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도연의 방약합편에 실려 있는 약성가를 편집해서 올립니다.
====== 山 草 (四十三種) =====
人蔘味甘補元氣 인삼미감보원기
止渴生津調榮衛 지갈생진조영위
人蔘은 味甘하다. 元氣를 補하고 渴症을 멎게 하고, 津液을 生하고, 榮衛를 調節한다.
蔘 ①생 것은 冷하고, 익힌 것은 溫하다.
②手太陰으로 들어간다.(氣와 더불어 血의 藥이다.)(入門)
③細辛을 넣어 밀봉해 두면 해를 묵어도 좀이 나지 않는다.
④藜蘆를 反하고, 五靈脂․皂角․黑豆․紫石英을 畏하고, 鐵을 忌한다.
⑤氣를 補함에는 꼭 人蔘을 써야 하고, 血虛에도 이를 꼭 써야 한다.
⑥人蔘은 五臟의 陽을 補하고, 沙蔘은 五臟의 陰을 補한다.
⑦元氣回復을 자연스럽게 한다.
⑧升麻를 得하면 肺와 脾의 火를 瀉하고, 茯苓을 得하면 腎의 火를 瀉하고, 麥門冬을 得하면 生脈하고, 乾薑을 得하면 氣를 補하고, 黃芪․甘草를 得하면 大熱을 除하고 陰火를 瀉하며 또한 瘡病에 聖藥이다.(本草).
⑨불에 말려 쓴다.(備要). [蘆頭] 虛弱한 사람은 瓜蒂대신 蔘蘆를 쓰는데, 痰이 胸中에 蓄積되면 蔘蘆湯에 竹瀝를 加해 吐한다(本草).
[尾]는 主로 氣를 내리는데, 橘皮와 生薑을 함께 쓴다.
[잎]은 産後 感氣를 다스리는데, 白桔梗과 함께 調服한다.(俗方).
甘草甘溫和諸藥 감초감온화제약
生能瀉火灸溫作 생능사화구온작
甘草는 味甘하고 性溫하다. 모든 藥을 調和시키며, 생 것은 瀉火하고 구운 것은 溫和하게 한다.
①일명 國老.
②足太陰厥陰과 手足 十二經에 들어간다.
③遠志․大戟․芫花․甘遂․海藻를 惡하고, 猪肉과 菘菜를 忌한다.(入門).
④熱과 百藥毒을 푼다.
⑤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하여 邪를 물리치고, 咽痛을 없애어 緩和하게 한다. 氣를 바르게 하고 陰血을 補養한다. 그 藥性이 緩急하고 協和할 수 있으므로, 모든 藥이 이를 사용하되 시샘하지 않는다. 熱藥과 함께 쓰면 그 熱을 누그러뜨리고, 寒藥과 함께 쓰면 그 寒을 누그러뜨리고, 寒熱이 섞인데 사용하면 順平해진다.
⑥[뿌리끝(稍)]膈熱과 莖痛을 다스린다.
⑦[頭]癰疽를 다스리며, 吐藥에 넣는다.(本草).
⑧中原에서 種子를 移植하였는데 함경도에서 생산한다.(寶鑑).
黃芪甘溫收汗表 황기감온수한표
托瘡生肌虛莫少 탁창생기허막소
黃芪는 味甘 性溫하며, 汗表를 거둔다. 瘡을 헤쳐 살이 나게 하며, 虛한 데 많이 쓴다.
단너삼뿌리 ①足太陰․手少陽․足少陰․命門에 들어간다.(本草).
②表證을 다스림에는 生用하고, 虛證을 補함에는 蜜炙한다.
③下焦를 다스림에는 鹽炒한다는 말은 틀리는 말이다. 氣가 오르면 腎이 受蔭하여 崩漏․帶下 等症이 저절로 멎는다.(備要).
④龜甲․白蘚皮를 惡하고, 防風을 得하면 그 效力이 더욱 커지는데, 이는 相畏하고 相使하는 셈이다.
⑤모든 虛證을 다스리며, 益氣 壯脾하고, 熱을 없애며 고름을 빼고 活血하므로 瘡家에 聖藥이 된다. 땀이 없으면 發汗시키고, 땀이 나면 止汗시키니, 小兒의 여러 病과 婦人의 崩漏․帶下같은 여러 疾病을 다스린다.(本草).
