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한약약성가 喬木

별꽃바람 2010. 6. 18. 07:42

 

====================== 喬 木 (二十種) =================

黃栢苦寒主降火

濕熱骨蒸下血可

 

黃栢은 味苦 性寒하다. 主로 火를 내리며, 濕熱․骨蒸․下血 등에도 좋다.

 

황벽나무껍질 ①一名 黃蘗이다. ②足少陰과 足太陽으로 들어 가 引經하는 藥이다. ③生用하면 實火를 瀉하고, 熟用하면 胃를 傷하지 않는다. 酒製하면 上焦를 다스리고, 鹽製하면 下焦를 다스리고, 蜜製하면 中焦를 다스린다. ④乾漆을 惡하고 硫黃을 伏하고 鐵을 忌한다.(本草). ⑤火가 盛하면 童便으로 쪄서 쓴다.(本草). ⑥요즈음 補陰藥에서 왕왕 知母와 黃栢을 君藥으로 삼기 때문에 眞陽이 損傷을 입어 다른 病이 생기게 한다.(景岳).

 

厚朴苦溫消脹滿

痰氣瀉痢不可緩

 

厚朴은 味苦 性溫하다. 脹滿을 消失시키며, 消痰․下氣한다. 瀉痢에는 이 厚朴을 急히 써야 한다.

 

①土에 屬하나, 火性도 있다. ②薑汁炒해서 쓴다. ③乾薑을 使藥으로 삼는다. 澤瀉․消石․寒水石을 惡하고, 綠豆를 忌한다.(本草). ④제주도에서 난다.

 

杜冲辛甘固精能

小便淋瀝腰膝疼

 

杜冲은 味辛甘하다. 固精하기에 能하며, 小便淋瀝과 腰痛․膝痛 등을 다스린다.

 

①性溫하다. ②肝으로 들어 가고, 腎을 補한다. ③酉禾 炙이나 蜜炙을 하든지 혹은 薑汁炒하는데, 부러뜨렸을 때 안의 하얀 실이 끊어지도록 되게하여 쓴다. ④玄蔘과 蛇皮를 惡한다. ⑤鐵을 忌한다.(本草).

 

樗根味苦腸風痔

瀉痢崩濕澁精髓

 

樗根(樗根白皮)는 味苦하다. 腸風․痔漏․瀉痢․血崩․濕症 등을 다스리며, 遺精을 澁收한다.

 

가죽나무뿌리껍질 ①炒하거나 蜜炙해서 쓴다.(丹心).

 

乾漆辛溫主殺蟲

通經破瘕追積聚

 

乾漆은 味辛 性溫하다. 主로 殺蟲하며, 通經․破瘕하고, 積聚를 追放한다.

 

마른옻 ①炒熟하면 사람의 腸胃를 損傷시키지 않는다. 혹은 燒存性으로 하여 쓴다. ②계란을 畏하고, 油脂를 忌한다.(本草). ③옻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계란 흰자로 和藥해서 쓴다.(正傳). ④[生漆]은 長蟲(蛔蟲)을 除去한다. ⑤蟹黃은 옻을 물이 되게 한다.(入門).

 

海桐皮苦腰脚痺

疳癬風氣瀉與痢

 

海桐皮는 味苦하다. 腰痛․脚痺․五疳․疥癬․風痺․氣滯․泄瀉 및 痢疾을 다스린다.

 

엄나무껍질

 

楝根性寒追諸蟲

能止疼痛積聚功

 

苦練根은 性寒하다. 모든 蟲을 없애며, 能히 疼痛을 멎게 하고, 積聚에 效力이 있다.

 

①(雌雄의 두 種類가 있는데) 雄은 뿌리가 赤色으로 毒이 있으며, 雌(뿌리가 흰다)를 藥으로 쓰는데, 一兩마다 찹쌀 五十 알을 같이 넣고 달여서 毒을 없앤다.(本草). ②제주에서만 있다.(寶鑑).

 

楝子味苦治傷寒

膀胱疝氣水濕安

 

川楝子는 味苦하다. 傷寒을 다스리며 膀胱疝氣와 水道濕熱을 내린다.

 

一名 金鈴子라고 한다.

 

槐花味苦殺蛔蟲

熱痢痔漏及膓風

 

槐花는 味苦하다. 蛔蟲을 죽이며, 熱痢․痔漏 및 膓風을 다스린다.

 

홰나무꽃 ①陽明과 厥陰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열매(實)]는 膓風을 다스리며, 殺蟲하고, 墮胎한다. ③[가지(枝)]는 달여서 陰囊濕疹을 씻는다. [흰껍질(白皮)]은 달여서 五痔를 씻는다.(本草).

