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맥경화
- 한의학의 기본이 음양오행의 조화라는 것은 잊지 마십시오. 아무리 좋은 약도 자기 체질에 맞지 않으면 독약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잘 읽어 보시고 자신의 체질에 맞는 것을 골라 드십시오. 자신의 체질을 잘 모르신다면 함께 공부해 봅시다.
동맥경화에 좋은 약들을 몇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사, 시엽(감나무 잎), 홍화(잇꽃), 솔잎차, 수근(미나리)뿌리, 대추, 영지버섯, 양총(양파), 교맥(메밀), 대산(마늘), 결명자, 택사, 죽력(竹瀝), 대두황권(검은 콩을 발아시킨 것), 곤포(다시마), 검은콩, 솔잎, 설탕, 오매(매실), 사과, 상지(뽕나무가지), 누로(절굿대, 뻐꾹채), 인삼, 잣, 익모초, 산죽, 교맥, 탱자
이토록 많은 약들이 소개된 것은 그만큼 동맥경화가 흔하다는 의미입니다. 더해서 체질에 따라 약이 다르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좋은 약도 체질에 맞지 않으면 독약일 뿐입니다. 민간에서 만병통치약처럼 소개되던 둥굴레, 쇠뜨기, 헛개나무, 녹차, 마늘 등이 어느 순간 식어 버리는 것은 만병통치약을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위에 설명한 약재의 약성을 파악하고 자신의 음양오행에 맞는 것을 고르시기 바랍니다. 한약을 지을 때는 여러 약재를 섞어 한가지 약재의 약성이 한쪽으로 치우친다면 다른 약으로 보완을 해 주므로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를 장기간 먹을 경우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드리지만 무엇이든 체질에 맞으면 약, 맞지 않으면 독이 됩니다. 체질을 모르시면 음양이라도 맞추어 주십시오. 체질은 수십, 수백가지로 분류될 수 있지만 음양은 단 두가지이므로 조금만 공부하시면 터득하시게 될 것입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다음카페 홍경사랑(http://cafe.daum.net/ilovekimo)으로 오시거나 김홍경선생님의 ebs 강의 동영상을 보시기 바랍니다. 음양의 부조화가 곧 병을 부른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무심코 먹는 음식, 듣는 음악, 보는 색깔, 행동 하나 하나에도 음양이 숨어 있습니다.^.^
끝으로 아래 내용을 잘 읽어 보시고 적당한 것을 골라 복용하세요.
민간요법 자료에서 : 동맥경화
동맥벽은 탄력성이 많으며 내면이 매끈하여 심장박동에 따라 피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런 동맥벽이 굳어져서 탄력성이 감소하고 내면에 군데군데 기름기가 끼이고, 이상조직이 증식하여 동맥의 내부 직경이 좁아지는 현상을 동맥경화라 합니다. 따라서 동맥경화란 구체적인 병명이 아니고 동맥의 병적인 변화를 말하는 의학용어입니다
동맥 내경이 좁아지면 자연히 좁아진 부분을 통과하는 혈류는 장해를 받게 됩니다. 동맥 내경이 좁아지더라도 어느 정도까지는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어느 한계 이상으로 좁아지면 비로소 그 혈관의 말초에 빈혈 현상이 일어나서 여...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별꽃바람83님 원글보기
메모 :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부혈 강의 13 마르고 신경질적인 사람 보약혈 - 태계혈 (0) | 2009.02.28 |
---|---|
[스크랩] Re: 여성 갱년기 처방법 질문 (0) | 2009.02.26 |
[스크랩] Re: 위가 너무나아파요 (0) | 2009.02.25 |
[스크랩] Re: 한성역절풍 (0) | 2009.02.25 |
[스크랩] Re: 수족냉증 (0) | 200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