⑥[四君子湯]에서 白朮과 茯苓을 빼고 黃芪를 加한 것을 [保元湯]이라고 하는데, 白朮은 燥濕하고 茯苓은 滲水하므로 痘疹에는 이를 禁忌하니 [保元湯]을 쓴다.(備要).
⑦寧越에서 生産되는 것의 껍질이 누렇고 속살은 희고 솜처럼 부드러운 것이 좋다.
薺苨甘寒嗽渴瘡 제니감한수갈창
解百藥毒蛇箭傷 해백약독사전상
薺苨는 味甘 性寒하다. 咳嗽․消渴․瘡腫에 좋다. 百藥의 毒을 풀고 뱀․화살 傷處에 쓴다.
게로기 ①人蔘과 비슷하나 잎이 작고, 桔梗과 비슷하나 心이 없다.
桔梗味苦療咽腫 길경미고료인종
載藥上升開胸壅 재약상승개흉옹
桔梗은 味苦하다. 咽喉腫을 治療하며, 藥氣를 끌고 上升하여 가슴 막힌 것을 열어준다.
도라지 ①微溫하고 毒이 적은데, 一說은 無毒하고 몹시 寒하다고 한다.
②手太陰 氣分 및 足少陰으로 들어간다.
③龍膽草․白芨을 畏하고, 猪肉을 忌한다.
④蘆頭를 버리고 米泔浸한다.
⑤甘草와 마찬가지로 補佐藥으로 쓴다.(本草)
黃精味甘安臟腑 황정미감안장부
五勞七傷皆可補 오로칠상개가보
黃精은 味甘하다. 五臟 六腑를 편안하게 하며, 五勞七傷을 다 補할 수 있다.
죽대뿌리 ①性平하다.
②太陽의 풀인 黃精을 먹으면 長生하고, 太陰의 풀인 鉤吻이 입에 들어가면 당장 죽는다.
③물에 씻어 쪄서 햇볕에 말리는데, 九蒸九曝하기도 한다.
④三尸蟲을 내린다.(本草).
⑤陳藏器가 말하기를, 鉤吻은 野葛의 別名이고 黃精과 鉤吻이 서로 닮은 데가 전혀 없으므로 의심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景岳).
⑥평안도에서 産出된다.(寶鑑).
*三尸 : 중국에서는 三尸라고 해서 인간의 몸속에서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세 神이라고 한다.
知母味苦熱渴除 지모미고열갈제
骨蒸有汗痰咳舒 골증유한담해서
知母는 味苦하다. 身熱․渴症을 없애고, 骨蒸․發汗․痰咳(기침)를 누그러뜨린다.
지모 ①味辛 性寒하다.
②腎經의 本藥으로서 足陽明 手太陰 氣分으로 들어간다.
③皮毛를 제거하여 쓰는데, 鐵을 忌한다.
④黃栢과 술을 함께 쓰면 좋고, 소금과 蓬砂를 伏한다.(本草).
⑤補藥에는 鹽水炒하거나 蜜炒하여 넣는다. 上行用으로는 酒炒한다.(寶鑑).
⑥無根之腎火를 瀉하고, 땀이 나는 骨蒸을 다스리고, 虛勞의 熱을 멈추고, 化源의 陰을 기른다.(本草).
⑦황해도에서 많이 난다.(寶鑑).
蓯蓉味甘補精血 총용미감보정혈
若驟用之反便活 약취용지반변활
肉蓯蓉은 味甘하다. 精血을 補養하는데, 별안간 쓰면 도리어 大便이 滑泄된다.
肉蓯蓉 ①微溫하다.
②말(馬)의 精液이 떨어진 곳에서 난다.
③鐵을 忌한다.
④술에 담가 하룻밤 재워 비늘과 껍질을 버리고 찌거나 타락죽에 炙한다.
⑤무릇 蓯蓉을 복용함은 腎을 다스리려 함인데, 반드시 心을 妨害한다.
⑥[鎖陽]은 肉蓯蓉의 一種인데(入門에서는 肉蓯蓉의 뿌리라고 하였다.) 어떤 마을 淫婦가 이것을 먹고 合方하였던 바 陰氣가 활짝 일어 오래 가고, 功力이 肉蓯蓉보다 百倍하였다는 것이다.(本草).
天麻味辛敺頭眩 천마미신구두현
小兒癎攣及癱瘓 소아간련급탄탄
天麻는 味辛하다. 頭眩․小兒癎攣 및 癱瘓을 몰아낸다.
