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弗居, 夫唯弗居, 是以不去.
이.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오이,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시이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부시, 공성이불거, 유불거야, 시이불거
모든 사람들이 모두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이 있는 것은 추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이 착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는 것은 착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즉 비교할 것이 있어 아름다움과 선함이 있지, 비교할 대상이 없다면 절대적인 아름다움이나 선함이란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있는 것과 없는 것도 상대에 의존해서 생기고, 어려움과 쉬움도 서로 상대적이다. 길고 짦음 역시 상대적이며, 높고 낮음도 서로 높이가 같지 않기 때문에 구분된다. 소리는 여러가지가 어울려야 조화를 이루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르므로 성립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무위로써 일을 행하고 말하지 않고도 가르치을 행하는 것이다. 자연은 온갖 만물을 낳으면서도 소유하지 않는다. 자연은 온갖 만물을 보살펴 주면서도 그 보상을 바라지 않는다. 자연을 결실을 이루하더라도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다.
이렇듯 자연의 무위적인 흐름처럼, 성인은 어디에도 머물지 않기 때문에 영원히 살 수 있다.
김홍경선생님께서 늘 말씀하시는 내용이죠. 음양이란 비교할 것이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니가 있음에 내가 있고 내가 있음에 너가 있다. 양자물리학에서도 물질이 있기에 반물질이 있다. 두 개가 만나면 사라진다. 절대적인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분별 망상에서 벗어나야 자유로워질 수 있다.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217 기준 유망 종목 (0) | 2017.02.19 |
---|---|
이주향의 나를 만나는 시간을 읽고 (0) | 2017.02.14 |
노자 도덕경 1장 해설 (0) | 2017.02.08 |
20170203 기준 유망종목 (0) | 2017.02.04 |
20170126 기준 유망종목 (0) | 2017.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