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爲也, 爲無爲, 則無不治.
삼. 불상현, 사민부쟁, 부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 불견가욕, 사민심불란, 시이성인지치. 허기심, 실기복, 약기지, 강기골. 상사민무지무욕, 사부지자불감위야, 위무위, 즉무불치.
잘난 사람을 우대하지 마라. 그러면 사람들이 다투지 않을 것이다. 구하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마라. 그러면 사람들이 도둑질을 하지 않을 것이다. 욕심 낼 것을 보여주지 마라. 그러면 사람들의 마음이 어지럽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의 정치는 마음을 비워 배를 채우게 하고, 뜻을 작게 가져 국가 기강을 강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백성은 순진무구해 지고, 지식이 있는 자들이 감히 나서지 못하게 된다. 목적이 없는 정치를 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일반적으로 능력이 있고 지식이 뛰어난 사람을 우대하여 높은 지위에 발탁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도덕경에서는 그런 것이 결과적으로 개개인이 과도한 경쟁을 하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경계하고 있다. 설명하기 어렵지만 겉으로 드러난 지식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오늘날 과도한 경쟁사회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는 듯한 대목이다.
또한 구하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면 그것을 얻기 위해 도둑질이나 사기를 치는 사람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요즘 특히 빈부의 격차가 커지고 외제차, 명품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딱 맞는 표현인 듯하다.
정치 지도자가 무언가를 하려는 욕심을 보여주면 백성은 마음이 어지러워진다. 과도한 성과를 내기 위해 높은 목표를 제시하면 결과적으로 백성에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과거 다른 나라를 정벌하거나 하는 것이 큰 목표였다면 최근에는 4대강이나 신공항 사업 등이 그런 예에 속한다.
성인의 정치는 도보하려는 마음을 비워서 내실을 든든하게 하고, 무리한 사업을 벌이려는 뜻을 작게 가져 국력 강화한다. 이렇게 무리한 국가사업이 없으면 국민은 무엇을 하려는 욕심과 뜻이 없이 순진무구해 진다. 따라서 국민을 선동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탐하려는 지식인들이 야욕을 부리지 못하게 된다.
특별히 뭔가를 도모하려는 것이 없이 자연스럽게 정치를 펼치게 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요즘 세태에 딱 맞는 이야기 같다. 미국의 트럼프의 반 이민제도로 인한 혼란이나 우리 나라의 사대강 사업을 보면 국가 지도자가 뭔가를 이루려고 사업을 벌이지만 결과적으로 국가 경제에 손실만 끼치고, 일부 부역자들의 배만 채우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차라리 아무 것도 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맡겨 두었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부강한 나라가 되었을 것이다. 이 장은 현대 정치 상황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생각해 봐야 할 점도 분명 있다. 정치지도자는 목표를 달성하려 하기 보다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228 용재 귀가, 야간 (0) | 2017.03.01 |
---|---|
이연복세프의 목란 (0) | 2017.02.28 |
자유 민주주의에 희망은 있는가? (0) | 2017.02.21 |
20170217 기준 유망 종목 (0) | 2017.02.19 |
이주향의 나를 만나는 시간을 읽고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