수자해좆 ①性平하다.
②肝經 氣分에 들어간다.
③겻불(糠火)에 구워 술에 담갔다가 불에 쬐어 말린다.
④속에서 겉에 達하는 作用이 있다.(本草).
赤箭味苦號定風 적전미고호정풍
殺鬼蠱毒除疝癰 살귀고독제산옹
赤箭은 味苦하다. 別名이 定風이다. 鬼蠱(기생충)의 毒을 없애며, 疝․癰을 제거한다.
수자해좆싹 ①天麻의 싹이다. 表로부터 裏로 들어가는 功力이 있다.
②이 풀은 바람이 있으면 움직이지 않고, 바람이 없어지면 스스로 흔들린다.(本草).
白朮甘溫健脾胃 백출감온건비위
止瀉除濕兼痰痞 지사제습겸담비
白朮은 甘溫하다. 脾胃를 健康하게 하고, 泄瀉를 멈추고, 痰痞를 낀 濕을 없앤다.
삽주뿌리 ①手太陽少陰과 足三陰陽明으로 들어간다.
②米泔浸하여 蘆頭를 떼어 버리고, 潤燥에는 젖을 타서 저어쓰고, 胃虛에는 黃土에 炒해서 쓴다.
③복숭아․오얏․菘菜․참새고기를 忌한다.
④옛날에는 蒼朮․白朮이란 이름이 없었는데, 陶弘景이 처음으로 구분하였다.(本草).
蒼朮甘溫能發汗 창출감온능발한
除濕寬中瘴可捍 제습관중장가한
蒼朮은 甘溫하다. 땀을 잘 내고, 除濕하고, 속을 편하게 하고, 瘴氣를 막을 수 있다.
*瘴氣 : 瘴毒이라고도 함. 中國南方의 山林間의 濕熱이 蒸鬱해서 생기는 一種의 病邪이며, 自然의 疫病源의 性質의 類이다. 通常은 대개 瘧疾을 말함.
삽주뿌리 ①足陽明太陰․手太陰․手陽明․手太陽으로 들어간다.
②찹쌀뜨물에 담가 기름을 뺀다.
③忌하는 것은 白朮과 같다.(本草).
④雄壯하게 上行하는 藥이다.(寶鑑).
狗脊味甘治諸痺 구척미감치제비
腰背膝疼酒蒸試 요배슬동주증시
狗脊은 味甘하다. 諸痺와 허리․등․무릎의 疼痛을 다스린다. 酒蒸해서 쓴다.
고비뿌리 ①藥性은 微溫하고 莎草를 惡한다.
②金毛를 그슬려서(燎) 用한다.(本草).
貫衆寒毒宜癥蟲 관중한독의징충
漆瘡骨硬血症通 칠창골경혈증통
貫衆은 性寒 有毒하다. 癥病과 蟲症에 좋고, 漆瘡․骨硬․血症에도 通用한다.
회초밋뿌리 ①一名 黑狗脊이라 한다.
巴戟辛甘補虛損 파극신감보허손
精滑夢遺壯筋本 정활몽유장근본
巴戟은 味 辛甘하다. 虛損․精滑․夢遺를 補하여 根本을 健壯케 한다.
부조초뿌리 ①藥性은 微溫하다. ②腎經血分으로 들어간다. ③雷丸과 丹蔘을 惡한다. ④去心하고 酒浸 一宿하여 쓴다.(本草).
遠志氣溫敺悸驚 원지기온구계경
安神鎭心益聰明 안신진심익총명
遠志는 藥氣가 溫하다. 悸驚을 몰아내고, 安神하며, 心氣를 鎭靜시켜서 더욱 聰明해지게 한다.
아기풀뿌리 ①腎經氣分에 들어간다. ②甘草水에 하룻밤 浸했다가 去骨하여 暴乾하거나 焙乾한다. ③珍珠와 藜蘆를 畏한다. ④싹의 이름을 [小草]라 하며 益精하고, 虛勞와 夢泄을 멈춘다.(本草).
淫羊藿辛陰陽興 음양곽신음양흥
堅筋益骨志力增 견근익골지력증
淫羊藿은 味辛하다. 陰陽을 興盛하게 하고, 堅筋․益骨하고 志力을 늘린다.
