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蔓 草 (三十一種) =================
畢澄茄辛消痰食
逐鬼除脹噦可息
畢澄茄는 味辛하다. 消痰․消食하며, 逐鬼․除脹하고, 딸국질도 멎게 한다.
①陰地로 向한 것이 畢澄茄이고, 陽地로 向한 것이 胡椒이다. 係嫩胡椒는 파랄 때(靑時) 딴 것이다.(本草).
胡椒味辛下氣滯
心腹冷痛跌撲劑
胡椒는 味辛하다. 氣滯를 내리며, 心腹冷痛과 跌撲損傷에 쓰는 藥이다.
①多食하면 肺를 傷해서 吐血한다. 물고기(魚肉)와 자라(鱉)의 菌毒을 죽인다.(本草).
薯蕷甘溫善補中
理脾止瀉益腎功
薯蕷는 味甘 性溫하다. 補中을 잘 하며, 理脾․止瀉․益腎하는 效力이 있다.
마 ①卽 山藥이다. 手足太陰으로 들어 간다.(本草).
兎絲甘平治夢遺
添精强筋腰膝痿
兎絲子는 味甘 性平하다. 夢遺를 다스리며, 添精 强筋하고, 腰膝의 痿함을 다스린다.
새삼씨 ①四~五日間 酒浸하여 쪄서 晒乾한 것을 갈아서 떡을 만들어 종이 오리(紙條) 몇을 넣고 찧으면 즉각 가루가 된다.(本草). ②옛 사람들이 兎絲子를 煎藥에 넣지 않은 것은 하나의 실수이다. 消渴을 멈추려면 煎湯하여 그 湯을 任意로 服用하는 것이 좋다.(景岳).
沙蔘味苦風熱退
消腫排膿補肝肺
沙蔘은 味苦하다. 風熱을 물리치며, 消腫․排膿하고, 肝과 肺를 補한다.
더덕 ①性微寒하다. ②疝症과 오래된 咳嗽를 다스린다.(本草). ③역로(易老)가 말하기를, 人蔘은 補陽하고 沙蔘은 補陰하니, 沙蔘과 人蔘을 對照한다면 相去가 먼 것이니라 하였다.(景岳).
扁豆微凉酒毒却
下氣和中轉筋霍
白扁豆는 性 微凉하다. 酒毒을 풀며, 下氣 和中하고, 轉筋과 霍亂을 고친다.
변두콩 ①[白扁豆 꽃(花)]은 帶下와 泄痢를 主治한다. ②[藤과 잎(葉)]은 霍亂을 主治한다.(本草).
五味酸溫能止渴
久嗽虛勞金水竭
五味子는 味酸 性溫하다. 能히 止渴하며, 오랜 咳嗽와 虛勞․金水의 不足을 다스린다.
오미자 ①手太陰 血分과 足太陰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蜜蒸해서 쓰나, 咳嗽藥으로는 生用한다. ③烏頭을 惡한다. ④味酸하므로 肺를 收斂하니 多食하면 좋지 않다. 虛熱이 생길 염려가 있으면 여름에 常服하여 肺를 돕는 것이 좋다. 金의 氣가 上焦에 있으면 滋源이 되고, 下焦에 있으면 補腎한다. ⑤五味子의 껍질(皮)은 酸하고, 살(肉)은 甘하고, 核은 辛苦하고, 全體로는 鹹味가 있으니, 이는 다섯가지의 맛을 갖춘 셈이다.(本草).
使君甘溫治諸蟲
消疳淸濁瀉痢功
使君子는 味甘 性溫하다. 諸蟲을 다스리며, 五疳을 없애고 脹滿의 濁氣를 가시게 하고, 瀉痢를 고치는 效驗이 있다.
①煨하여 去殼한다. ②小兒의 百病을 다스린다. 每月 上旬 이른 새벽 공복에 數枚를 먹거나, 껍질로 煎湯하여 嚥下하면 다음 날 蟲이 다 죽어서 나온다. ③[껍질(殼)]도 殺蟲한다.(本草).
木鼈甘溫追瘡毒
消腫乳癰腰疼屬
木鼈은 味甘 性溫하다. 瘡毒을 追放하며, 腫氣․乳癰․腰痛 等屬을 없앤다.
