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음식 음양오행 정리

별꽃바람 2012. 8. 24. 10:21

 

음식 음양오행.hwp

 

 

 

 

음식 음양오행

 

 

 

 

 

이지사찰음식문화원

http://cafe.daum.net/templecook

 

 

 

 

 

 

 

수료연구반

1. 음식을 이용한 인체치유의 핵심

음식과 인체의 기운을 조합하여 부족한 것은 채워주고 넘치는 것은 감한다

원리 1: 오행의 상생상극 원리를 이용한 치유 (허즉보기모 실즉사기자)

원리 2: 육기의 상합, 교상합원리를 이용한 치유

 

음양

음: 무겁다, 차갑다, 내려오는 것, 땅, 응축, 물, 북쪽

양: 가볍다, 뜨겁다, 올라간다, 하늘, 발산, 불, 남쪽

 

오행

목화토금수

목: 동쪽, 청색, 봄

화: 남쪽, 붉은색, 여름

토: 중앙, 황색, 여름과 가을의 중앙

금: 서쪽, 흰색, 가을

수: 북쪽, 검은색, 겨울

 

육기(삼음삼양)

궐음풍목 소음군화 태음습토 소양상화 양명조금 태양한수

 

오행의 상생상극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육기의 상합, 교상합

상합: 목 – 상화, 화 – 수, 금 – 토,

교상합: 목/목 – 상화/상화, 목/상화 – 상화/목,

화/화 – 수/수, 화/수 – 수/화,

토/토 – 금/금, 토/금 – 금/토

 

십간 십이지와 음양오행, 육기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목 목 화 화 토 토 금 금 수 수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수 토 목 목 토 화 화 토 금 금 토 수

군 습 상 조 한 풍 군 습 상 조 한 풍

화 토 화 금 수 목 화 토 화 금 수 목

 

2. 인체장부의 오행배속

(木) 간, 담

화(火) 심장, 소장

토(土) 비장, 위장

금(金) 폐장, 대장

수(水) 신장, 방광

*상화(相火) 삼초, 심포

 

3. 인체경락의 육기배속

궐음풍목 간, 심포

소음군화 신, 심

태음습토 폐, 비

소양상화 삼초, 담

양명조금 대장, 위

태양한수 소장, 방광

 

4. 맛의 오행배속

목: 신맛

- 푸른 팥, 매실, 부추, 등푸른 생선, 녹즙 등의 푸른색 음식

- 귤, 딸기, 포도, 유자, 매실, 앵두, 오렌지 등 신맛 과일

- 보리, 귀리, 메밀, 강낭콩, 팥, 완두콩 등의 곡류

- 개고기, 닭고기, 계란, 동물의 간 등의 육류

화: 쓴맛

- 수수, 팥, 적포도주, 홍차, 자몽, 커피 등의 붉은색 음식

- 더덕, 도라지, 칡 등의 뿌리채소

- 냉이, 상추, 셀러리, 쑥, 아욱, 고들빼기 등의 채소

- 칠면조, 염소, 곱창, 선지 등의 육류

토: 단맛

- 메주콩, 참외, 단감, 늙은 호박과 같은 노란색 음식

- 대추, 참외, 감, 망고 등의 단맛 과일

- 고구마줄기, 시금치, 호박잎, 마, 피망 등 단맛 채소

- 쇠고기, 토끼고기, 동물의 위장 등의 육류

금: 매운맛

- 파, 마늘, 양파, 무, 배, 율무, 현미 등 흰색 음식

- 생강차, 율무차, 수정과 등 매운맛의 차

- 생선, 조개류, 동물의 허파 등의 육류

- 계피, 고추, 후추, 생강, 겨자, 고추냉이 등의 매운양념

수: 짠맛

- 검정콩, 다시마, 미역, 김 등의 검정색 음식

- 장아찌, 짠지, 피클 등의 저장 음식

- 새우젓, 명란젓, 조개젓, 돼지고기 등의 육류

- 콩, 밤, 마 등의 곡류와 근채류

 

5. 오미의 보사(補 瀉)를 통한 인체치유

허 (虛)하면 그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補)하고 실(實)하면 그 아들격인 장기를 사(瀉)해야 한다. 즉 간(肝)은 심(心)의 어머니격이므로 심이 허약할 때에는 간을 보해야 하고 비(脾)는 심의 아들격이므로 심이 실할 때에는 비를 사(瀉)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장기도 이와 같다[난경].

