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芳 草 (三十三種) =======
當歸性溫主生血
補心扶虛逐瘀結
當歸는 性溫하다. 主로 生血시키며, 補心하고 扶虛하며, 瘀結을 쫓는다.
승검초뿌리 ①入心하여 그 心에 生血하고, 入脾하여 그 脾에 裏血하고, 入肝하여 그 肝에 藏血한다. ②痰用에는 薑汁炒하고, 治上에는 酒浸하고, 治外에는 酒洗한다. ③䕡茹․溫麵을 惡하고, 菖蒲․海藻․生薑을 畏하고, 雄黃을 制한다. ④當歸의 頭部는 止血한다. ⑤當歸身은 養血하고, ⑥當歸尾는 行血한다.(本草).
川芎性溫止頭疼
養新生血開鬱升
川芎은 性溫하다. 頭痛을 멈추며 新生血을 養하고 鬱血을 풀어 준다.
궁궁 ①少陽引經藥이며, 手足厥陰氣分으로 들어간다. ②黃連을 畏한다. ③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다. ④頭面風에 不可缺하다. 川芎만 오래 服用하면 暴亡하기 쉽다. 骨蒸․多汗에는 더욱 忌한다. ⑤[蘼蕪]는 즉 그 싹인데, 頭目風을 다스리고, 三蟲을 없앤다.(本草).
蛇床辛苦下氣快
溫中祛風瘀瘡疥
蛇床子는 味辛苦하다. 下氣하여 爽快하게 하고, 溫中(藥을 먹어 속이 따뜻해짐)하며, 風․瘀․瘡․疥 등을 없앤다.
뱀도랒씨 ①腎․命門․三焦의 氣分藥이다. ②牧丹․貝母․巴豆를 惡하고, 硫黃을 伏한다. ③微炒해서 쓴다. ④男子의 陽事를 盛하게 한다. ⑤유독 男子만 補助할 뿐 아니라, 婦人에게도 有益하다. 이를 버리고 달리 도움을 구한다면 어찌 눈은 낮고 귀만 높음이 아니겠는가.(本草).
藁本氣溫祛風能
兼治寒濕巓頂疼
藁本은 氣가 溫하다. 祛風에 能하고, 兼하여 寒濕과 정수리의 疼痛을 다스린다.
①足太陽으로 들어 간다. ②靑箱子를 畏한다.(本草).
白芷辛溫排膿往
陽明頭疼風熱痒
白芷는 味辛 性溫하다. 排膿시키며, 陽明頭疼과 風熱少陽을 없앤다.
구리때뿌리 ①手陽明의 本經藥인데, 升麻와 함께 쓰면 手足陽明 및 手太陰으로 行經한다. 旋覆花를 惡하고, 雄黃․硫黃을 制한다. ②九竅를 通하며, 發汗에 不可缺하다.(本草).
白芍酸寒腹痛痢
能收能補虛寒忌
白芍藥은 味酸 性寒하다. 腹痛과 痢疾을 멎게 하며, 收斂도 能하고 補益도 能하나, 虛寒에는 忌한다.
함박꽃뿌리 ①小毒이 있다. ②手足太陰으로 行經하며, 肝脾血分으로 들어 간다. ③花紅單葉으로 山中에 있는 것이 좋다. 흰 것은 補하고 붉은 것은 瀉한다. 竹刀도 껍질을 벗기고 蜜蒸한다. 寒을 避할 者에게는 酒炒해서 쓴다.(본초).
赤芍酸寒能散瀉
破血通經産後怕
赤芍藥은 味酸 性寒하다. 散瀉시키는 能力이 있어서 破血하고 通經하나, 産後에는 조심해야 한다.
木香微溫能和胃
行肝瀉肺散滯氣
木香은 性微溫하다. 能히 胃를 調和시키며, 行肝 瀉肺하고, 滯氣를 헤친다.
①三焦의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理氣藥인데, 불을 보이지 말고 生用한다. 만일 大腸의 病邪가 實하면 麵煨해서 쓴다.(本草).