개가 이것을 먹으면 卽死하니, 大毒이 아니고서야 이 같은 일이 있겠는가.(景岳).
兜鈴苦寒熏痔漏
定喘消痰肺熱嗽
馬兜鈴은 味苦 性寒하다. 痔漏에 熏하며, 喘息을 鎭靜시키고, 痰을 삭히고, 肺熱․咳嗽를 다스린다.
①手太陰으로 들어간다.(本草).
牽牛苦寒利水腫
蠱脹痃癖散滯壅
牽牛子는 味苦 性寒하다. 水腫을 다스리며, 蠱脹과 痃癖을 고치고, 滯壅을 없앤다.
나팔꽃씨 ①一名 黑丑. ②有毒하다. 白牽牛는 金에 屬하고, 黑牽牛는 水에 屬한다. 머리 부분과 끝 부분(頭末)을 쓴다.(本草).
瓜蔞仁寒嗽痰剟
傷寒結胸解煩渴
瓜蔞仁은 性寒하다. 咳嗽․가래를 없애며, 傷寒과 結胸을 다스리고 煩渴을 푼다.
하눌타리씨 ①종이로 눌러서 기름을 除去한다.(本草).
天花粉寒除熱痰
排膿消毒煩渴堪
天花粉은 性寒하다. 熱痰을 除去하며, 排膿과 消毒을 하고 煩渴을 堪當한다.
하눌타리뿌리 ①天花粉은 곧 瓜蔞根이다. ②날뿌리를 짓찧어서 비단으로 걸러 汁을 받아 맑은 가루를 볕에 말린다. ③乾薑을 惡하고, 牛膝․乾漆을 畏하고, 烏頭를 反한다.(本草).
葛根味甘解傷寒
酒毒溫瘧渴並安
葛根은 味甘하다. 傷寒을 풀며, 酒毒과 溫瘧을 다스리고, 煩渴도 멈춘다.
칡뿌리 ①陽明으로 들어 간다. ②[가루(粉)]은 渴症을 없애고, 利水하고, 酒毒을 푼다. ③[꽃(花)]는 酒毒을 풀고 膓風을 다스린다. ④[잎(葉)]은 金瘡을 다스리고 止血한다.(本草).
天門甘寒肺癰痿
喘嗽熱痰皆可宜
天門冬은 味甘 性寒하다. 肺癰과 肺痿, 喘嗽와 熱痰에 다 좋다.
호라지좆 ①肺腎의 氣分으로 들어 간다. ②溫水에 浸하였다가 去心한다. ③鐵을 忌한다. ④三蟲을 죽인다.(本草).
百部味甘骨蒸瘵
殺疳蛔蟲久嗽解
百部根은 味甘하다. 骨蒸 勞瘵를 다스리며, 疳積의 蛔蟲을 죽이고, 오래된 咳嗽를 푼다.
①性微寒하다. ②酒浸해서 쓴다.(本草).
何首烏甘宜種子
添精黑髮顔光美
何首烏는 味甘하다. 受胎에 좋으며, 添精하고, 頭髮을 검게 하고 顔色을 아름답게 한다.
①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며, ②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고 한다.(寶鑑). ③肝과 腎의 藥인데, 白何首烏는 氣로 들어 가고, 赤何首烏는 血로 들어 간다. ④米泔浸하여 볕에 말리거나 혹은 米泔浸하여 黑豆와 함께 쪄서 말려 가지고 다시 콩(豆)와 함께 쪄서 말리는데, 이렇게 하기를 九蒸九曝한다. ⑤鐵과 諸血․無鱗魚․무우(蘿葍)․파(葱)․마늘(蒜)을 忌하고, 朱砂를 伏한다.(本草).
萆薢甘溫三氣痺
腰背冷疼添精餌
萆薢는 味甘 性溫하다. 三氣의 痺와 腰背冷疼을 다스리며, 添精하는데 먹는다.
며래의 뿌리 ①一名 竹木. ②足陽明 厥陰으로 들어 가며, 風濕을 除去하는 長點이 있다. ③酒浸해서 쓴다. ④大黃․柴胡․前胡를 畏한다.(本草).
土茯苓淡可當穀
止瀉去風輕粉毒
土茯苓은 味淡하다. 糧穀의 代用도 될 수 있으며, 止瀉․去風하고, 輕粉毒을 풀기도 한다.