 

秦皮苦寒治熱痢

煎洗目腫兼風淚

 

秦皮는 味苦 性寒하다. 熱痢를 다스리며, 달여서 目腫과 風淚를 씻는다.

 

물푸레나무껍질

 

牙皂味辛通關竅

敷腫消痛吐痰妙

 

牙皂(牙皂子)는 味辛하다. 九竅를 通關하며, 腫處에 붙이면 痛症을 없애고, 吐痰하게 하는 效能이 妙하다.

 

쥐엄나무열매 一名 皂莢. ①性溫하다. ②手太陰과 陽明․厥陰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③蜜炙하거나 酉禾 炙해서 쓴다. ④天門冬을 惡하고, 人蔘․苦蔘을 畏하고, 丹砂․硫黃․硇砂를 伏한다. ⑤[씨(子)]는 主로 風을 다스리고, 膓을 潤澤하게 한다.(本草).

 

皂角子溫下胞蟲

妬乳癰瘡及大風

 

皂角子는 性溫하다. 胞를 내리고, 殺蟲하며, 妬乳․癰瘡 및 大風을 다스린다.

 

①藥力을 이끌고 上行한다. ②또 癰疽가 터진 곳도 다스릴 수 있다.(本草).

 

訶子味苦澁腸可

痢嗽痰喘降肺火

 

訶子는 味苦하다. 澁腸하여 泄痢를 멎게 하며, 咳嗽․痰喘을 다스리고, 肺火를 내린다.

 

①性溫하다. ②一名 訶黎勒이다. ③崩漏․帶下를 다스려 安胎하게 한다. ④泄氣하므로 氣虛者는 경솔히 服用하기 어려울 것 같다.(本草). ⑤麵에 싸서 煨하거나 酒蒸해서 쓴다.(入門).

 

水楊苦平癰腫瘻

久痢赤白浴發痘

 

水楊은 味苦 性平하다. 癰腫․痔瘻와 오래 된 赤白痢를 다스리며, 水楊을 달인 물에 沐浴을 하면 發痘한다.

 

갯버들 ①[垂絲柳]는 味甘 性溫하며, 酒毒을 풀고 小便을 通利시킨다. ②[柳絮]는 버들개지이다. ③濕痺와 黃疸․金瘡을 다스리며, 止血도 可能하다. 羊毛 대신으로 요를 만들어 어린애를 누이면 더욱 좋다. 옷(衣)에 붙으면 벌레가 생기고, 연못에 들어 가면 浮萍이 된다. ④[잎(葉)]은 달여서 주로 옻오른 데를 씻는다. ⑤[가지(枝)]는 술에 삶아서, 그 물로 齒痛이 있을 때에 양치질한다. ⑥[白楊]은 사새나무껍질인데, 脚腫과 風毒을 다스린다.(本草).

 

楡皮味甘利關節

通水除淋腫痛撤

 

楡皮는 味甘하다. 關節을 滑利하며, 水道를 通利하고, 五淋을 除去하고, 腫痛을 없앤다.

 

느릅나무껍질 ①풀처럼 눅눅하게 찧어서 기와나 돌도 붙인다.(本草).

 

蕪荑味辛敺邪蟲

疥癬痔癭滯及風

 

蕪荑는 味辛하다. 邪蟲을 驅除하며, 疥癬․痔瘻․滯症 및 風症을 다스린다.

 

*왕느릅나무의 果實을 加工한 것.

 

蘇木甘鹹行積血

産後月經兼撲跌

 

蘇木은 味甘鹹하다. 積血을 通行하게 하여 産後月經을 순조롭게 하고, 撲跌의 瘀血도 다스린다.

 

다목 ①一名 蘇方木이다. ②三陰血分으로 들어 가며, 少用하면 和血하고, 多用하면 破血한다.(本草).

 

樺皮苦平乳癰疽

肺風癮疹痘毒散

 

樺皮는 味苦 性平하다. 乳癰․黃疸․肺風毒․癮疹․痘毒 등을 없앤다.

 

벚나무껍질 ①함경도에서 난다.

 

棕櫚皮澁專主血

吐衄崩帶血淋絶

 

棕櫚의 껍질은 澁하다. 오로지 血을 主治한다. 吐血․衄血․血崩․帶下․血淋 등을 없앤다.

 

종려 ①검게 태워서 쓴다. 亂髮과 섞어서 쓰면 效果과 더 나아진다.(本草).

 

巴豆辛熱治痰祟

胃寒癥積大通利

 

巴豆는 味辛 性熱하다. 痰水․胃寒․癥積․積聚를 다스려 水穀의 길을 通利시킨다.