甘松味香浴肌香
除心腹痛惡氣良
甘松은 味香하다. 이 물에 목욕하면 살갗에 香氣가 난다. 心腹痛과 惡氣를 除去하는데 좋다.
良薑性熱下氣良
轉筋藿亂酒食傷
良薑은 性熱하다. 氣를 내리고 轉筋․藿亂․酒食傷에 좋다.
①足太陰 陽明에 들어 간다. ②씨는 [紅荳蔲]라고 하며, 治效는 良薑과 같고, 또 酒毒을 푼다.(本草).
草蔲辛溫食無味
嘔吐作痛寒犯胃
草荳蔲는 味辛 性溫하다. 食飮에는 맛이 없고, 嘔吐․作痛 등 寒邪가 胃를 犯한데 쓴다.
①밀가루로 싸서 煨한다. ②太陰陽明으로 들어 간다. ③草荳蔲와 草果는 비록 같은 種類이나, 建寧産이 草荳蔲이고, 滇廣産은 草果이다.(本草).
草果味辛消食脹
截瘧逐痰辟瘟瘴
草果는 味辛하다. 食滯脹滿을 消하고, 瘧疾을 떼고 痰飮을 몰아내고, 瘟疫과 瘴疫을 물리친다.
麵煨해서 갈아서 쓴다.
白蔲辛溫調元氣
能祛瘴瞖嘔翻胃
白豆蔲는 味辛 性溫하다. 元氣를 調和시키며, 능히 瘴疫․目瞖․嘔吐․翻胃 등을 떨어버린다.
①去皮․炒硏해서 쓴다.(入門). ②다섯 가지의 主作用이 있는데, 一은 肺經으로 들어가고, 二는 胸滯를 消散시키고, 三은 寒腹痛을 除去하고, 四는 脾胃를 煖하고, 五는 太陽經의 赤眼紅筋을 없애는 것이다.(本草).
砂仁溫養胃進食
善通經胎安痛息
砂仁은 性溫하다. 胃를 補養하여 食慾을 증진시키고, 通經이 잘 되게 하며, 安胎하게 하고, 止痛시킨다.
①手足太陰 陽明 太陽과 足少陰으로 들어 간다. ②白檀과 豆蔲를 얻으면 肺로 들어 가고, 人蔘․益智仁을 얻으면 脾로 들어 가고, 黃栢․茯苓을 얻으면 腎으로 들어 가고, 赤石脂를 얻으면 大腸․小腸으로 들어 간다. ③銅이나 鐵을 化合하면 뼈를 굳게 한다.(本草). ④느슨한 불(熳火)에 炒해서 갈아서 쓴다.(入門).
益智辛溫治嘔要
安神益氣遺精溺
益智仁은 味辛 性溫하다. 嘔吐를 다스림에 요긴하며, 安神益氣하고, 遺精․遺溺에도 쓰인다.
①心은 脾의 母이다. 進食으로 脾를 調和시킬 뿐 아니라, 火(心)가 土(脾)를 生하는 것이니, 心藥을 脾胃로 들어 가게 하여 土中에서 火를 더하게 함이 마땅하다. 補藥中에 兼用하되 多用하지는 말라. ②去殼하고 炒해서 갈아서 쓴다.(本草).
蓽撥辛溫下氣易
痃癖陰疝霍瀉痢
蓽撥은 味辛 性溫하다. 下氣를 쉽게 하며, 痃癖․陰疝․霍亂․瀉痢를 다스린다.
①手足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醋浸一宿하여 焙乾한다. ③多服하면 目昏하고 傷肺한다.(本草).
肉蔲辛溫胃虛冷
瀉痢不止功可等
肉豆蔲는 味辛 性溫하다. 胃가 虛冷하여 瀉痢가 멎지 않는 症勢에는 效力이 可히 越等하다.
①手足陽明에 들어 간다. ②醋로 반죽한 麵으로 싸서 煨熟한 다음 꺼내어 종이로 싸서 기름을 두들겨 뺀다. 구리그릇을 가까이 하지 말라.(本草).