三枝九葉草 ①一名 仙靈脾 ②小寒하거나 微溫하다. ③手足陽明 三焦 命門으로 들어간다. ④술과 함께 쓰면 좋다. ⑤羊이 이 풀을 먹으면 하루 백 번 交尾한다.(本草).
仙茅味辛腰足痺 선모미신요족비
虛損勞傷陽道起 허손로상양도기
仙茅는 味辛하다. 腰足의 麻痺와 虛損․勞傷을 다스리며, 陽道를 勃起시킨다.
①藥性은 微溫하고, 小毒이 있다. ②鐵을 忌한다. ③黑豆水에 浸一宿했다가 술에 타서 찌거나, 米泔浸해서 赤汁을 버린다. ④十斤의 乳石이 一斤의 仙茅만 못하다.(本草).
玄蔘苦寒淸相火 현삼고한청상화
消腫骨蒸補腎可 소종골증보신가
玄蔘은 味苦 性寒하다. 相火를 맑게 하고, 腫氣와 骨蒸을 없애고, 腎氣를 補할 수 있다.
①腎經의 君藥이다. ②蒲草를 使用하여 쪄서 말린다. ③黃芪․乾薑․大棗․山茱萸를 惡하고, 藜蘆를 反하고, 銅鐵을 忌한다.(本草). ④이 玄蔘은 중요한 藥材이다. 諸氣를 管領하여 上下를 맑게 하고 흐리지 않게 하므로 無根의 火에는 聖藥으로 삼는다.(湯液). ⑤경상도에서 난다고 한다.(寶鑑).
地楡沈寒血熱用 지유침한혈열용
痢崩金瘡並止痛 이붕금창병지통
地楡는 沈寒하다. 血熱에 쓰이며, 痢疾․崩漏․金瘡에는 止痛도 아울러 한다.
외나말뿌리 ①下焦에 들어간다. ②毛髮을 함께 쓰면 좋다. ③麥門冬을 惡하고, 丹砂․雄黃․硫黃을 伏한다.(本草).
丹蔘味苦生新能 단삼미고생신능
破積調經除帶崩 파적조경제대붕
丹蔘은 味苦하다. 生新에 能하며 積滯를 破하고, 經度를 순조롭게 하며 崩漏․帶下를 없앤다.
①藥性은 微寒하다. ②心絡과 包絡의 血分으로 들어간다.(入心與包絡血分) ③鹹水를 畏하고, 藜蘆를 反한다. ④오래 服用하면 眼赤이 많아진다. 藥性은 필시 熱할 것인데, 지금 微寒하다 라고 함은 잘못이 아닌가 싶다. ⑤丹蔘 한 가지의 效力은 [四物湯]의 藥效와 맞먹는다.(本草).
紫草苦寒通九竅 자초고한통구규
利水消膨痘疹要 리수소팽두진요
紫草는 味苦 性寒하다. 九竅를 通利시키며, 水道도 通利하고, 膨滿을 解消하고, 痘疹에도 필요하다.
지치 ①手足厥陰으로 들어간다. ②陰乾 酒洗한다. ③人尿․馬糞․烟氣를 忌한다. ④[茸]은 지치의 싹인데 陽氣는 생기지만 痘瘡을 유발한다. 요새 사람들은 이런 理致를 모르고 일률적으로 이를 쓰는 것은 잘못이다.(本草).
白芨味苦收斂多 백급미고수렴다
腫毒瘡瘍主外科 종독창양주외과
白芨은 味苦하다. 收斂作用이 많아서 腫毒․瘡瘍 등 주로 外科를 다스린다.
대왐풀 ①藥性은 平 微寒하다. ②肺經으로 들어 간다. ③杏仁을 畏하고 烏頭를 反한다.(本草).
三七苦溫專主血 삼칠고온전주혈
外摻內服痛自掇 외섬내복통자철
三七根은 味苦 性溫하다. 오로지 血을 다스린다. 外用하고 內服하면 痛症이 절로 걷힌다.
삼칠초뿌리 ①陽明과 厥陰 血分으로 들어 간다.(景岳). ②三七의 粉末을 돼지피에 뿌려서, 그 피가 溶解되는 것이라야 眞品이다. ③虎咬․蛇傷도 다스린다.(本草).
黃連味苦主淸熱 황련미고주청열
除痞明目止痢泄 제비명목지이설
黃連은 味苦하다. 主로 熱을 가시게 하며, 痞를 除去하고, 눈을 밝게 하고, 痢疾․泄瀉를 멈춘다.