○ 간과 담은 매운 맛으로 보하고 신맛으로 사해야 한다. 그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서늘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 심, 소장은 짠 맛으로 보하고 단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열한 약으로 보하고 찬약으로 사해야 한다. 3초, 명문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도 이와 같다.

○ 비, 위는 단맛으로 보하고 쓴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찬약으로 사해야 한다.

○ 폐와 대장은 신맛으로 보하고 매운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보하고 따뜻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 신과 방광은 쓴 맛으로 보하고 짠 맛으로 사해야 하며 성질이 찬약으로 보하고 열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동원].

보하는 약인가 사하는 약인가 하는 것은 주로 약의 맛을 보고 알 수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약의 성질을 보고도 알 수 있다[동원].

 

[심장()]

()을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당귀(當歸), 작약(芍藥), 오수유(吳茱萸), 육계(肉桂), 창출(蒼朮), 백출(白朮), 석창포(石菖蒲)를 쓴다.

()을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서각(犀角), 생지황(生地黃), 우황(牛黃), 죽엽(竹葉), 주사(朱砂), 맥문동(麥門冬). 황련(黃連), 연교(連翹)를 쓴다.

()을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원지(遠志), 복신(茯神),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토사자(兎絲子), 인삼(人蔘), 금박(金箔), 은박(銀箔), 초염(炒鹽)을 쓴다.

()을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황련(黃連), 고삼(苦蔘), 패모(貝母), 전호(前胡), 울금(鬱金)을 쓴다.

 

[소장(小腸)]

소장(小腸)을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파극(巴戟), 회얄(茴香), 오약(烏藥), 익지인(益智仁)을 쓴다.

소장(小腸)을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모근(茅根), 통초(通草), 황금(黃芩), 천화분(天花粉), 활석(滑石), 차전자(車前子)를 쓴다.

소장(小腸)을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모려(牡蠣), 석곡(石斛), 감초(甘草)를 쓴다.

소장(小腸)을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총백(蔥白), 소자(蘇子), 속수자(續隨子), 대황(大黃)을 쓴다.

 

[간장()]

()을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목향(木香), 육계(肉桂), 반하(半夏), 육두구(肉荳蔲), 진피(陳皮), 빈랑(檳榔), 필발(蓽撥)을 쓴다.

간()을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별갑(鱉甲), 황금(黃芩), 황련(黃連), 용담초(草龍膽), 초결명(草決明), 시호(柴胡), 영양각(羚羊角)을 쓴다.

()을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목과(木瓜), 아교(阿膠), 천궁(川芎), 황기(黃芪), 산수유(山茱萸), 산조인(酸棗仁), 오가피(五加皮)를 쓴다.

()을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청피(靑皮), 작약(芍藥), 시호(柴胡), 전호(前胡), 서각(犀角), 목진피(木秦皮), 용담초(草龍膽)를 쓴다.

 

[담낭()]

()을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진피(橘皮), 반하(半夏), 생강(生薑), 천궁(川芎), 계지(桂枝)를 쓴다.

()을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황련(黃連), 황금(黃芩), 죽여(竹茹), 시호(柴胡), 용담초(草龍膽)를 쓴다.

()을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산조인(酸棗仁), 오미자(五味子)를 쓴다.

()을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청피(靑皮), 시호(柴胡), 황련(黃連), 목통(木通), 작약(芍藥)를 쓴다.