破古紙溫鹽酒炒
腰膝痛及固精巧
破古紙는 性溫하다. 鹽炒나 酒炒해서 쓰면, 腰痛․膝痛을 다스리며, 固精하는 效力이 巧妙하다.
①一名 [補骨脂]. ②心包의 火를 命門의 火에 通하게 한다. ③甘草를 惡하고, 羊肉과 모든 피를 忌하며, 胡麻나 胡桃를 얻으면 좋다.(本草).
薑黃味辛能破血
消癰下氣心腹結
薑黃은 味辛하다. 破血하고 消癰하고 下氣하는 效能이 있으며, 心腹結積에도 쓰인다.
①藥性이 熱하고 不冷하다. 大寒이라고 함은 잘못이다. ②手臂로 들어갈 수 있다.(本草). ③醋炒해서 쓴다.(入門). ④效力은 鬱金稍와 같은데, 氣味가 더 强烈하다.(景岳).
鬱金味苦破諸血
淋溺見血及鬱結
鬱金은 味苦하다. 諸血을 破하며, 淋血․溺血(尿血) 및 血鬱結에 쓰인다.
심황 ①性寒하다.(景岳은 氣溫이라고 하였다.) ②火와 土에 屬하나 水도 있으며, 그 性이 輕揚하여 上行한다.(本草). ③[增]鬱金과 薑黃은 본시 다른 풀인데, 雲林이 같은 풀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④市人들은 흔히 薑黃을 鬱金이라 속인다.(備要).
莪朮溫苦破痃癖
消瘀通經止痛劇
莪朮은 性溫 味苦하다. 痃癖을 破하며, 瘀血을 풀고 通經하게 하고, 劇痛을 멎게 한다.
①一名 蓬莪荗. ②肝經으로 들어가 氣中의 血을 다스린다. ③술과 醋를 함께 쓰면 좋다.(本草). ④頑固한 積이 아니면 쓰지 말아야 한다.(景岳).
三稜味苦利血癖
氣滯作疼虛莫擲
三稜은 味苦하다. 血癖․氣滯 作動을 다스린다. 虛證에는 쓰지 말라.
매자깃뿌리 ①肝經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性溫한데, 一說에는 濇凉하다고 하였다. ③醋浸하여 炒하거나 炮熟한다.(本草).
香附味甘消宿食
開鬱調經痛可息
香附子는 味甘하다. 宿食을 삭히고, 開鬱 調經하며, 痛症도 멎게 한다.
향부자 ①즉 莎根이다. ②肝三焦藥인데, 十二經을 兼行하며 脈氣分으로 들어 간다. ③童便․醋․川芎․蒼朮을 얻으면 좋다. ④鐵을 忌한다. ⑤날 것은 上行外達하고 下走外徹한다. 炒黑하면 止血하고, 童便炒하면 入血하여 補虛하고, 鹽水炒하면 入血潤燥하고, 酒炒하면 行經하고, 醋炒하면 消積하고, 薑炒하면 化痰한다.(本草).
藿香辛溫止嘔吐
發散風寒霍亂主
藿香은 味辛 性溫하다. 嘔吐를 멎게 하며, 風寒을 發散시키고, 霍亂을 다스린다.
手足太陰으로 들어 간다.(本草).
澤蘭甘苦消癰腫
打撲損傷虛浮重
澤蘭葉은 味甘苦하다. 癰腫․打撲損傷․陰虛浮腫이 甚한 것을 다스린다.
①藥性은 小溫하다. ②足太陰 厥陰으로 들어 간다. ③防己를 使藥으로 삼는다. ④婦人方證 중에서 가장 急한 데 쓴다.(本草).
香薷味辛治傷暑
霍亂便澁腫煩去
香薷는 味辛하다. 傷暑를 다스려 霍亂․便澁․浮腫․心煩을 除去한다.
