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隰 草 (四十九種) ======
菊花味甘除熱風
頭眩眼赤收淚功
菊花는 味甘하다. 熱과 風을 除去하여 頭眩․眼赤을 다스리며, 눈물을 收斂하는 效力이 있다.
감국 ①土와 金에 屬하는데, 水와 火도 있다.(本草). ②뜰에 핀 달고 色이 누런 것이 좋다.(保元). ③베개를 만들어 베면 눈이 밝아지고 頭眩을 없앤다. ④[白菊]은 風을 없애고, 머리가 희어지지 않는다. ⑤[野菊]은 胃를 傷하므로 癰疽에만 붙이고 먹기도 한다.(本草).
艾葉溫平敺鬼邪
胎漏心疼並可加
艾葉은 性溫平하다. 鬼邪를 몰아내며, 胎漏와 心疼痛에 加해도 좋다.
사재발쑥 ①一說은 性熱하다고 한다. ②足三陰으로 들어간다. ③米粉이나 白茯苓 약간을 함께 넣으면 찧어져서 가루가 된다. ④久服하여 毒이나고 熱氣가 上衝하면 甘豆湯이나 綠豆汁을 마신다.(本草). ⑤묵은 것이 좋다.(備要).
茵蔯味苦退疸黃
瀉濕利水淸熱良
茵蔯은 味苦하다. 黃疸을 물리치며, 濕을 瀉하고, 利水 淸熱하는데 좋다.
더위지기 ①藥性은 微寒하다. ②足太陽으로 들어 간다. ③火氣를 犯하지 말라.(本草).
靑蒿氣寒童熱膏
虛寒盜汗骨蒸勞
靑蒿는 氣寒하다. 童熱에 고아서 쓰며, 虛寒․盜汗․骨蒸․勞倦에 쓴다.
제비쑥 ①足少陽 厥陰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七日間 童便浸해서 말려 쓴다. ③硫黃을 伏한다.(本草).
益母草甘最宜婦
去瘀生新産前後
益母草는 味甘하다. 婦人에게 가장 좋으며, 瘀血을 없애고 新血을 만드니 産前 産後에 쓴다.
암눈비앗 ①性微寒한데, 一說은 味辛 性溫이라고 한다. ②手足厥陰 血分으로 들어 간다. ③硫黃․雄黃․砒石을 制하고, 鐵을 忌한다.(本草).
茺蔚子甘目可明
生食潤肺兼塡精
茺蔚子는 味甘하다. 눈을 밝게 하며, 生食하면 肺를 潤澤하게 하고 또한 精力을 채운다.
암눈비앗씨 ①微炒하면 향기롭고, 혹은 쪄서(蒸熟해서) 曝陽에 말려(烈日曝燥) 절구(舂)에 찧은 다음 키(簸)질로 去殼하여 씨만 取한다.(本草).
夏枯草苦瘰癭瘤
破癥散結濕痺瘳
夏枯草는 味苦하다. 瘰癧․癭腫․瘤腫에 쓰며, 破癥하고, 散結하고, 濕痺를 낮게 한다.
제비꿀 ①性寒하다. ②純陽의 氣만 가져서, 陰氣를 얻으면 마른다. 厥陰 血脈을 기르는 效能이 있으며, 目疼을 귀신같이 다스린다. 陽으로써 陰을 다스리는 것이다.(本草).
金沸草寒消痰嗽
逐水明目風可救
金沸草는 性寒하다. 痰嗽를 없애고 水毒을 몰아내고, 눈을 밝게 하고, 風病도 다스릴 수 있다.
하국 ①一名 旋覆花. ②藥性은 微溫하다. ③肺와 大腸으로 들어간다.(本草).
靑箱子苦肝臟熱
赤障靑盲俱可設
靑箱子는 味苦하다. 肝臟熱로 인한 眼赤障과 靑盲에 같이 쓸 수 있다.
맨드라미씨 ①厥陰으로 들어 간다. ②炒用한다.(本草). ③小兒가 鷄冠花를 가지고 노는 것을 一切 禁한다. 그 씨가 눈에 들어가면 고치지 못한다.(傳家寶).