 

①大毒이 있다. ②大黃․黃連․藜蘆․漿豉․冷水 등을 畏한다. 火를 얻으면 좋고, 牽牛子와는 相反한다. ③종이로 눌러서 去油한 것을 霜이라고 한다. 혹은 燒存性으로 해서 쓰기도 한다. ④斬關奪命의 將帥와도 같으므로 濫用을 삼간다. ⑤쥐가 먹으면 살찐다.(本草).

 

==================== 灌 木 (二十種) ===================

桑椹子甘熱渴歇

解金石毒染鬢髮

 

桑椹子는 味甘하다. 熱渴을 멈추며, 金石의 毒을 풀고, (久服하면) 鬢髮을 (검게) 染色한다.

 

오디 ①箕星의 精이 있다.(本草).

 

桑皮甘辛定嗽喘

瀉肺火邪功不淺

 

桑白皮는 味甘辛하다. 咳嗽․喘息을 鎭靜시키며, 肺의 火邪를 瀉하는 效力이 적지 않다.

 

뽕나무뿌리껍질 ①藥性은 寒平하다. ②手太陰으로 들어 간다. ③鐵을 忌한다.(本草). ④利水하는데는 生用하고, 咳嗽에는 蜜蒸하거나 炒해서 쓴다.(入門). ⑤[잎(葉)]은 消腫․止渴․利水에 使用하며, 目病에는 洗眼한다. ⑥[가지(枝)]는 水氣․脚氣를 治하며, 利小便하고, 臂痛을 다스린다. ⑦[花]는 血崩․帶下에 炒用한다. ⑧[桑柴灰]의 淋汁(잿물)은 小毒이 있다. 赤小豆를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水腫을 내린다.(本草).

 

桑螵蛸鹹腰痛疝

淋濁精泄虛損患

 

桑螵蛸는 味鹹하다. 腰痛․傷中疝瘕를 다스리며, 淋濁․精泄 등의 虛損의 疾患에 쓴다.

뽕나무에 붙은 螳螂(사마귀)의 알둥지(卵鞘).

 

*陰虛火盛한 者와 膀胱에 熱이 있어서 小便이 頻數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寄生甘苦腰痛麻

續筋壯骨風濕佳

 

桑寄生은 味甘苦하다. 腰痛麻痺를 다스리며, 續筋․壯骨하게 하고 風濕에도 좋다.

 

뽕나무겨우살이의 莖葉 ①鐵을 忌한다. ②火氣를 보이지 말라.(本草).

 

楮實味甘治陰痿

壯筋明目補虛奇

 

楮實은 味甘하다. 陰痿를 다스리며, 壯筋․明目․補虛하는데 신기한 效力이 있다.

 

닥나무열매 ①酒蒸해서 쓴다. ②[껍질(皮)]은 水腫을 다스리고, 小便을 通利하게 한다. ③[종이(紙)]를 태운 재(燒灰)는 血暈․血崩을 멎게 한다.(本草).

 

枳實味苦消食痞

破積化痰是長技

 

枳實은 味苦하며, 食痞를 없앤다. 食積을 破하고, 化痰시키는 것이 長技이다.

 

탱자나무의 아직 익지 않은 열매 ①藥性은 微寒하다. ②麩炒해서 쓴다. 蜜炙하면 水積을 破한다. ③묵은 것이 좋다.(本草).

 

枳殼微溫解氣結

寬腸消脹不可缺

 

枳殼은 性微溫하다. 氣結을 풀며, 腸을 넓히고, 脹滿을 가라앉히는데 不可缺하다.

 

탱자나무의 成熟한 果實 ①藥性은 微寒하다. ②氣血이 弱한 사람이 먹으면 氣를 損傷하므로 좋지 않다. ③枳殼은 主로 위쪽의 氣를 다스리고, 枳實은 主로 아래의 血을 다스린다.(枳殼 主高主氣 枳實 主下主血). ④묵은 것이 좋다.(本草). ⑤제주에만 이것이 있다.(寶鑑).

 

梔子性寒降小便

吐衄鬱煩胃火煽

 

梔子는 性寒하다. 小便을 내리며, 吐血․衄血․鬱血․心煩 및 胃火가 盛하는 것을 다스린다.

 

치자 ①肺血分에 들어 간다.(本草). ②入藥에는 山梔子를 쓴다.(丹心). ③心熱과 腎熱에는 仁을 쓰고, 肌表熱에는 껍질(皮)을 쓰고, 보통은 生用하고, 虛火에는 童便炒해서 쓰고, 止血에는 검게 炒해서 쓰고, 肺와 胃를 식히는 데는 酒炒해서 쓴다.(入門).

 

酸棗味酸汗煩蠲

生能少睡炒多眠

 

酸棗仁은 味酸하다. 虛汗․煩渴을 다스리며, 날 것으로 쓰면 잠을 적게 하고, 새카맣게 炒한 것은 잠을 많게 한다.