깽깽이뿌리 ①藥性은 小寒하다. ②心經으로 들어 간다. ③本臟火에는 生用하고, 肝膽火에는 猪膽炒하고, 虛火에는 醋炒하고, 上焦火에는 酒炒하고, 中焦火에는 薑炒하고, 下焦火에는 鹽水炒하고, 氣分火에는 吳茱萸湯炒하고, 血分火에는 乾漆水炒하고, 食積火에는 土炒하여 쓴다. ④菊花․玄蔘․白蘚皮․芫花․白殭蠶․冷水를 惡하고 款冬․牛膝을 畏하고, 烏頭를 勝하고, 巴豆毒을 解하며, 猪肉을 忌한다. ⑤古方에 [黃連猪肚丸]이 있는데, 어찌하여 肉만 忌하고 臟은 忌하지 않을까.(本草). ⑥「陶弘景」이 黃連은 腸을 두껍게 한다는 말을 했는데, 「河間」이 다시 證言하기를, 苦寒한 藥은 泄하는 것이 많은데 오직 黃連과 黃栢만은 藥性이 冷하면서도 燥하다고 하였다. 이로 因하여 後世에 奇見이라고 여겨, 무릇 瀉痢를 다스리는 者는 손을 벌려 이에 偏들게 되었다. 黃連에 관한 한 마디 말의 잘못이 流染함이 이와 같고 씻어버리기 어려움이 이와 같으니 悖理가 사람을 眩惑시키는데 함부로 쓰면 脾과 腎이 날로 敗해, 백에 하나도 살지 못한다. 대개 痢疾을 앓다가 죽는 것은 이런 것 때문이니 한심하지 않은가.(景岳).
胡黃連苦骨蒸類 호황련고골증유
盜汗虛驚兒疳痢 도한허경아감리
胡黃連은 味苦하다. 骨蒸類․盜汗․虛驚․小兒疳痢에 쓴다.
①藥性은 大寒하다. ②惡하고 忌하는 것은 위의 黃連과 같고, 巴豆毒을 解한다. ③속은 검고 겉은 누런 것으로, 꺾으면 먼지가 연기처럼 나오는 것이 眞品이다.(本草).
黃芩苦寒瀉肺火 황금고한사폐화
子淸大腸濕熱可 자청대장습열가
黃芩은 味苦 性寒하다. 肺火를 瀉하며, 子芩은 大腸의 濕熱을 맑히는데 좋다.
속서근풀 ①속이 충실한 것을 子芩 또는 條芩이라고 한다. ②手太陰 血分과 手少陽 陽明으로 들어간다.(本草). ③酒炒하면 藥力이 上行하고, 便炒하면 藥力이 下行한다. 보통은 生用한다.(入門). ④葱實을 惡하고 丹砂․牧丹․藜蘆를 畏한다. 厚朴․黃連을 함께 쓰면 腹痛을 멈추고, 五味子․牡蠣와 함께 쓰면 有子하고, 黃芪․白蘞․赤小豆와 함께 쓰면 鼠瘻(瘰癧)를 고치며, 술과 함께 쓰면 藥力이 上行하고, 猪膽과 함께 쓰면 肝火와 膽火를 除去하고, 柴胡를 함께 쓰면 寒熱을 물리치고, 芍藥을 함께 쓰면 痢疾을 다스리고, 桑白皮를 함께 쓰면 肺火를 瀉하고, 白朮을 함께 쓰면 安胎한다.(本草).
秦艽微寒治濕功
下血骨蒸肢節風
秦艽는 微寒하다. 濕을 다스리며, 下血․骨蒸․肢節風에 效驗이 있다.
망초뿌리 ①手足의 陽明 및 肝과 膽으로 들어간다. ②牛乳를 畏한다.(本草).
柴胡味苦瀉肝火
寒熱往來瘧疾可
柴胡는 味苦하다. 肝火를 瀉하며, 寒熱往來와 瘧疾에 좋다.
멧미나리 ①藥性은 微寒한다. ②手足少陽과 厥陰經으로 들어 간다. ③外感에는 生用하고, 內傷에는 酒炒하고, 咳汗에는 蜜水炒하고, 肝膽火에는 猪膽炒해서 쓴다.(入門). ④皂角을 惡하고, 藜蘆를 畏하며, 銅鐵을 忌한다.(本草). ⑤「海藏」이 말하기를 “만약 實熱인데 柴胡를 썼다면 죽지 않고 무엇을 기다리겠는가”라고 하였다.(景岳).
