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기분좋은 날 시청자 게시판에 올린 글입니다.
시청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올렸는데 혹 고수님들이 보시기에 오류나 추가할 점이 있으면 의견 주십시오.^.^
건강한 사람을 '음양화평지인'이라 한다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죠?^.^
모든 것은 음양의 관점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조율을 해야 합니다. 2009 금오김홍경의 건강혁명에서는 음양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오행육기의 개념과 그를 적용한 사암침법의 원리를 설명해 주실 것입니다.
앞으로도 놓치지 말고 꼭 봐주세요.
오늘 방송을 시청하고 올라 온 댓글을 보고 몇마디 적어 봅니다.
방송에 나온 경혈 중 삼부혈은 체질에 정확하게 맞지 않더라도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이부혈이나 천부혈은 체질에 맞지 않을 경우 위험합니다. 방송에 나오는 혈 중 소상혈(금토목 삼부혈), 해계혈(토금화 삼부혈), 후계혈(화수목 삼부혈)입니다. 소부혈(화 천부혈)은 열이 많은 분은 위험하므로 절대 피해야 합니다.
오늘 강의 내용에 나온 내용 중 체질별로 피해야 할 경우만 간단하게 적어 봅니다.
너무 간단하게 정리해서 오류나 부족함이 있을 것입니다. 저도 김홍경선생님의 강의를 동영상으로도 수 없이 보았고, 무료로 해 주신 강의도 여러 차례 수강한 덕에 얻어 들은 사소한 지식으로 쓰는 것이므로 참고만 해 주세요.
감 : 마르고 허한 사람 감기 예방에 좋음.
비만한 분은 오히려 좋지 않음.
파밑동(총백 : 파뿌리와 흰부분) : 초기 감기로 고열일 경우 땀내 주는 약
마른분이 열이 많이 날 경우, 몸이 허해 땀이 나는데도 열이 내리지 않는 경우는 피해야 함.
도라지(길경) : 오랜 감기로 인한 기침
몸 아래에 열이 있거나, 가만히 있어도 땀이나는 분은 해롭습니다.
마른 분의 기침에는 도라지 보다는 은행이 좋습니다.
매실 : 고열과 설사 이질을 고치는 작용. 살균 해독작용
시고 찬 성분이므로 살이 찌고 몸이 냉한 분에게는 좋지 않습니다.
비만하며 살찐 분이 매실을 장복하고 만성 위장병으로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ㅠㅠ
생강 : 몸이 냉한 사람, 살균효과, 소화기를 따듯하게 해서 구토예방
생강은 따듯한 성질로 몸이 냉한 사람에게 좋습니다. 많은 한약 처방에 생강이 들어가는데 구토를 예방하고 위를 보하는 효과를 내는 의미도 있습니다. 열이 많은 분에게는 좋지 않겠지요.
칡(갈근) : 초기 감기에 해열, 위에 열이 있는 경우
칡은 찬 성분으로 위열을 내려주고, 주독을 풀며 땀을 내어 초기 감기를 땀으로 배출하여 치료합니다. 몸이 찬 사람에게는 칡도 좋지 않습니다. 더구나 찬 술인 맥주를 마시고 체한 경우는 칡보다는 무국이나 콩나물국이 좋습니다.
온천욕 : 혈액순환 장애, 몸이 찬 경우
온천욕을 비만한 사람의 발한을 돕고 몸을 따듯하게 해서 기혈 순환을 도와 줍니다. 그러나 피부가 얇고 표피에 열이 많은 분이나 땀을 내면 기운이 없어지는 분은 과도한 온천욕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이 : 아주 찬 성분으로 몸이 찬 사람은 해롭습니다.
특히 위가 좋지 않은 분은 가급적 삼가하십시오.
소상혈(금토목 삼부혈) : 하체의 관절질환, 운동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좋습니다.
발목이나 무릎이 무리해서 아플 경우 소상혈을 잘 보해주면 좋아집니다.
살짝 출혈해서 편도선이 부어 열이 나는 것을 내려주고,
장부에 열이 날 때 식혀주는 작용도 있습니다.
해계혈(토금화 삼부혈) : 감기를 예방하는 혈로 소개되었죠?
위를 따듯하게 하여 몸이 차서 오는 소화불량에도 좋습니다.
후계혈(화수목 삼부혈) : 어혈로 인해 생기는 각종 질환에 좋습니다.
생리통, 어혈로 인한 여러 관절통 등에 도움이 됩니다.
소부혈(화화화 천부혈) : 심장경의 화혈이므로 몸이 아주 찬 경우에 보해주면
몸을 따듯하게 해서 몸이 차서 생기는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제증상이 ...(냉증에 따른 제반 증상) (0) | 2009.05.11 |
---|---|
Re:허리 디스크에 관해 부탁드려요 (0) | 2009.05.10 |
삼부혈 이부혈 임상 경험 수집 (0) | 2009.05.04 |
[스크랩] Re: 둥글레, 결명자랑 같이 끓이는 경우 부작용 궁금합니다. (0) | 2009.05.03 |
[스크랩] Re: 불루벨리와 고사리는 어디에좋은가요? (0) | 2009.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