상비해 ①一名 仙遺粮. ②飮茶와 소(牛)․羊․닭(鷄)․거위(鵝)․魚肉․酒․국수(麵)․房事를 忌한다.(本草).
白蘞微寒癰疔聳
兒瘧驚癎女陰腫
白蘞은 微寒하다. 癰疽․疔瘡聳起, 小兒의 瘧疾과 驚癎, 女子의 陰腫을 다스린다.
가위톱
山豆根苦咽腫痛
蛇蟲所傷並可送
山豆根은 味苦하다. 咽喉腫痛과 蛇蟲에 물린 傷處를 아울러 다스린다.
俗名은 金鎖匙.
葳靈苦溫腰膝冷
積痰痃癖風濕並
葳靈仙은 味苦 性溫하다. 腰膝의 冷症과 積痰․痃癖․風濕 등을 아울러 다스린다.
수뤼나물뿌리 ①太陽經으로 들어 가 十二經脈을 通한다. 아침에 먹으면 저녘에 效果가 나타난다. 弱한 사람은 服用이 不可하다. 물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의 것이 좋다. ②酒洗해서 쓴다.(本草).
茜草味苦主諸血
損傷蠱毒及虛熱
茜草는 味苦하다. 主로 諸血證을 다스리며, 損傷․蠱毒 및 虛熱도 다스린다.
꼭두서니 ①手足厥陰 血分으로 들어 간다. ②鐵을 忌한다.(本草).
防己氣寒癰腫滅
風濕脚痛膀胱熱
防己는 氣寒하다. 癰腫을 없애며, 風濕 脚痛과 膀胱熱을 다스린다.
①太陽으로 들어가 十二經을 通한다. ②下焦 濕熱이 있은 然後에 살펴서 使用한다.(本草).
通草味甘治膀胱
消癰散腫通乳房
通草는 味甘하다. 膀胱을 다스리며, 癰疽를 삭히고, 腫氣를 없애고, 乳房을 通利하게 한다.
으름덩굴
木通性寒滯可寧
小腸熱閉及通經
木通은 性寒하다. 滯氣를 풀 수 있으며, 小腸이 熱閉된 것을 열고, 通經하게 한다.
으름덩굴뿌리 ①手厥陰과 手足太陽으로 들어 간다. ②利水하는 功力이 琥珀과 같다.(本草).
鉤藤微寒兒驚癎
手足口眼瘈瘲刪
釣鉤藤은 藥性이 微寒하다. 小兒의 驚癎과 手足․口眼의 痙攣을 다스린다.
①手足 厥陰으로 들어 간다. ②鉤 부분을 取해서 쓴다.(本草).
*釣鉤藤은 血壓降下作用이 있는데, 10分 以上 끓이면 그 效能이 없어지므로, 高血壓이나 動脈硬化 또는 高血壓이나 動脈硬化의 後遺症에 煎湯制로 釣鉤藤을 使用할 경우는 따로 10分 以內로 끓여서 使用해야 한다.
忍冬甘寒外感初
熱痢熱渴並癰疽
忍冬은 味甘 性寒하다. 外感 初期의 熱痢․熱渴과 아울러 癰疽를 다스린다.
겨우살이덩굴 ①藥性은 小寒하다. 溫하다는 것은 곧 金銀花를 이르는 것이다. [藤]은 無毒하며, 鐵을 忌한다.(本草).
金銀花甘癰善退
未成則散己成潰
金銀花는 味甘하다. 癰疽를 잘 물리치는데, 成腫이 채 되지 않은 癰疽는 헤쳐버리고, 成腫한 것은 터뜨린다.
겨우살이꽃 ①곧 忍冬花이다. 四月에 꽃을 따서 陰乾한다. 鐵을 忌한다.(本草).
丁公藤溫治腎衰
風濕痺嗽及烏髭
丁公藤은 性溫하다. 腎衰․風痺․濕痺․咳嗽 등을 다스리며, 머리를 검게 한다.
마가목 ①一名 南藤이다.
絲瓜性冷主惡瘡
痘疹乳疽疔腫方
絲瓜는 性冷하다. 惡瘡․痘疹․乳疽․疔腫 등을 다스린다.
수세미외 ①解毒․殺蟲․通經․下乳하며, 燒存性이 많다.(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