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한약약성가 造釀

별꽃바람 2010. 6. 18. 07:49

 

===================== 造 釀 (十二種) ==================

淡豆豉寒懊憹恙

傷寒頭疼兼理瘴

 

淡豆豉(담두시)는 性寒하다. 懊憹恙과 傷寒頭痛과 瘴氣를 兼하여 다스린다.

 

약전국(콩을 蒸하여 製造한 메주의 一種).

 

*淡豆豉 製法 : 黑大豆 100斤을 蘇葉․麻黃 4斤의 水浸汁으로 蒸하는데, 藥汁이 말라서 없어질 정도로 蒸한 後에 꺼내서 80% 정도 햇볕에 말린다. 햇볕에 말린 콩을 다시 큰 단지 속에 包裝하여 넣고 密封하면 夏季는 3日, 冬季는 5日 정도면 醱酵된다. 충분히 醱酵되면 다시 蒸熟시킨 뒤에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이다.

*淡豆豉의 경우에는 흔히 炒해서 사용해야 한다.

 

*恙 : 병(病) 양, 근심 양

 

*懊憹 : 「傷寒論」에 있음. 汪必昌의 「醫階辨證」에서 “懊憹之狀 心下熱如火灼不寧, 得吐則止”라 하였다. 이는 胸膈間에서 一種의 燒灼嘈雜感을 自覺하는 症狀이다. 病變部位가 胸膈心窩部位이므로 「心中懊憹」라고도 한다. 病因은 대개 表證에서 發汗을 제대로 하지 못했거나, 或은 瀉下法을 誤用하므로, 外邪가 入裏해서 胸膈에 滯留하여, 胃腑를 擾亂시킨 所致이다. 急性 熱病 或은 胃腸炎의 病程에서 볼 수 있다.(漢醫學辭典).

 

豆腐甘平脾和暢

淸熱散血過則脹

 

豆腐는 味甘 性平하다. 脾를 和暢하게 하며, 淸熱하고 散血하나, 過用하면 脹滿症을 일으킨다.

 

두부 ①무우(蘿葍)가 豆腐毒을 다스린다. 豆腐毒에는 술을 忌한다. ②여름에 땀나는 사람은 염려스러우니 더욱 豆腐를 삼가라.(本草). ③米飮이 豆腐毒을 다스린다.(俗方).

 

陳倉穀米調和脾

渴煩瀉痢皆可醫

 

陳倉穀米는 脾를 調和하며, 口渴․心煩․泄瀉․痢疾 등을 다 다스릴 수 있다.

 

창고에 들어 묵은 쌀

 

神麯味甘善開胃

消食破結下痰氣

 

神麯은 味甘하다. 胃를 잘 열며, 飮食을 消化하고, 癥結을 破하고, 痰氣를 내린다.

 

약에 드는 누룩 ①足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누렇게 炒하여 藥에 넣어서 土氣를 돕게 한다. ③[寒食麵]은 主로 破積하고 行氣시킨다. ④[紅麯]은 主로 飮食을 消化하고, 濕胃를 燥하게 하며, 赤痢와 白痢를 다스린다. ⑤묵은 것이 좋다.(本草).

 

麥芽甘溫消宿食

行血散滯腹脹息

 

麥芽는 味甘 性溫하다. 宿食을 消化하며, 行血시키고 散滯하며, 心腹의 脹滿을 가라앉힌다.

 

엿기름 ①누렇게 炒한다.

 

飴糖味甘潤肺脾

止渴消痰滿休施

 

飴糖은 味甘하다. 肺와 脾를 潤澤하게 하며, 止渴하고, 消痰한다. 滿腹感이 있으면 쉬었다가 먹는다.

 

엿 ①太陰으로 들어 간다. ②단 것을 많이 먹으면 그 甘味가 腎을 損傷하고, 骨痛이 생기고, 齒가 빠진다.(本草).

 

醬性冷利除煩熱

魚菜毒與火毒滅

 

醬은 性冷하다. 煩熱을 除去하는데 유리하며, 魚菜毒과 火毒을 없앤다.

 

장 ①飮食과 百藥의 毒을 죽이므로 成人은 醬이 없으면 飮食이나 藥을 먹지 않는다.

 

醋消腫毒積瘕良

産後血暈幷金瘡

 

醋는 腫毒과 積瘕를 없애며, 産後의 血暈과 金瘡을 다스리는 데 좋다.

 

초 ①많이 먹으면 筋骨을 傷한다. ②「王戩(왕전)」은 醋(초)를 먹지 않아서 九十歲를 넘게 살았다. ③魚肉毒과 菜蔬毒을 죽인다.(本草).

 

酒通血脈上行性

少飮壯神過損命

 

酒는 血脈을 通하여 上行하는 性質이 있으며, 少飮하면 壯神하고, 過飮하면 損命한다.

 

술 ①[燒酒]는 원나라 때부터 만들기 시작했는데, 大熱하고 大毒해서 蟲을 죽이고, 瘴疫을 물리치고 洗目하여 赤腫(眼赤腫)을 다스리는 藥으로 썼다. ②[술지게미(糟)]는 草毒․

 

菜毒을 없애며, 打撲으로 瘀血된 자리에 덮는다.(本草). ③藥으로는 [無灰酒]를 쓴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化蟲  (0) 2010.06.18
한약약성가 卵蟲  (0) 2010.06.18
한약약성가 菽豆  (0) 2010.06.18
한약약성가 稷粟  (0) 2010.06.18
한약약성가 麻麥稻  (0) 201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