 

[비장()]

()를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향부자(香附子), 사인(砂仁), 건강(乾薑), 계피(桂皮), 목향(木香), 육두구(肉荳蔲), 익지인(益智仁), 곽향(藿香), 정향(丁香), 부자(附子)를 쓴다.

()를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산치자(山梔子), 황련(黃連), 석고(石膏), 백작약(白芍藥), 승마(升麻), 연교(連翹), 황금(黃芩), 고차(苦茶)를 쓴다.

()를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복령(茯苓), 진피(陳皮), 반하(半夏), 건강(乾薑), 맥아(麥芽), 산약(山藥)를 쓴다.

()를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파두(巴豆), 삼릉(三稜), 지실(枳實), 적작약(赤芍藥), 대황(大黃), 청피(靑皮), 신곡(神麴), 산사자(山楂子)를 쓴다.

 

[위장()]

()를 따뜻하게()하는 약으로는 정향(丁香), 백두구(白荳蔲), 초두구(草荳蔲), 건강(乾薑), 후박(厚朴), 익지인(益智仁), 오수유(吳茱萸)를 쓴다.

()를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석고(石膏), 연교(連翹), 건강(乾薑), 활석(滑石), 승마(升麻), 갈근(葛根), 천화분(天花粉), 치자(梔子), 황금(黃芩)을 쓴다.

()를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백출(白朮), 산약(山藥), 연실(連實), 검인(芡仁), 백편두(白扁豆), 인삼(人蔘), 황기(黃芪), 축사(縮砂)을 쓴다.

()를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파두(巴豆), 대황(大黃), 지실(枳實), 망초(芒硝), 후박(厚朴), 견우자(牽牛子)를 쓴다.

 

[폐장()]

폐(肺)를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진피(陳皮), 반하(半夏), 생강(生薑), 관동화(款冬花), 백두구(白荳蔲), 행인(杏仁), 소자(蘇子), 천초(川椒)를 쓴다.

()를 서늘하게()하는 약으로는 지모(知母), 패모(貝母), 과루인(瓜蔞仁), 길경(桔梗), 천문동(天門冬), 편금(片芩), 치자(梔子), 석고(石膏)를 쓴다.

()를 보하게()하는 약으로는 인삼(人蔘), 황기(黃芪), 아교(阿膠), 오미자(五味子), 천문동(天門冬), 사삼(沙蔘), 산약(山藥), 녹각교(鹿角膠)를 쓴다.

()를 사하게()하는 약으로는 정력자(葶藶子), 상백피(桑白皮), 방풍(防風), 행인(杏仁), 마황(麻黃), 지각(枳殼), 자소엽(紫蘇葉)을 쓴다.

 

[대장(大腸)]

대장(大腸)을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인삼(人蔘), 건강(乾薑), 계피(桂皮), 반하(半夏), 목향(木香), 호초(胡椒), 오수유(吳茱萸)를 쓴다.

대장(大腸)을 서늘하게(凉)하는 약으로는 황금(黃芩), 괴화(槐花), 천화분(天花粉), 치자(梔子), 연교(連翹), 석고(石膏)를 쓴다.

대장(大腸)을 보하게(補)하는 약으로는 앵속각(罌粟殼), 오배자(五倍子), 모려(牡蠣), 육두구(肉荳蔲), 목향(木香), 가자(訶子)를 쓴다.

대장(大腸)을 사하게(瀉)하는 약으로는 망초(芒硝), 대황(大黃), 속수자(續隨子), 도인(桃仁), 마인(麻仁), 지각(枳殼), 빈랑(檳榔), 총백(蔥白), 견우자(牽牛子)를 쓴다.

 

[신장()]

신(腎)을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침향(沈香), 토사자(兎絲子), 부자(附子), 육계(肉桂), 파고지(破古紙), 백자인(柏子仁), 오약(烏藥), 파극(巴戟)을 쓴다.

신(腎)을 서늘하게(凉)하는 약으로는 지모(知母), 황백(黃柏), 목단피(牡丹皮), 지골피(地骨皮), 현삼(玄蔘), 생지황(生地黃)을 쓴다.