紅花辛溫消瘀熱
多則通經少養血
紅花는 味辛 性溫하다. 瘀熱을 없애며, 많이 쓰면 通經하고, 적게 쓰면 養血한다.
잇 ①肝經 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醋를 함께 쓰면 좋다. ③[씨]는 痘瘡을 主治한다. ④臙脂는 紅花汁을 굳혀서 만든 것인데, 小兒의 聤耳에 이 汁을 떨어뜨리면 痘毒을 푼다.(本草).
大小薊苦消腫血
吐衄唾咯崩漏絶
大小薊는 味苦하다. 腫血을 없애며 吐血․衄血․咯血․崩漏를 멎게 한다.
새 ①大薊는 항가새, 小薊는 조방가새. ②뿌리는 溫하고 잎은 冷하다.(本草).
續斷味辛接骨筋
跌撲折傷固精勳
續斷은 味辛하다. 骨筋을 이으며, 跌撲․折傷을 다스리고, 固精하는 效力이 있다.
검산풀뿌리 ①藥性은 微溫하다. ②酒浸해서 焙乾한다. ③地黃을 使藥으로 삼으며, 雷丸을 惡한다. ④血痢 및 婦人의 崩漏․帶下․血尿와 産前産後의 漏血에 가장 좋다.(本草). ⑤桑寄生과 같은 效能이 있다. ⑥마디를 切斷하면, 그 마디에서 烟氣같은 먼지가 이는 것이 좋다.(入門).
漏蘆性寒祛瘡毒
補血排膿生肌肉
漏蘆는 性寒하다. 瘡毒을 없애고, 補血․排膿하며, 살을 나게 한다.
절국대 ①足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蛔虫을 죽인다.(本草).
苧根味甘補陰血
胎漏丹毒産後熱
苧根은 味甘하다. 陰血을 補하며, 胎漏․丹毒․産後熱에 쓴다.
모시뿌리 ①藥性은 滑冷하다.(本草).
胡巴溫煖補腎臟
腸痛諸疝自膀胱
胡蘆巴는 性溫煖하다. 腎臟을 補하며, 脹痛과 여러 疝症에 쓰이고, 膀胱에도 좋다.
①술에 찌거나 炒한다. ②茴香․桃仁을 함께 쓰면 膀胱病을 다스리며, 氣病이 甚한 데 效驗이 있다.(本草).
鼠黏子辛消瘡毒
風熱咽疼癮疹屬
鼠黏子는 味辛하다. 瘡毒을 없애며, 風熱․咽疼․癮疹 등이 屬한데 쓴다.
우엉씨 ①一名 牛蒡子이다. ②또 一名은 惡實. ③味苦 性溫하다. ④술로 쪄서 갈아서 쓴다(酒蒸硏). ⑤[뿌리․잎]은 杖瘡과 金瘡에 좋고, 소금을 넣어서 모든 腫瘡에 붙인다.(本草).
蒼耳子苦疥癬瘡
風濕痛痒無不當
蒼耳子는 味苦하다. 疥癬瘡․風濕痛痒 등, 못쓰는 데가 없다.
도꼬마리 ①一名 葈耳․卷耳. ②性溫하고, 小毒이 있거나 無毒하다. ③炒熟하거나 酒蒸한다. ④猪肉․馬肉․米泔 등을 忌하고, 硇砂를 伏한다. ⑤[잎]은 骨髓에 든 風․濕․痺를 主治한다.(本草).
豨薟味甘除風濕
鬚髮耳目功皆及
豨薟은 味甘하다. 風濕을 除하며, 鬚髮과 耳目에까지 效驗이 다 미친다.
진득찰 ①味苦 性寒하고 小毒이 있다. ②꿀물이나 술에 쪄서 쓰는데, 九蒸九曝하면 補氣 治風한다.(本草).
甘蕉大寒渴熱發
葉主腫毒油生髮
甘蕉는 大寒하다. 消渴 除熱하며, 잎은 腫毒을 主治하고, 기름은 生發한다.
파초뿌리 ①一名 芭蕉. ②取油法은 대통(竹筒)을 껍질에 꽂고 빼내어 병에 담는다. ③또 湯火瘡을 다스린다.(本草).