소양기 ①一名 香茹. ②藥性은 微溫하다. ③金과 水에 屬하며, 徹上 徹下하는 效力이 있다. ④火氣를 犯하지 말라. 묵은 것이 좋다. ⑤氣虛에 多服하는 것은 不可하다.(本草). ⑥莖을 버리고(去梗) 薑炒해서 쓴다.(入門).
荊芥味辛淸頭目
表寒祛風瘡瘀蹙
荊芥는 味辛하다.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表寒을 쫓고, 風瘡․瘀血을 물리친다.
명가 ①本名은 假蘇. ②足厥陰氣分으로 들어간다. ③無鱗魚를 忌한다. 게(蟹)를 함께 먹으면 風이 動하고, 黃顙魚를 荊芥와 함께 먹고 生薑과 겨자(芥)를 먹으면 당장 죽는다.(本草). ④治血에는 炒黑해서 쓴다. 梔子․乾薑․地楡․棕櫚․五靈脂 등도 炒黑해서 쓰는데, 黑으로써 血을 借하는 것이다. ⑤묵은 것이 좋다.(備要).
薄荷味辛淸頭目
風痰骨蒸俱可服
薄荷는 味辛하다. 머리와 눈을 맑게 한다. 風痰과 骨蒸에도 服用할 수 있다.
영생이 ①味辛 性凉하다. ②手足厥陰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③모든 藥을 引導하여 營衛로 들어가므로 風寒을 發散시킨다. ④고양이(猫)․개(犬)․호랑이(虎)의 술(酒)이다.(本草).
紫蘇味辛解風寒
梗能下氣脹可安
紫蘇(蘇葉)는 味辛하며, 風寒을 解消시킨다. 가시는 能히 下氣하여 脹滿을 가라앉게 한다.
차조기 ①味辛 性溫하다. ②氣分으로 들어가며, 橘皮와 縮砂를 만나면 安胎하고, 藿香․烏藥을 만나면 溫中 止痛하고, 香附子․麻黃을 만나면 發汗하고, 川芎․當歸를 만나면 和血하고, 木瓜․厚朴을 만나면 解暑하여 霍亂․脚氣를 다스리고, 枳殼․桔梗을 만나면 利膈하고, 杏仁․羅蔔子를 만나면 消痰한다. ③잎은 生食해도 좋으며, 一切의 魚肉과 함께 국을 끓여 먹으면 毒을 없앤다.
蘇子味辛開痰氣
止咳定喘潤心肺
蘇子는 味辛하다. 開痰 下氣하며, 止咳 定喘하고, 心肺를 潤澤하게 한다.
차조기씨 ①下氣하는 效力은 橘皮와 같다. ②魚蟹의 毒을 푼다. ③[增]藥局에 있는 것은 가짜가 많으니 냄새를 맡아 보고 蘇子의 냄새가 있는 것을 써야 한다.
大茴味辛疝脚氣
止膀胱痛嘔翻胃
大茴香은 味辛하다. 疝氣․脚氣에 좋고, 膀胱痛․嘔吐․翻胃를 멎게 한다.
①性平하다. ②手足少陰 太陽으로 들어 간다. ③酒浸一宿했다가 炒黃하여 갈아서 쓴다.(本草). ④八角茴香이라는 香氣가 강렬한 一種이 있는데, 오로지 腰痛을 다스린다.(入門).
小茴性溫除疝氣
治腰腹疼兼煖胃
小茴香은 性溫하다. 疝氣를 없애고, 腰痛․腹痛을 다스리며, 胃를 따뜻하게도 한다.
우리나라 도처에서 난다.(寶鑑).
百合味甘安心膽
咳浮癰疽皆可啖
百合은 味甘하다. 心과 膽을 便安하게 하며, 咳嗽․浮氣․癱瘓․癰疽에 다 먹을 수 있다.
꽃이 흰 것을 藥으로 쓴다.(備要).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毒草 (0) | 2010.06.18 |
---|---|
한약약성가 隰草 (0) | 2010.06.18 |
한약약성가 山草 (0) | 2010.06.18 |
본초학 한약 요약정리 자료 (7) | 2010.06.11 |
본초학 한약 사용빈도 조사표 (0) | 201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