 

멧대추씨 ①肝을 補益한다. ②防己를 惡한다.(本草).

 

山茱性溫治腎虛

精髓腰膝耳鳴如

 

山茱萸는 性溫하다. 腎虛를 다스리며 固精하고 腰膝을 덥게 하고 耳鳴을 고친다.

 

①足厥陰과 少陰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酒浸해서 去核한다. 核은 反對로 滑精하기 때문이다. ③桔梗․防己․防風을 惡한다.(本草).

 

金櫻子甘禁滑通

夢遺遺尿寸白蟲

 

金櫻子는 味甘하다. 滑通을 禁하여 夢遺․遺尿를 다스리며, 寸白蟲을 죽인다.

 

固陰하고 養陰도 하는 佳品이므로 다들 진귀하게 여김은 당연하다.(景岳).

 

郁李仁酸能潤燥

破血消腫便可導

 

郁李仁은 味酸하다. 能히 潤燥하게 하며, 破血․消腫하고, 大小便을 通利하게 한다.

 

①脾氣分으로 들어 간다. 蜜浸․陰乾해서 쓴다.

 

女貞實苦烏髭髮

去風補虛壯筋骨

 

女貞實은 味苦하다. 鬚髥과 머리털을 검게 하며, 去風․補虛하고, 筋骨을 建强하게 한다.

 

①一名 冬靑이다. ②性平하다. ③少陰의 精이므로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으니, 그 腎을 돕는 效力은 可히 짐작할 수 있다.(本草).

 

五加皮寒祛風痺

健步益精瀝餘備

 

五加皮는 性寒하다. 風痺를 除祛하며, 健步․益精하고, 小便 餘瀝을 防備한다.

 

땅두릅 ①性溫하다. ②玄蔘․蛇皮를 惡한다. ③五車星(오거성)의 精氣에 應하여 生하므로 다섯잎이 난다.(本草).

 

枸杞甘溫添精髓

明目祛風陽事起

 

枸杞子는 味甘 性溫하다. 添精․補髓하며, 明目․祛風하고, 陽事를 일으킨다.

 

구기자열매 ①鐵을 忌한다. ②술로 축여서 찧는다.(酒潤搗).(本草).

 

地骨皮寒能解肌

蒸汗熱血强陰宜

 

地骨皮는 性寒하다. 能히 肌熱을 풀며, 骨蒸汗과 熱血을 다스리고, 强陰하는 데도 좋다.

 

구기자나무뿌리 ①足少陰과 手少陽으로 들어 간다. ②雄黃․丹砂를 制하고 鐵을 忌한다. ③甘草水에 담가서 法製한다.(本草).

 

蔓荊子苦頭痛痊

眼淚濕痺並拘攣

 

蔓荊子는 味苦하다. 頭痛을 낫게 하며, 眼淚․濕痺와 拘攣을 아울러 다스린다.

 

승법실 ①性은 微寒하다. ②太陽으로 들어 간다. ③酒蒸해서 쓴다. ④寸白蟲과 長蟲(蛔蟲)을 없앤다. 胃가 虛한 사람은 服用하지 말아야 한다. 痰이 생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本草).

 

牧丹苦寒通經血

無汗骨蒸血分熱

 

牧丹皮는 味苦 性寒하다. 經血을 通利하며, 無汗의 骨蒸과 血分熱 등을 다스린다.

 

모란꽃뿌리 ①足太陰과 手厥陰으로 들어 간다. ②白牧丹은 補하고, 赤牧丹은 瀉한다. ③無汗의 骨蒸을 다스린다. ④貝母․大黃․兎絲子를 畏하고, 砒石을 伏하며, 마늘(蒜)과 鐵을 忌한다.(本草).

 

密蒙花甘能明目

虛瞖靑盲效最速

 

密蒙花는 味甘하다. 能히 눈을 밝게 하는데, 虛瞖․靑盲에 가장 빠른 效力을 나타낸다.

 

酒浸했다가 꿀에 버무려서 찐다.(本草).

 

寶豆溫毒治喉痺

蛔痛蟲傷並瘧痢

 

寶豆는 性溫하고 (味는 대단히 苦하고) 毒이 있다. 喉痺와 蛔蟲痛․蟲傷 및 瘧痢를 다스린다.

 

馬錢科에 屬하는 寶豆나무의 果實 ①어른(壯者)은 二~三分, 老弱者는 一分 或은 一~二厘에서 그치고, 孕婦는 服用을 禁忌한다.(俗方).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苞木  (0) 2010.06.18
한약약성가 寓木  (0) 2010.06.18
한약약성가 香木  (0) 2010.06.18
한약약성가 苔草  (0) 2010.06.18
한약약성가 石草  (0) 201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