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구내 잡초밭을 다니다가 눈에 띄는 풀을 발견했습니다.
어머니를 이롭게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익모초였습니다.
그 옛날 누군가가 옮겨다 심은 것이 퍼진 모양입니다.
익모초는 요즘 같이 스트레스와 미니스커트의 업보로 인해 생리통 자궁근종 등이 많은 여성들에게 참 좋은 약입니다.
심어 놓은 사람은 떠나가고 그 효능을 모르는 사람들은 잡초로만 알다보니 방치되고 있더군요.
잡초 밭에는 그외에도 다양한 약초(?)들이 널려 있습니다.
솔직히 저도 아는 풀들이 별로 없습니다.
얼마전 술 해독에 좋은 칡꽃을 잔뜩 땄고, 오디도 조금 따서 술을 담그었습니다.
가을에 서리가 내리면 잎도 좀 따서 열이 많은 사람들에게 차로 다려 드시라고 권할 생각이고요.
한쪽 구석에 심어 놓은 부추는 6번을 베어 먹었는데도 흰꽃을 활기차게 피워 올렸네요.
글을 쓰다 보니 일이 생겨 중단해야겠군요.ㅠㅠ
아래 한약재 설명자료에서 익모초에 대한 자료를 올려 봅니다.
익모초 Leonuri Herba
【분류】 활혈거어약
【주요 성분】 Leonurine, Stachydrine, Leonuridine, Rutin, Benzoic acid.
【기원】 순형과(꿀풀과;Labiatae)식물인 익모초(Leonurus artemisia (Lour.) S.Y. Hu)의 개화시의 전초(건조 ,생용)
【성미․귀경】 성미 : 미한, 고 귀경 :간, 심포
【효 능】 활혈조경 - 월경불조 통경 산후악로불진 어체복통 질타손상 어혈작통리수소종 - 수종 소편불리(가 복령, 백모근, 백출, 차전자,상백피) 해서(생용), 양혈소진
【주 치】 월경부조, 경전복창통, 산후혈체, 복통, 징하, 창양, 부종.
【처 방 예】 익모환 《의학입문》: 익모초, 당귀, 적작, 목향 ; 월경불조를치료한다.
【용량․용법】 9 - 30g, 전복한다.
【금 기】 잉부(자궁수축작용), 산후설사, 태전 어혈이 없는 자
【약리 작용】 1.자궁수축작용 2.이뇨작용
【응 용】 A. 조경
1. 익모초는 월경병 및 산후에 자주 쓰이는 약이다. 월경기일을 조정하는 작용이 뛰어나 적취어혈을 소산한다. 월경불순 . 생리통에는 모두 익모초를 쓸 수 있다. 익모초는 자궁에 직접적인 흥분작용을 가져 자궁의 긴장과 수축을 정상화시킨다.
2. 어혈의 정체로 월경이 2개월 이상 없고 복부창통이 오며 약간의 출혈이 있을 뿐 순조롭게 나오지 않는 등의 증상에는 당귀 . 홍화 . 하수오를 넣어 쓰면 좋다.
3. 생리통의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 이에는 익모초를 달여 설탕을 넣고 고약처럼 만들어 복용하면 좋다.
4. 생리통이 좀처럼 치유되지 않을 때는 통증이 일어나기 전에 다음과 같이 쓴다. 1회 째는 익모초 1양, 현호색 3전, 천궁 2전, 흑설당 5전을 넣고 달여 온복시킨다. 2회 째는 익모초 1양, 오약 2전, 봉출 2전을 달여 술 1숟가락을 넣어 온복시킨다. 3회 째는 익모초 1양, 도인 3전, 목향 8분, 향부자 3전, 흑설당 5전을 넣고 달여 온복시킨다. 이상은 생리통이 멎은 후에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는 단삼 . 계혈등 . 당귀 . 천궁을 넣어 쓴다. 환으로 만들어 써도 된다.
5. 월경불순으로 월경선기 또는 월경지연 등으로 양이 일정치 않고 복통 . 요통 . 빈혈이 있을 때 익모초 5전을 달여 복용하면 좋다. 기타 조경약과 배합할 때도 금기는 없다.
6. 익모초는 산후의 어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몸이 허약한 경우에는 생화탕을 군약으로 하고 익모초 . 향부자를 넣어 쓰면 좋다. 또 익모초는 분만을 촉진하고 자궁의 기능성출혈을 치료할 수 있다.
B. 이뇨해독
1. 익모초는 급성신염의 부종 . 핍뇨에 대하여 좋은 이뇨소종의 효과가 있다. 발병 직후 익모초 1양에 차전자 1양, 비해 5전을 넣어 매일 1첩씩 쓰면 부종이 서서히 제거된다. 만성신염의 부종 . 핍뇨증상에도 익모초를 계속 복용하면 좋다. 익모초는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나 지속시간은 짧다.
2. 익모초는 혈뇨를 치료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비뇨기계의 출혈에 모두 쓸 수 있으며 급 . 만성 모두 효과가 있다. 급성에는 백모근 . 대계 . 측백엽을 넣어 쓰고 증상이 중증이면 호박 . 석위를 넣어 쓴다. 만성이면 택사 . 목단을 더 넣어 쓴다.
3. 익모초는 해독소염 . 이습소종의 효능이 있어 피부병의 치료에 쓴다. 금은화 . 연교 . 포공영을 배합하여 쓰면 좋고 화농하였을 때는 천산갑 . 천화분을 넣어 쓴다.
4. 피부습진으로 계속하여 가려우면 익모초 1양에 부평 . 토복령 각 1양을 넣고 달인 액으로 환부를 씻으면 좋다.
5. 소아절종 . 편도선염에서 오는 종통에도 익모초를 보조약으로 쓸 수 있다.
【참고】 신개고설하는 성질로 혈분으로 입하여 활혈통경하며 거어생신할 수 있어 부인과의 월경통 . 태전 . 산후의 어조기체 등 여러질환에 사용하면 적합하므로 "익모초"라 하였음.
익모초와 택란의 비교
【공통점】활혈조경 . 이뇨소종
【차이점】
익모초 - 편량. 어체에 열증을 겸한자에게 적합함. 효능이 택란보다 뛰어남.이외 청열해독작용을 겸함.
택란 - 편온. 서간화영할 수 있고 약성이 완화하므로 어혈조체와 간울불서에 이용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최근 올라 온 임상 케이스 해답 (0) | 2009.08.21 |
---|---|
최근 올라 온 임상 케이스 (0) | 2009.08.19 |
Re:삼부혈 영수보사 방향.(사진으로^.^) (0) | 2009.08.17 |
동의보감에서 보는 대기묘용 (0) | 2009.08.16 |
2009한의학 박람회 사암봉사단 참석 알림 (0) | 200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