신(腎)을 보하게(補)하는 약으로는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拘杞子), 녹용(鹿茸), 구판(龜板), 오미자(五味子), 육종용(肉蓗蓉), 우슬(牛膝), 두충(杜冲)을 쓴다.

신(腎)을 사하게(瀉)하는 약으로는 택사(澤瀉), 복령(茯苓), 저령(豬苓), 호박(琥珀), 목통(木通)을 쓴다.

신병(腎病)에는 본래 실(實)증이 없으므로 신병(腎病)을 사(瀉)하는 경우가 없음으로 신병(腎病)에 복령(茯苓), 택사(澤瀉)를 쓰는 것은 오직 사수(邪水)와 사화(邪火)를 다스리려는 것이다.

 

[방광(膀胱)]

방광(膀胱)을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회향(茴香), 오약(烏藥), 육계(肉桂), 침향(沈香), 오수유(吳茱萸)를 쓴다.

방광(膀胱)을 서늘하게(凉)하는 약으로는 생지황(生地黃), 방기(防己), 황백(黃柏), 지모(知母), 활석(滑石), 감초초(甘草梢)를 쓴다.

방광(膀胱)을 보하게(補)하는 약으로는 익지인(益智仁), 석창포(石菖蒲), 속단(續斷)을 쓴다.

방광(膀胱)을 사하게(瀉)하는 약으로는 차전자(車前子), 구맥(瞿麥), 활석(滑石), 망초(芒硝), 택사(澤瀉), 저령(豬苓), 목통(木通)을 쓴다.

 

[명문(命門)]

명문(命門)을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부자(附子), 육계(肉桂), 파고지(破古紙), 회향(茴香), 침향(沈香), 오약(烏藥), 건강(乾薑)을 쓴다.

명문(命門)을 서늘하게(凉)하는 약으로는 황백(黃柏), 치자(梔子), 시호(柴胡), 지모(知母), 활석(滑石), 망초(芒硝)를 쓴다.

명문(命門)을 보하게(補)하는 약으로는 육종용(肉蓗蓉), 침향(沈香), 황기(黃芪), 육계(肉桂), 토사자(兎絲子), 파고지(破古紙)를 쓴다.

명문(命門)을 사하게(瀉)하는 약으로는 오약(烏藥), 지각(枳殼), 대황(大黃), 망초(芒硝), 황백(黃柏), 치자(梔子)를 쓴다.

 

[삼초(三焦)]

삼초(三焦)를 따뜻하게(溫)하는 약으로는 부자(附子), 파고지(破古紙), 당귀(當歸), 숙지황(熟地黃), 토사자(兎絲子), 오수유(吳茱萸), 회향(茴香)을 쓴다.

삼초(三焦)를 서늘하게(凉)하는 약으로는 지모(知母), 용담초(龍膽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지골피(地骨皮), 황백(黃柏), 치자(梔子)를 쓴다.

삼초(三焦)를 보하게(補)하는 약으로는 인삼(人蔘), 황기(黃芪), 건강(乾薑), 감초(甘草), 백출(白朮), 계지(桂枝), 익지인(益智仁)을 쓴다.

삼초(三焦)를 사하게(瀉)하는 약으로는 황백(黃柏), 치자(梔子), 저령(豬苓), 택사(澤瀉), 적복령(赤茯苓), 대황(大黃), 빈랑(檳榔)을 쓴다.

 

6. 음양오행에 따른 인체와 五味(오미)의 생겨남

- 동방은 風(풍)을 生(생)하고 풍은 木(목)을 생하며 목은 신맛을 생하고 신맛은 肝(간)을 생하며 간은 筋(근)을 생하고 근은 심장을 생한다. 간은 눈(目)의 주인이다. 變動(변동)하면 握(악)하게 된다.