鶴虱味苦殺蟲毒
心腹卒痛蛔堪逐
鶴虱은 味苦하다. 蟲毒을 없애며, 心腹卒痛을 다스리고, 蛔蟲을 능히 몰아낸다.
여우오줌풀 ①性凉하고 小毒이 있다.(本草).
麻黃味辛能出汗
身熱頭疼風寒散
麻黃은 味辛하다. 땀을 잘 나게 하며 身熱․頭疼․風寒을 헤친다.
①性溫하다. ②手太陰藥이며, 足太陽으로 들어 가 手少陰 陽明으로 가면서 太陽과 少陰의 땀을 낸다. ③根節을 버리고 물에 삶는다. 십여 번 끓거든 웃거품을 걷어낸다. 根節은 止汗하기 때문이다. ④厚朴과 白薇를 使藥으로 삼으며, 辛夷를 惡한다. ⑤묵은 것이 좋다. ⑥麻黃이 있는 땅에는 겨울에 눈이 쌓이지 않는다. 麻黃은 內陽을 泄하므로 過用하면 眞氣를 泄하게 된다. ⑦傷寒 解肌에 제일가는 藥이다.(本草). ⑧[뿌리]는 止汗하는데, 여름철에 땀이 많을 때 써도 좋다.(景岳). ⑨中國에서 가져다 심었는데, 강원도․경상도에만 있다.(寶鑑).
木賊味甘益肝臟
退翳止經消積良
木賊은 味甘하다. 肝臟을 補益하며, 退翳․止經․消積에 좋다.
속새 ①藥性은 平溫하다. ②牛角鰓․麝香을 얻으면 久痢를 다스리고, 禹餘粮․芎歸를 얻으면 崩中을 다스리고, 槐花․桑耳를 얻으면 腸風을 다스리고, 槐子․枳實을 얻으면 痔出血을 다스린다. ③麻黃과 藥性이 같아서 發汗하고 解肌한다.(本草). ④眼藥으로 많이 쓰며, 童便에 一宿浸하여 晒乾해서 쓴다.(本草).
燈草味甘利小水
癃閉成淋濕腫止
燈心草는 味甘하다. 利尿․利水하며, 癃閉․成淋․濕腫을 멈춘다.
골속 ①藥性은 寒平하다. ②肺火를 瀉하고 心火를 내린다. ③잘 갈아지지 않으므로 쌀가루 미음에 버무린 다음 晒乾해서 硏末한다. 물에 넣어 뜨는 것이 燈心이다. ④心을 取해서 등잔의 심지도 만든다.(本草).
生地微寒淸濕熱
骨蒸煩勞消瘀血
生地黃은 微寒하다. 濕熱․骨蒸․煩勞를 가시게 하고, 瘀血을 없앤다.
①一名 芦 또는 芐. ②性大寒하다고도 한다. ③手足少陰 厥陰으로 들어 가며, 또 手太陽에도 쓴다. ④淸酒․麥門冬을 얻으면 좋다. 貝母를 惡하고, 蕪荑를 畏하며, 파(葱)․마늘(蒜)․무우(蘿葍)․諸血․銅․鐵 등을 忌한다. ⑤大寒하므로 胃弱한 者는 斟酌(=參酌)해서 쓴다. ⑥또한 心痛․蛔蟲도 다스린다.(本草). ⑦처음 採取한 것으로 물에 담가, 뜨는 것을 天黃이라고 하며, 반은 뜨고 반은 가라앉는 것을 人黃이라고 하고, (바닥에) 가라앉는 것을 地黃이라고 한다. 가라앉는 것이 좋고, 반만 가라앉는 것이 그 다음 가고, 뜨는 것은 쓰지 않는다.(寶鑑). ⑧황주(黃州)에서 많이 난다.
生乾地凉除寒熱
心膽血虛肺吐血
生乾地黃은 性凉하다. 寒熱을 물리치고, 心과 膽의 血虛 및 肺吐血(喀血)을 다스린다.
