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족양명위경 해계혈(토금화 삼부혈) 보하는 방향
경혈위치
해계혈은 둘째와 셋째발가락 사이를 따라 발등 위쪽으로 올라가 발목 부분을 약간 구부리면 한가운데 우묵한 부분입니다.
고전의 경혈설명 치료증상
해계혈은 짚신끈을 묶는 곳에 위치한다고 해서 초혜대혈(草鞋帶穴)이라고도 합니다.
전통 침법에서는 해계혈은 오수혈 배열에서 족양명위경의 경혈입니다. 가을의 병은 경혈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해계혈은 편두통, 정두통, 소화불량 등에 사용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복부에서 기가 문란해졌을 때 사용한다고 합니다. 눈꺼풀이 풀어져 덮는 상검하수에 특효혈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침법으로 발목이 아픈 경우에도 사용하며, 경계, 정충 증에도 사용합니다.
오행속성
해계혈은 위의 토 기운과 양명의 금기운 그리고 양경락의 오수혈 배열에서 경혈이므로 화기운을 함께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계혈을 보해주면 토금화 기운을 동시에 넣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해계혈은 해감기
이는 해계혈이 토금화의 특성을 갖고 있어 찬바람을 맞아 감기가 오려 할 경우에 미리 보해주면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서 붙인 이름입니다.
해계혈은 냉두풍
해계혈을 보하면 상체에 열을 공급합니다. 갑자기 찬바람을 맞으면 머리가 아픈데 이런 경우 해계혈을 보해주면 쉽게 풀립니다. 그런 특성을 표현하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치료효과 및 지압방법
해계혈을 보해주면 평소 오행 중 수목이 실한 경우에 발생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목이 실한 사람 중 상체에 냉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예민하면서 몸이 차서 상체의 기혈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생기는 제반증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감기가 대표적인 증상이며 위가 차서 소화가 안 되면서 경련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사용하면 좋습니다.
김홍경선생님은 해계혈의 위치가 관절과 인대가 모인 곳이라 위험하기 때문에 침을 치료 할 때는 족삼리로 대신합니다. 물론 지압은 그 자리를 그대로 해도 됩니다.
음양탕(陰陽湯)
팔팔 끓인 물 반 컵에 차가운 물을 조금 부어서 바로 복용하시면 인체의 상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줍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생숙탕(生熟湯)이라고도 하며 토사곽란 위장병의 명약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래 뜨거운 물의 기운이 위로 올라가고 위의 차가운 물의 기운이 아래로 내려오는 대류현상으로 기혈 순환에 큰 효험이 있습니다.
뜨거운 양(陽)의 기운인 물과 차가운 음(陰)의 성질인 물이 만나서 상화순환(대류현상)할 때 복용하시면 인체의 상하 기운을 원활하게 소통케(水昇火降 : 水氣는 상승하여 머리를 맑게 하고 火氣는 하강하여 아랫배를 따듯하게 해줌) 하는 藥水의 역할을 합니다.
정심주(定心住)
마음을 고요히 하여 오로지 아픈 통처(痛處)를 주시하는 것이 정심주입니다. 마음은 비워야 천지를 포용할 수 있고, 맛보는 혀는 맛이 없어야 만 가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허공은 비어서 천지 일월과 별들의 운행을 담고 있듯이 맛이 없는 맛이 맛 중의 맛입니다.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은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짜고, 떫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모든 맛을 보는 혀 자체의 맛은 맛볼 수 없습니다.
혓바닥이 본래 어떤 특정한 맛이 없어야 수 만 가지 맛을 느낄 수 있듯이 우리의 마음도 비어 있어야 수 만 가지 마음을 이해하고 온전히 느낄 수 있습니다.
매운 맛으로 괴로울 때 단 설탕이 임시방편의 약이 될 수 있으나, 근본 치료는 역시 맑은 물로 씻는 것입니다.
심신이 지치고 병들 때 건강은 비어있는 마음에서 옵니다.
내면을 주시하는 깨어있는 고요한 마음이 건강을 회복하는 지름길입니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7.삼부혈공부<뚱뚱한 사람 중풍예방 특효!-소택혈> (0) | 2009.10.08 |
---|---|
헛개나무 벌나무 노나무 (0) | 2009.10.08 |
Re:5.삼부혈공부<한열왕래, 상열하한-함곡혈> (0) | 2009.10.08 |
한약 처방과 제조기 (0) | 2009.10.08 |
사암침법 측면에서 본 한의학의 기초와 응급처치법 (0) | 2009.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