前胡微寒寧嗽痰
寒熱頭痛痞可堪
前胡는 藥性이 微寒하다. 咳嗽와 痰을 가라앉히며, 寒熱頭痛과 痞를 堪耐할 수 있다.
사양채뿌리 ①手足太陰陽明으로 들어간다. ②皂角을 惡하며, 藜蘆를 畏한다. ③그 功力은 下氣를 잘 시킨다. 氣가 내리면 火가 내리고 痰이 내린다.(本草)
防風甘溫骨節痺
諸風口噤頭暈類
防風은 味甘 性溫하며, 骨節痺․諸風症․口噤․頭暈 따위를 다스린다.
병풍나무뿌리 ①手足太陽 및 足陽明太陰에 들어가고, 또 肝經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白蘞․乾薑․芫花․藜蘆를 惡하고, 萆薢를 畏하고, 附子毒을 죽이며, 모든 藥毒을 解한다. ③叉頭로 된 防風을 먹으면 發狂하고, 叉尾로 된 것은 痼疾이 생긴다. ④葱白을 함께 쓰면 全身으로 돌아 다닌다.
澤瀉와 藁本을 함께 쓰면 風을 다스리고, 當歸와 芍藥․陽起石․禹餘粮과 함께 쓰면 婦人子臟風을 다스린다. ⑤防風은 黃芪를 制御할 수 있으나, 黃芪가 防風을 얻으면 그 功力이 점점 커져서 마침내 서로 畏하고 相使하게 된다.(本草). ⑥上焦의 風邪를 除去하는 仙藥이다.(入門).
羌活微溫祛風濕
身痛頭疼筋骨急
羌活은 藥性이 微溫하며, 風․濕․身痛․頭疼․筋骨急을 없앤다.
강호리 ①이는 手足太陽과 足厥陰․少陰의 表裏로 引經하는 藥이다. 撥亂反正의 君主가 大에 不通함이 없고 小에 介入못하는 것이 없듯이 全身의 百節痛을 이 羌活 없이는 다스릴 수가 없다. 羌活은 氣가 雄大하므로 足太陽으로 들어 가고, 獨活은 氣가 細小하므로 足少陰으로 들어 간다. 이는 다 같이 風을 다스리되 表裏는 다르다.(本草). ②羌活과 獨活은 다 같이 강원도에서 난다.(寶鑑).
獨活甘苦項難舒
兩足濕痺風可除
獨活은 味甘苦하다. 목을 펴지 못하는 證과 兩足의 濕痺 등 風症을 除去할 수 있다.
멧두릅뿌리 ①藥性은 微溫하다. ②足少陰行經藥이다. ③獨活은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니 風을 다스리고, 浮萍은 물에 가라앉지 않으니 水毒을 없앤다.(本草).
升麻性寒淸胃能
解毒升擧並牙疼
升麻는 性寒하다. 胃를 맑게 하며, 毒을 풀고 올라가서 齒牙의 疼痛도 가시게 한다.
쇠절가리뿌리 ①足陽明과 太陰經의 藥이다.(本草). ②發散에는 生用하고, 補中에는 酒炒하고, 止汗에는 蜜炒해서 쓴다.(入門). ③人蔘과 黃芪는 이 升麻의 引導가 아니면 上行이 不能하다. 柴胡와 어우르면 生發의 氣를 引導하여 上行하고, 葛根과 어우르면 陽明의 땀을 나게 하고, 瘀血入裏에는 [犀角地黃湯]을 쓰는데, 이는 곧 陽明의 聖藥이다. 만일 이때에 犀角이 없으면 升麻로써 代應한다.(本草).
苦蔘味苦主外科
眉脫腸風下血痾
苦蔘은 味苦하다. 外科를 主治하며, 眉脫․腸風․下血 등 痼疾에 쓴다.
쓴너삼뿌리 ①足少陰의 君藥이며, 足少陽으로 들어간다. ②참쌀뜨물에 담갔다가 쪄서 말린다. ③貝母와 兎絲子를 惡하고, 藜蘆를 反하고, 水銀(汞)을 伏하고, 雌黃과 焰硝를 制한다. ④능히 陰氣를 峻補하며, 大風을 다스리는데, 하물며 風熱과 細疹이야 말할 나위가 있으랴. ⑤胃가 弱한 사람은 使用을 삼가라.(本草).