①酒浸하면 上行하는데, 薑汁浸하면 胸膈에 泥滯하지 않는다.(薑汁浸不泥膈.) ②그 製法은 生地黃 百斤 中에서 六十斤을 나무절구에 찧어 汁을 내어 술에 담갔다가 나머지 四十斤의 生地黃을 함께 버무려서 晒乾하거나 火焙한다.(本草).
熟地微溫滋腎水
補血烏髭益精髓
熟地黃은 藥性이 微溫하다. 腎水를 滋養하며, 補血하고, 수염을 검게 하고, 精髓를 補益한다.
①熟地黃을 生薑汁에 담가 砂仁末로 반죽하면 香氣가 나며, 스며들어 가서 五臟冲和의 氣를 調和시키는데, 이는 丹田(下腹)으로 歸宿하기 때문이다. 牧丹과 當歸를 얻으면 和血․生血․凉血해서 陰氣를 滋養하고 精髓를 補한다. ②臍下痛은 腎虛에 屬하는데, 熟地黃이 아니면 除去하지 못한다. 그래서 熟地黃은 腎病을 通治하는 藥이다.(本草). ③地黃은 中州의 沃土에서 나는데, 地黃色의 黃은 土色이요, 地黃味의 甘은 土味이다. 이렇게 地黃은 土氣를 얻었는데도 太陰․陽明의 藥이 아니라는 말을, 나는 믿지 않는다. 오직 생것은 性凉하므로 脾陽이 부족한 사람은 마땅히 삼가서 써야 하나 만일 익히면 性平해지며, 至陰의 氣를 품어 能히 五臟의 眞陰을 補한다. 또 多血之臟에 가장 긴요한 藥이 되니 脾胃經의 藥이 아니겠는가. 사람의 삶이란 氣와 血뿐이다. 氣를 補함에는 人蔘을 主藥으로 하고, 黃芪와 蒼朮이나 白朮을 佐藥으로 하며, 血을 補함에는 熟地黃을 主藥으로 하고, 芎歸를 佐藥으로 하니, 人蔘과 熟地黃은 氣와 血에 必要 不可缺한 것이다. 一陰 一陽은 서로 表裏가 되며, 一形 一氣는 서로 生成의 主가 되니, 性과 味의 中正함이 이보다 뛰어난 것이 없다. 진실로 딴 것을 빌어다 대신할 만한 것이 없다.(景岳).
牛膝味苦濕痺除
補精强足下胎瘀
牛膝은 味苦하다. 濕痺를 除去하며, 補精․强足․下胎하고, 瘀血을 내린다.
쇠무릎지기 ①술을 얻으면 肝과 腎을 補하고 生用하면 惡血을 除去한다. 滋補하려면 酒蒸하고, 藥效를 下行시키려면 生用한다. ②龜甲을 惡하고, 牛肉을 忌한다. ③十二經脈을 도와서 活血 生血하는 藥이다. 모든 藥을 이끌고 下行하여 腰腿로 간다.(本草).
紫菀苦辛痰喘咳
吐膿寒熱並痿肺
紫菀은 味苦辛하다. 痰飮․喘息․咳嗽․吐膿․寒熱 및 痿肺에 쓰인다.
탱알 ①性溫하다. ②蜜水浸하여 焙乾한다. ③款冬을 使藥으로 하며, 天雄․瞿麥․藁本․雷丸․遠志를 惡하고, 茵蔯을 畏한다.(本草).
麥門甘寒除虛熱
淸肺補心煩渴撤
麥門冬은 味甘 性寒하다. 虛熱을 除去하고, 淸肺․補心하며, 煩渴을 없앤다.
겨우살이뿌리 ①手太陰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瓦焙하여 뜨거운 동안에 去心한다. 補藥用으로 할 때에는 酒浸한다. ③地黃과 車前子를 使藥으로 삼으며, 款冬을 惡하고, 苦蔘․石鍾乳를 畏하고, 鐵을 忌한다. ④氣가 弱하고 胃가 寒한 사람은 먹지 못한다.(本草). ⑤경상도․전라도․충청도 및 土質이 肥沃한 바닷섬 중에서 난다.(本草).
