기 산증이 생긴다. 실하면 음경이 붓고 허하면 몹시 가렵다.
7) 수태양경맥의 낙혈은 지정혈이다[手太陽之別名曰支正].
순행 부위 : 손목에서 5치 올라가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소음심경으로 갔으며 다른 한 가지는 팔 굽으로 올라가고 견우혈(肩우穴)에 연계되었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뼈마디에 맥이 없어 팔 굽을 쓰지 못하고 허하면 사마귀가 생긴다.
8) 족태양경맥의 낙혈은 비양혈이다[足太陽之別名曰飛陽].
순행 부위 : 바깥쪽 복사뼈에서 7치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소음신경으로 갔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콧구멍과 머리와 잔등이 아프고 허하면 코피가 난다.
9) 수소양경맥의 낙혈은 외관혈이다[手少陽之別名曰外關].
순행 부위 : 손목 바깥쪽에서 2치 올라가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궐음심포경으로 갔으며 팔을 돌아서 가슴으로 들어갔다.
병 증후 : 여기에 생긴 병은 실하면 팔 굽이 가느라 들고 허하면 팔을 구부리지 못한다.
10) 족소양경맥의 낙혈은 광명혈이다[足少陽之別名曰光明].
순행 부위 : 바깥쪽 복사뼈에서 5치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궐음간경으로 갔으며 아래로 내려가 발등에 얽히었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궐증이 생기고 허하면 유벽증이 생겨 앉아서 일어나지 못한다.
11) 수양명경맥의 낙혈은 편력혈이다[手陽明之別名曰偏歷].
순행 부위 : 손목에서 3치 뒤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음폐경으로 갔으며 다른 한 가지는 팔을 따라 위로 올라가 견우혈을 돌아서 턱자개미와 한쪽 이빨로 올라갔다. 여기서 갈라진 것은 귀로 들어가 종맥(宗脈)과 합하였다.
병 증후 : 병이 실하면 충치가 생기고 귀가 먹으며 허하면 이빨이 시리고 가슴이 저리다.
12) 족양명경맥의 낙혈은 풍륭혈이다[足陽明之別名曰豊隆].
순행 부위 : 바깥쪽 복사뼈에서 8치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족태음비경으로 갔으며 또 한 가지는 정강이뼈 바깥쪽을 따라 위로 올라가 머리와 목에 얽히고 모든 경맥의 기와 합하여 다시 내려가 목구멍에 얽히었다.
병 증후 : 여기에 병이 생겨 기가 치밀어 오르면 후비가 생기어 갑자기 말을 못하게 된다. 실하면 전광(癲狂)이 생기고 허하면 다리를 구부리지 못하고 정강이가 여윈다.
13) 임맥의 낙혈은 회음혈이다[任脈之別名曰會陰].
순행 부위 : 전음과 항문 사이에 있으며 구미혈(鳩尾穴)에서 내려와 배에 흩어졌다.
병 증후 : 여기에 생긴 병이 실하면 뱃가죽이 아프고 허하면 가렵다. 이 때에는 이 침혈을 잡아서 놓는다[영추].
14) 독맥의 낙혈은 장강혈이다[督脈之別名曰長强].
순행 부위 : 꽁무니 끝에 있다. 등뼈대를 따라 목으로 올라와 머리 위에서 흩어졌다가 다시 내려가 어깨뼈로 가서 좌우로 갈라져 족태양방광경으로 갔으며 등뼈를 뚫고 지나갔다.
병 증후 : 여기에 생긴 병은 실하면 잔등이 뻣뻣하고 허하면 머리가 무겁다.
15) 비의 대락은 대포라고 한다[脾之大絡名曰大包].
순행 부위 : 연액혈(淵腋穴)에서 3치 아래에 있으며 가슴과 옆구리에 분포되었다.
병 증후 : 여기에 생긴 병은 실하면 몸이다 아프고 허하면 모든 뼈마디에 힘이 없다. 이 맥은 그물처럼 얽혔으므로 혈병은 다 비의 대락을 잡아 놓는다[영추].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법 교본 12. 유모혈 (0) | 2012.10.22 |
---|---|
침법 교본 11. 십육극혈 (0) | 2012.10.22 |
침법 교본 9. 십이원혈 (0) | 2012.10.22 |
침법 교본 8. 정격과 승격 (0) | 2012.10.22 |
침법 교본 7. 오행침 배혈법 및 보사법 (0) | 201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