白蘚皮寒治疥癬
疸淋痺癱功不淺
白蘚皮는 性寒하다. 疥癬을 다스리며, 黃疸․淋瀝․風痺․癱瘓에 대한 效力도 적지 않다.
검화뿌리 ①手太陰 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海螵蛸․桔梗․茯苓․萆薢를 惡한다. ③風痺의 要藥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世醫들은 瘡科에만 쓰고 마니 淺薄하도다.(本草).
延胡氣溫治撲跌
心腹卒痛並諸血
延胡索은 氣가 溫하다. 撲跌․心腹卒痛과 아울러 諸血證을 다스린다.
①本名은 玄胡索이다. ②手足의 太陰 厥陰으로 들어간다.(本草). ③醋煮해서 쓴다.(入門). ④血中을 行하면서 氣滯․氣中․血滯 등 一身 上下의 모든 痛症에 쓰이는 妙는 形言할 수 없다.(本草). ⑤만일 産後의 血虛와 氣虛와 作痛이 甚大하다면 거기에는 玄胡가 좋은 바 아니다.(즉 안 좋다.)(景岳).
貝母微寒痰嗽宜
開鬱除煩肺癰痿
貝母는 微寒하다. 痰症과 咳嗽에 좋고, 開鬱하고, 除煩하니 肺癰과 肺痿에도 좋다.
①肺經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去心하고 薑汁炮하여 쓴다. ③桃花를 惡하고, 秦艽와 礬石을 畏하고, 烏頭에 反한다.(本草).
慈菰辛苦疔腫疽
蛇虺癮疹瘡可除
山慈菰(山慈姑)는 味辛苦하다. 面疔․腫瘍․癰疽․蛇虺․癮疹 등 瘡傷을 除去한다.
가채무릇 ①小毒이 있다.(本草).
茅根味甘善通關
吐衄客熱瘀並刪
白茅根은 味甘하다. 通關을 잘하여 吐血․衄血․客熱․瘀血 등을 아울러 없애 버린다.
띠뿌리 ①性寒하다. ②즉, 白茅根인데, 穀食 代用을 할 수 있다. ③小便을 잘 通하게 하고 消渴과 黃疸을 다스리는데 , 世人은 이를 소홀히 하고 苦寒만 알고 冲和의 氣를 傷하게 한다고 하니, 어찌 이것을 안다고 하겠는가.(本草).
龍膽苦寒眼赤疼
下焦濕腫肝熱乘
龍膽草는 味苦 性寒하다. 眼赤疼痛․下焦濕腫․肝熱 등을 누른다.
과남풀 ①足厥陰과 少陽氣分으로 들어간다. ②鐵을 忌한다. ③甘草湯에 하룻밤 담갔다가 暴乾해서 쓴다. 酒炒하면 上行한다.(本草). ④虛한 사람에게는 검게 酒炒해서 쓴다.(湯液).
細辛辛溫通關竅
少陰頭痛風濕要
細辛은 味辛 性溫하다. 關竅를 通하게 하며, 少陰頭痛과 風濕에 必要하다.
족두리풀뿌리 ①足厥陰 少陰血分과 手少陰으로 引經한다. ②黃芪․狼毒․山茱萸를 惡하고, 生菜를 忌하며, 消石․滑石을 畏하고, 藜蘆를 反한다. ③細辛末을 單獨으로 쓸 때에는 半錢 以上은 不可하다. 많으면 氣塞해서 죽는다. 혹시 죽지 않는다 해도 傷處가 생긴다. ④頭面風通에는 반드시 써야 하는 藥이다.(本草).
白薇大寒鬼邪却
不省人事風與瘧
白薇는 性大寒하다. 鬼邪를 물리치며, 人事不省하는 風症과 瘧疾을 다스린다.
아마존 ①陽明經에 들어간다. ②糯米泔水에 쪄서 말리거나 酒洗한다. ③黃芪․大黃․乾薑․大棗․乾漆․山茱萸를 惡한다.(本草).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隰草 (0) | 2010.06.18 |
---|---|
한약약성가 芳草 (0) | 2010.06.18 |
본초학 한약 요약정리 자료 (7) | 2010.06.11 |
본초학 한약 사용빈도 조사표 (0) | 2010.06.11 |
본초학 치법 (0) | 201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