葵花味甘帶痢劇
赤治赤者白治白
葵花는 味甘하다. 帶下와 痢疾의 劇甚한 것에 쓰는데, 赤葵花는 赤帶下․赤痢를 다스리고, 白葵花는 白帶下․白痢를 다스린다.
규화 ①[씨(子)]나 [뿌리(根)]도 藥效는 같으며, 小便을 通利하게도 하고 五淋을 다스린다.(本草).
龍葵感寒去熱睡
跌撲傷損小便利
龍葵는 味甘 性寒하다. 熱睡를 물리치며, 跌撲 傷損을 고치고, 小便을 通利하게 한다.
까마종이(까마중)
酸漿酸寒益小兒
熱煩難産水疸宜
酸漿은 味酸 性寒하다. 小兒에게 有益하며, 熱煩․難産․水疸에 좋다.
꽈리 ①[줄기]나 [싹]의 效力은 같다.
旱蓮草甘能止血
生鬚黑髮赤痢泄
旱蓮草는 味甘하다. 止血할 수 있으며, 鬚髥을 나게 하고, 머리털을 검게 하고, 赤痢와 泄瀉를 멎게 한다.
한련초 ①한련초란 곧 鱧膓草이다.
款冬甘溫止喘咳
補劣除煩且理肺
款冬花는 味甘 性溫하다. 喘咳를 멎게 하며, 補劣 除煩하고, 또한 肺를 調理한다.
①純陽의 藥으로서 手太陰으로 들어간다. ②杏仁을 使藥으로 하며, 紫菀을 얻으면 좋고, 皂角․消石․玄蔘을 惡하고, 貝母․麻黃․黃芪․黃芩․連翹․靑箱子를 畏한다.(本草). ③本經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난다고 하였으나 지금은 없다.(寶鑑).
決明子甘除肝熱
目痛收淚止鼻血
決明子는 味甘하다. 肝熱과 目痛을 없애며, 눈물을 거두고 코피를 멎게 한다.
초결명 ①性微寒하다. ②微炒해서 갈아서 쓴다. ③베개를 만들어 베고 자면 頭風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한다.(本草).
地膚子寒除瘙痒
去膀胱熱功最廣
地膚子는 性寒하다. 瘙痒을 除去하며, 膀胱熱을 없앤다. 藥效가 가장 광범하다.
대싸리(댑싸리)의 씨 ①味苦하고 性和平해서 忌하는 藥이 別로 없고, 일반적으로 下焦濕熱에 多用한다.(임상본초학).
瞿麥辛寒除淋零
且能墮胎及通經
瞿麥은 味辛 性寒하다. 淋零을 除去하며, 또한 墮胎와 通經도 하게 한다.
석죽화 ①일명 石竹花. ②牧丹을 使藥으로 삼고, 海螵蛸와 丹砂를 惡한다.(本草).
王不留行除風痺
調經催産乳癰類
王不留行은 風痺를 除去하며, 調經․催産․乳癰 등에 쓴다.
장구채의 씨 ①味苦 性平하다. ②漿水에 浸했다가 불에 말려서 쓴다. ③陽明․衝脈․任脈의 藥이다. ④血脈을 通利하게 하는 점을 取하여 下乳(=催乳)에 사용한다.(本草). ⑤淋疾을 다스리는 데 가장 效驗이 있다.(資生).
葶藶苦辛利水腫
痰喘肺癰癥瘕重
葶藶子는 味苦辛하다. 水腫을 다스리며, 痰喘․肺癰․癥瘕 등에 중요하다.
두루미냉이의 씨 ①藥性은 大寒하고 小毒이 있다. 술을 얻으면 좋은데, 炒해서 쓴다. ②大棗를 얻으면 좋고, 白殭蠶을 惡한다. ③虛한 사람은 멀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아주 빨리 殺人을 한다.(本草).
粟殼性澁痢嗽神
最能刦病亦殺人
鶯粟殼은 性澁하다. 痢疾과 咳嗽에 神效하며, 刦病에 가장 能하고 殺人도 할 수 있다.
