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족소양담경 양릉천혈(화목수 삼부혈) 보하는 방향
경혈위치
양릉천혈은 종아리 무릎 바깥쪽 뒤의 작은 뼈 아래에 함몰된 곳에 있습니다.
고전의 경혈설명 치료증상
양릉천혈은 양릉(陽陵) 또는 양지릉천(陽之陵泉)이라고도 합니다. 족소양담경의 오수혈 배치상 합혈로 토에 속하며 8회혈 중 근회이기도 합니다.
양릉천혈은 관절질환으로 굴신이 어려운 경우, 무릎질환, 각기, 팔회혈 중 근회에 속하므로 근질환, 근육 이상으로 인한 협통, 편두통, 반신불수 등에 사용합니다.
오행속성
양릉천혈은 담의 목 기운과 소양의 화 기운 그리고 오수혈 배열에서 양경락의 합혈이므로 토 기운을 함께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릉천혈을 보해주면 목화토 기운을 동시에 넣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양릉천혈 하선천
양릉천혈은 오행상 목화토의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릉천혈은 오행의 상생 배치에서 목화토 즉 선천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아래쪽에 혈이 있으므로 하선천이라 한 것입니다.
양릉천혈 냉조병
양릉천혈은 목화토의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몸이 차고 마른 사람들의 제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합니다. 차고 마른 사람들의 질병을 치료한다는 의미에서 냉조병이라고 한 것입니다.
치료효과 및 지압방법
양릉천혈을 보해주면 평소 오행 중 금수가 실한 경우에 발생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금수가 실한 경우 몸이 마르고 찬 체질이므로 관절통, 감기와 같은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런 분들은 양릉천혈을 지압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양릉천혈은 하체에 있는 선천혈이므로 상체가 냉해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스스로 낫게 해 줍니다.
양릉천혈의 지압은 화살표 방향으로 해 주시면 됩니다. 지압을 해 주셔도 좋고 가볍게 쓰다듬거나 긁어만 주셔도 좋습니다.
양릉천혈 지압치료 임상예
양릉천혈은 상체가 차서 나타나는 감기, 어깨결림, 소화불량 등 다양한 질병에 효과적입니다.
음양탕(陰陽湯)
팔팔 끓인 물 반 컵에 차가운 물을 조금 부어서 바로 복용하시면 인체의 상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줍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생숙탕(生熟湯)이라고도 하며 토사곽란 위장병의 명약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래 뜨거운 물의 기운이 위로 올라가고 위의 차가운 물의 기운이 아래로 내려오는 대류현상으로 기혈 순환에 큰 효험이 있습니다.
뜨거운 양(陽)의 기운인 물과 차가운 음(陰)의 성질인 물이 만나서 상화순환(대류현상)할 때 복용하시면 인체의 상하 기운을 원활하게 소통케(水昇火降 : 水氣는 상승하여 머리를 맑게 하고 火氣는 하강하여 아랫배를 따듯하게 해줌) 하는 藥水의 역할을 합니다.
정심주(定心住)
마음을 고요히 하여 오로지 아픈 통처(痛處)를 주시하는 것이 정심주입니다. 마음은 비워야 천지를 포용할 수 있고, 맛보는 혀는 맛이 없어야 만 가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허공은 비어서 천지 일월과 별들의 운행을 담고 있듯이 맛이 없는 맛이 맛 중의 맛입니다.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은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짜고, 떫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모든 맛을 보는 혀 자체의 맛은 맛볼 수 없습니다.
혓바닥이 본래 어떤 특정한 맛이 없어야 수 만 가지 맛을 느낄 수 있듯이 우리의 마음도 비어 있어야 수 만 가지 마음을 이해하고 온전히 느낄 수 있습니다.
매운 맛으로 괴로울 때 단 설탕이 임시방편의 약이 될 수 있으나, 근본 치료는 역시 맑은 물로 씻는 것입니다.
심신이 지치고 병들 때 건강은 비어있는 마음에서 옵니다.
내면을 주시하는 깨어있는 고요한 마음이 건강을 회복하는 지름길입니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유혈 배혈법 (0) | 2009.10.12 |
---|---|
모든 병은 내가 만든다 (0) | 2009.10.11 |
Re:17.삼부혈공부<소심한 사람 대담해지는-협계혈> (0) | 2009.10.10 |
Re:16.삼부혈공부<뚱뚱하고 냉한체질의 평생지압혈-규음혈> (0) | 2009.10.10 |
Re:15.삼부혈공부<냉심뽀, 하순환혈-곡택혈> (0) | 2009.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