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한약약성가 卵蟲

별꽃바람 2010. 6. 18. 07:50

 

===================== 卵 蟲 (十種) ====================

石蜜甘平須煉熟

潤燥解毒補中速

 

石蜜은 味甘 性平해진다. 煉熟해서 써야 하며, 潤燥․解毒․補中을 빨리 한다.

 

꿀 ①벌(蜂)은 寒한데 꿀은 溫하다. ②[蠟=밀]은 下痢․膿血․胎動․下血을 다스리는데, 계란 크기만하게 만들어 3~5 沸쯤 끓여서 술 半 되(升)에 넣어 먹으면 당장 效力이 난다.(本草).

 

蜂房鹹苦治癎瘈

腸癰瘰癧牙疼劑

 

蜂房(露蜂房)은 味鹹苦하다. 癎瘈를 다스리며, 腸癰․瘰癧․牙疼(齒痛)의 藥이다.

 

말벌의 집 ①乾薑․丹蔘․黃芩․芍藥을 惡한다.(本草).

 

五倍苦酸療齒疳

痔癬瘡膿風熱覃

 

五倍子는 味苦酸하다. 齒疳과 痔疾․疥癬․瘡膿․風熱이 퍼지는 것을 다스린다.

 

북나무열매 ①一名 文蛤이다.(本草).

 

*붉나무의 葉柄 或은 嫩葉에 오배자진딧물의 刺傷으로 因하여 생기는 囊狀贅生物인 蟲癭(붉나무여름)을 採取하여 乾燥한 것.

*贅 : 군살 췌, 혹 췌.

 

百藥煎酸治嗽痰

下血久痢渴亦堪

 

百藥煎은 味酸하다. 咳嗽와 痰飮을 다스리며, 下血․久痢․渴症도 고친다.

 

*五倍子를 釀造한 것.

 

殭蠶味鹹治風癎

濕痰喉痺瘡毒瘢

 

白殭蠶은 味鹹하다. 風癎․濕痰․喉痺․瘡毒瘢 등을 다스린다.

 

누에가 백강균에 感染되어 죽은 것 ①[原蚕蛾(원잠아)]는 되나기누에 나비로서, 둘째 번인데, 精髓를 더하고, 壯陽한다.(陽氣를 튼튼하게 한다.) ②[蠶沙]는 누에똥을 일컫는데, 麻油에 二~三日밤 浸했다가 보드랍게 갈아 爛弦風에 바르고 하룻밤 지나면 곧 낫는다. ③[繰絲湯]은 고치켠물이다. 消渴에 큰 效驗이 있다.(本草).

 

*原蚕蛾(原蠶蛾) : 누에나방의 수컷(雄)으로서 아직 交配되지 않은 것을 乾燥한 것. 수컷은 날개색(翅色)이 약간 暗色을 띠고 初蟲은 곧 누에인데 桑葉을 먹고 4回脫皮한 後에 고치를 만들고 번데기(蛹)로 化하였다가 8, 9日後에 蛾가 되어 고치를 뚫고 나온다. 이것은 고치를 뚫고 나오자 마자 교미를 한다. 따라서 一才에 2化한 蠶蛾를 原蚕蛾라 한다.

 

蜻蛉微寒能壯陽

止精煖下靑者良

 

蜻蛉(청령)은 性微寒하다. 陽氣를 健壯하게 하며, 精濁을 멈추고 下焦를 따뜻하게 한다. 푸른 잠자리가 좋다.

 

잠자리 ①날개(翅)와 발(足)을 버리고 炒해서 쓴다. ②[樗鷄(저계)]는 베짱이라고도 하고, 지금의 이른바 莎鷄이며, 一名 紅娘子(베짱이)인데, 陰痿를 다스리고, 益精한다. 微炒해서 쓴다.(本草).

 

斑猫有毒主破血

諸瘡瘰癧水道沒

 

斑猫는 毒이 있다. 主로 破血하며, 모든 瘡病과 瘰癧을 다스리고, 水道를 通利한다.

 

가뢰 ①性寒하다. ②二~三月의 莞靑, 四~五月의 王不留行蟲, 六~七月의 葛上亭長, 八~九月의 斑猫, 九~十月의 地膽 등의 主治 效力은 모두 相似하다. ③날개(翅)와 다리(足)를 떼어버리고 찹쌀을 함께 炒熟해서 쓴다. 生으로 쓰면 吐瀉한다.(本草).

 

全蝎味辛却風痰

口眼喎斜癎搐戡

 

全蝎은 味辛하다. 風痰을 물리치며, 口眼喎斜와 癎搐을 이겨낸다.

 

전갈 ①毒이 있다. ②肝血分으로 들어 간다. ③물에 씻어면서 배 속의 흙을 除去한다. ④뿌리의 끝 부분이 效力은 더 强하다.(本草).

 

*全蝎尾는 藥性이 强烈하므로 單獨으로는 쓰지 말며, 全體를 使用하는 것이 좋다.

*全蝎은 대개 硏末로 呑服하는 것이 비교적 良好하며, 일반적으로 煎劑로는 많이 사용하지 아니 하고, 有毒藥物이므로 過用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臨床本草學).

 

水蛭味鹹破積瘀

通經墮産折傷除

 

水蛭은 味鹹하다. 積聚와 瘀血을 破하며, 通經․墮産시키고, 折傷을 다스린다.

 

거머리 ①石灰와 鹽을 畏한다.(本草). *洋方에서는 생거머리(히루딘성분)를 이용, 瘀血을 除去함.

 

蜘蛛氣寒宜狐疝

並治蛇咬疔腫患

 

蜘蛛(지주)는 氣寒하다. 狐疝症에 좋으며, 아울러 蛇咬腫毒과 疔瘡腫毒을 다스린다.

 

말거미 ①[壁錢]은 납거미로서, 毒이 없다. 金瘡과 피가 멎지 않는 데에 汁을 내어 바른다. ②[錢幕]은 小兒嘔吐를 다스린다.(本草).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龍  (0) 2010.06.18
한약약성가 化蟲  (0) 2010.06.18
한약약성가 造釀  (0) 2010.06.18
한약약성가 菽豆  (0) 2010.06.18
한약약성가 稷粟  (0) 201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