양귀비 껍질 ①一名 御米殼. ②꼭지(蒂)와 筋膜을 버리고 外薄皮를 取하여 醋炒하거나 蜜炙한다. ③醋와 烏梅․橘皮를 함께 쓰면 좋다. ④[米]는 씨앗인데, 性寒하며, 많이 먹으면 大小便이 通利하고, 膀胱의 氣가 動한다. ⑤[阿芙蓉]은 津液인데, 一名 阿片이라고 하며, 前代에는 듣지 못하던 것으로, 지금 使用하는 이가 있다. 罌粟花의 津液을 採取하는 方法은 結實하여 靑苞가 되었을 때, 午後에 鍼으로 外面 靑皮를 찌르되 속이 傷하지 않게 三~五處를 찔러 두면 다음날 이른 아침에 津이 나오니, 이것을 竹刀로 긁어 모아 陰乾한다. 房術에 俗되게 쓰기도 한다.(本草). ⑥阿片中毒은 七日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다. 硼砂나 설탕(砂糖)을 冷水로 調服한다. 太陽을 忌한다.(驗方).
車前氣寒眼赤疾
小便通利大便實
車前子는 氣가 寒하다. 眼赤疾에 쓰이며, 小便을 通利하게 하고, 大便實에 쓰인다.
질경이씨 ①一名은 芣苡. ②炒해서 두었다가 쓴다. ③뿌리와 잎[根葉] 吐衄․血尿․血淋 등을 다스리는데, 汁을 내어 服用한다.(本草).
連翹苦寒消癰毒
氣聚血凝濕熱屬
連翹는 味苦 性寒하다. 癰毒․氣聚․血凝․濕熱 등을 다스린다.
개나리의 열매 ①手足少陽 手陽明 手少陰으로 들어 간다. ②心熱을 瀉하고, 上焦熱을 없앤다. 瘡家의 聖藥이 된다.(本草).
靑黛酸寒平肝木
驚癎疳痢除熱毒
靑黛는 味酸 性寒平하다. 肝木․驚癎․疳痢를 다스리며, 熱毒을 없앤다.
①모든 藥毒을 푼다. 殺虫한 다음, 물이 되도록 하여(化爲水) 熱瘡과 毒腫에 붙인다. ②[藍實]은 쪽씨인데, 解毒하고, 殺虫도 한다.(本草).
虎杖溫平治煩渴
諸淋可利通經血
虎杖은 藥性이 溫平하다. 煩渴을 主治하며, 諸淋을 다스릴 수 있고, 經血을 通利하게 한다.
감제풀 뿌리
萹蓄味苦瘙疥息
疽痔兒蛔女陰蝕
萹蓄은 味苦하다. 瘙痒症․疥癬을 다스리며, 癰疽․痔疾․小兒蛔虫․女陰蝕 등에 쓰인다.
마디풀
*陰蝕 : 婦女의 外陰部 혹은 陰道內가 搔痒하며, 甚하면 疼痛하고, 항상 水液이 滲出되어 痛痒을 참기 어려운 것을 陰痒이라고 함.(窒트리고모나스의 類이다.) 搔痒으로 因해 陰道에 瘡瘍 潰爛이 생기는 것은 陰痒의 重症으로서 [陰蝕]이라 한다. 病因은 대개 濕熱下注 혹은 肝經鬱熱에 起因한다.
蒺藜味苦瘡瘙痒
白瘢頭瘡瞖目朗
蒺藜는 味苦하다. 瘡病․瘙痒症․白瘢․頭瘡을 가시게 하며, 瞖目을 맑게 한다.
납가새 ①性溫하다. 炒하여 가시를 없애고 갈아서 쓴다.
穀精草辛牙齒痛
口瘡咽痺眼瞖瞢
穀精草는 味辛하다. 牙齒痛․口瘡․咽痺․眼瞖瞢 등에 쓰인다.
고위까람
海金砂寒通小膓
濕熱腫滿淋亦當
海金砂는 性寒하다. 小膓의 濕熱․腫滿을 通利하게 하며, 五淋에도 適當하다.
小膓과 膀胱의 血分藥이다.(本草).
蒲公英苦除食毒
消腫潰堅結核屬
蒲公英은 味苦하다. 食毒을 除去하며, 消腫하고, 굳은 結核 등에 屬하는 것을 푼다.
금잠초 ①一名 地丁. 민들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