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케이스 모음 3중 일부에 대한 질문

별꽃바람 2008. 12. 9. 13:56

 

아래 내용은 케이스 3의 내용 중 일부에 대한 질문과 답입니다.

제가 아는 만큼만 적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여전히 틀린 문제들이 좀 있습니다.

그 중에서 2개는 잘 이해가 안 됩니다.


1)아래 케이스에서 화는 실한 것이 분명한데, 목은 어떻게 해석하셨습니까?

---------------------------------

김** 남 30 173/73 맥 현삭 건장한 체격

택배회사직원. 땀 많이 흘리시고 열 많으심. 물도 많이 마심. 예전 7개월 만에 약 10kg 체중 빠짐. 주증상은 오른쪽 손목 양계혈 근처에 통증이 심해서 손목을 위로 들면 통증이 심하심. 목화가 실한 것으로 보고, 몸에 태음습이 부족한 것 같아서 왼쪽 내정을 보했더니 손목 통증이 많이 없어지시고 위고 드는 것도 많이 올라가심.

 

답변) 우선 삼부혈 케이스는 임상에서 여러 한의사님들이 경험했던 것을 김홍경선생님에게 보고한 내용입니다. 물론 그 중 김홍경선생님이 오류를 지적한 내용도 있기는 합니다. 제가 올린 것 중엔 그런 것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일단 위 케이스를 보면 택배회사 직원이고 맥이 현삭하다고 했습니다. 삼부혈에서 대중이 어려운 부분이 이런 것입니다. 금토가 확실하지 않고 화수도 애매 할 때 또는 하나만 확실한 경우입니다. 이럴 때 결정적인 것이 맥상입니다. 긴현맥은 목, 삭맥은 화, 지완맥은 수, 삽맥은 금, 침활맥은 토이지요.


문제는 일반인이 맥을 분별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위 경우는 택배회사 직원으로 체격이 건장하다고 했으므로 근육질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겠지요. 게다가 맥까지 현삭하다고 했으므로 맥 자체로 목화실이 되는 것이죠. 평소 자신의 맥을 늘 관찰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맥의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맥을 자주 보십시오. 의외로 건장한 사람이 맥이 느리고 약한 경우가 있고, 마른 사람이 활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옛 의서에 맥도 모르고 침통 흔들지 말라는 말이 있는 것 같습니다.


2) 아래 케이스는 뚱뚱하다는 것과 신정격과 부류, 이 3가지의 관계를 잘 모르겠습니다.(혹시 부종 때문에??!!)

-----------------------------------

김00(77, 女)

체격이 약간 뚱뚱하다. 다른데서 침을 맞았는데 더 안 좋아지셨다고 한다. 손발에 부종이 있는 듯하다. 腎正格의 의미를 같이 가져간다는 생각으로 부류를 補하였다. 티칭을 잘 해 주었더니 다음번에 꼭 다시 침을 맞고 싶다고 하신다. (이** 선생님 케이스)


이 부분에서 뚱뚱하면 일단 토실이겠지요. 그런데 이 경우는 상세한 설명이 없어 대중들께서 이해하기 어렵겠습니다. 맥 상태를 적어 놓았으면 좋았을 텐데 원문에 없군요. 삼부혈 케이스는 게시판에 글을 그냥 올리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진료가 끝난 뒤 저녁에 모두 모여 진료회의를 합니다. 거기에서 특이한 진료 사례를 발표하면서 서로 토의를 하는데 이 자료를 모은 것입니다.


아마도 위의 경우 토론에서는 여러 이야기가 있었을 것입니다. 상하와 관계없이 부류를 선택한 것은 분명 목토실이라는 전제가 있었던 듯싶습니다. 수화금혈은 부류와 소택이 있죠? 부류는 족소음신경의 금혈이고, 소택은 수태양소장경의 금혈입니다.


부류는 수화금으로 금생수에 의해 족소음신경을 오행상으로 보하는 혈입니다. 따라서 김홍경선생님께서 꿩알혈(꿩도 먹고 알도 먹고) 또는 도가혈(도랑치고 가재 잡고)이라고 하죠.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 해서요.^.^ 참고로 오행의 원리를 이용하여 장부를 보하는 것을 정격이라 하고 사하는 것을 승격이라 합니다.


족소음신경의 정격은 신경이 수이므로 수를 생하는 금을 보하고 극하는 토를 사하면 됩니다. 보사는 자경과 타경을 택하는데 우선 자경의 금인 부류를 보하고 토인 태계를 사합니다. 타경은 금에 속하는 폐경의 금혈인 경거를 보하고, 토에 속하는 비경의 토인 태백을 사해 줍니다.


동양의학혁명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동양의학혁명은 전문이 사암넷에 게시되어 있고 제게도 있으니 필요하시면 요청하세요.^.^


소택은 화수금혈로 삼부혈 자체로 뚱뚱한 분의 풍증을 고치는 의미가 있습니다. 더불어 소장경의 제반 혈허를 치료하고 혈액의 열을 낮추어 주는 효과도 있답니다.


삼부혈은 가장 안전하고 누구나 응용하기 쉬운 치료 방법입니다. 그러나 그 속에 들어 있는 수많은 의미는 한꺼번에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삼부혈을 보하는 것만 공부하고 있지만 공부가 쌓이면 사하는 것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물론 이부혈이나 오행 보사를 이용한 장부 치료법도 배우게 되겠지요.


더 나아가 천부혈이나 그 이상의 묘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사암침법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삼부혈입니다. 삼부혈의 의미를 뼛속 깊이 이해하시고 나면 무궁무진한 활용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끝으로 우화 한 가지입니다.

 

제자들이 부처님께 이렇게 여쭈었답니다.

“왜 여기 가서는 지옥이 있다고 말씀하시고 저기 가서는 지옥이라는 것 자체가 없다고 하십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죠.

“더하기 빼기도 모르는 아이에게 미적분을 말하면 이해하겠느냐. 수준에 맞게 가르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열심히 공부하셔서 우리 모두 미적분 아니 지옥 없는 세계를 볼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