- 남방은 熱(열)을 생하고 열은 火(화)를 생하고 화는 쓴맛을 생하고 쓴맛은 심장을 생하고 심장은 血(혈)을 생하고 혈은 비장을 생한다. 심장은 혀(舌(설))의 주인이다. 변동하면 憂(우)하게 된다.

- 중앙은 濕(습)을 생하고 습은 土(토)를 생하며 토는 단맛을 생하고 단맛은 비장을 생하며 비장은 肉(육)을 생하고 육은 폐를 생한다. 비장은 입(口)의 주인이다. 변동하면 딸꾹질하게 된다.

- 서방은 燥(조)를 생하고 燥(조)는 金(금)을 생하며 금은 매운맛을 생하고 매운맛은 폐를 생하며 폐는 皮毛(피모)를 생하고 피모는 腎臟(신장)을 생한다. 폐는 코의 주인이다. 변동하면 기침하게 된다.

- 북방은 寒(한)을 생하고 寒(한)은 水(수)를 생하며 수는 짠맛을 생하고 짠맛은 신장을 생하고 신장은 골수를 생하며 골수는 간을 생한다. 신장은 귀의 주인이다. 변동하면 몸을 떨게 된다.

 

7. 음식과 성격의 관계

- 신음식: 怒(노)함과 소리치는 것은 木(목)에 해당된다. 심하게 怒(노)하면 간을 상하게 되고 悲(비)함이 怒(노)를 이긴다.

- 쓴음식: 喜(희)와 웃는 것은 火(화)에 해당된다. 심하게 喜(희)하면 심장을 상하게 되고 恐(공)이 喜(희)를 이긴다.

- 단음식: 思(사)와 노래하는 것은 土(토)에 해당된다. 심하게 思(사)하면 비장을 상하게 되고 怒(노)가 思(사)를 이긴다.

- 매운음식: 憂(우)와 우는 것은 金(금)에 해당된다. 심하게 憂(우)하면 폐를 상하게 되고 喜(희)가 憂(우)를 이긴다.

- 짠음식: 恐(공)과 신음하는 것은 水(수)에 해당된다. 심하게 恐(공)하면 신장을 상하게 되고 思(사)가 恐(공)을 이긴다.

 

8. 음식은 해당하는 인체 장부를 공명시킴.

- 짠음식은 신장을 공명시키고

- 쓴음식은 심장을 공명시키고

- 매운음식은 폐를 공명시키고

- 신음식은 간을 공명시키고

- 단음식은 비장을 공명시킨다.

 

9. 어떤 음식이 지나치면 어떤 인체 부위를 傷(상)하게 하는 가

- 짠음식이 지나치면 몸을 구성하는 큰 뼈의 기가 지쳐 상하고, 몸이 여의고 위축된다. 심장의 기가 억제 되어 혈맥이 응결되고 막혀서 얼굴색이 검게된다.

- 쓴음식이 지나치면 비장의 기운이 마르게 되어 적셔주지 못하므로 위장의 기운이 두터워지지 못한다. 피부가 메마르고 털이 빠진다.

- 매운음식이 지나치면 피부와 털을 상하게 하고, 근육이 무너져 급히 오그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하며 정신이 산만해 지고 손발톱이 마른다.

- 신음식이 지나치면 肝(간)氣(기)가 넘쳐 흐른다. 간기가 넘쳐흐르면 곧 비장의 기운이 끊어진다. 근육을 상하게 하고, 살이 두텁게 부르터면서 쪼그라들고 입술이 얇게 마르면서 솟아 오른다.

- 단음식이 지나치면 살을 상하게 하고 골이 아파오고 머리카락이 빠지게 된다. 심장이 헐떡이게 되고, 얼굴이 검게 되고 신장의 기운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10. 음식의 특성이 인체에 미치는 작용

- 단음식은 이완시킨다.

간은 急(급)한 것을 고통스러워하니 이 때는 단 것을 먹어서 이완시켜 주어야 한다.

- 신음식은 수렴시킨다.

심장은 이완되는 것을 고통스러워하니, 이 때는 신 것을 먹어서 수렴시켜 주어야 한다.

- 쓴음식은 건조시킨다.

비장은 습한 것을 고통스러워하니 이 때는 쓴 것을 먹어서 건조시켜 주어야 한다.

폐는 기가 위로 逆上(역상)하는 것을 고통스러워하니, 이 때 쓴 것을 먹어서 泄下(설하)시켜야 한다.

- 매운음식은 발산시킨다.

신장은 건조한 것을 괴로워하니 이 때는 매운 것을 먹어서 적셔 주어야 한다. 매운 맛은 주리를 열어주고 진액을 이르게 하며 기를 통하게 하여 준다.

- 짠음식은 연하게 한다.

비장의 색은 황색이며 의당 짠 것을 먹어야 한다.

 

11. 음식이 치료하는 인체장부의 병

- 간에 병이 들었을 때는 매운 것을 먹어서 발산시켜야 하며, 매운 것으로 補(보)하고 신 것으로 㵼(사)해 주어야 한다.

- 심장에 병이 들면 軟(연)해지려고 하니 짠 것을 먹어 軟(연)하게 해주어야 하며, 짠 것으로 보해주고 단것으로 㵼(사)해 주어야 한다.

- 비장에 병이들면 이완되려고 하니, 서둘러 단 것을 먹어서 이완시켜 주어야 하며, 쓴 것으로 사해주고 단것으로 補(보)해 주어야 한다.

- 폐장에 병이 들면 거두어 들이려고 하므로, 서둘러 신 것을 먹어서 수렴시켜야 한다. 신 것으로 보해주고 매운 것으로 사해준다.

- 신장에 병이 들면 견고해지려 하므로, 서둘러 쓴 것을 먹어서 견고하게 해야 한다. 쓴 것으로 보해주고, 짠 것으로 사해주어야 한다.

 

12. 五味(오미)에 알맞은 음식

- 단 것은 멥쌀, 쇠고기, 대추, 아욱 등이다.

- 신 것은 소두, 개고기, 오얏, 부추 등이다.

- 쓴 것은 보리, 양고기, 살구, 염교 등이다.

- 짠 것은 대두, 돼지고기, 밤, 콩잎 등이다.

- 매운 것은 누런 기장, 닭고기, 복숭아, 파 등이다.

 

13. 병에 따라 금해야 할 음식

- 氣病(기병)에는 매운 음식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 血(혈)病(병)에는 짠 음식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 骨病(골병)에는 쓴 음식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 肉(육)病(병)에는 단 음식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 䈥(근)病(병)에는 신 음식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14. 음식에 따라 피해야 할 삼음삼양의 기

- 用寒遠寒

- 用熱遠熱

- 用溫遠溫

- 用凉遠凉

 

15. 사천 재천의 기에 따라 생기는 병과 치료하는 음식

甲子 甲午歲 上少陰火, 中太宮土運, 下陽明金. 熱化二, 雨化五, 燥化四, 所謂正化日也. 其化上鹹寒, 中苦熱, 下酸熱, 所謂藥食宜也.

해설: 갑자년 갑오년에는 상반기는 소음의 화가 있고 중반기는 태궁 토운이고 하반기는 양명의 금이 있다. 상반기의 음력 2일은 열기가 뭉치는 날이고 중반기의 5일은 우기가 뭉치고. 하반기의 4일은 조기가 뭉치는데 바르게 뭉치기 때문에 큰 변고는 없다. 상반기에 생긴 열기로 생긴 병은 짜고 차가운 음식으로 치유하고 중반기의 우기로 생긴 병은 쓰고 뜨거운 음식으로 치유하고 하반기에 건조한 기운으로 생긴 병은 시고 뜨거운 음식으로 치유한다. 음식과 약이 모두 그러하다.

(아래 또한 모두 같은 원리로 해석 하면 됨)

 

음식 음양오행.hwp
0.0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