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오수혈(五輸穴)과 오행혈(五行穴) 사용법
1. 오유혈 배혈법
오수혈(五輸穴)이란 십이경맥에서 각 경의 수족(手足) 말단에서 주관절(
고대인(古代人)은 경맥(經脈)중의 기혈(氣血)의 운행상황을 자연계(自然界)의 유수(流水)의 상황에 비유하여 이러한 명칭을 붙인 것이다.
경기(經氣)가 경맥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작은 경기에서 큰 경기에,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정(正), 형(滎), 수(輸), 경(經), 합(合)의 통과부위에 따라 변화하고, 그 작용도 구별되는 것을 이것들의 명칭으로 표현한 것이다.
오유혈(五兪穴)과 오행혈(五行穴)표 | ||||||
오유혈 |
정 (井) |
형(滎) |
수(輸) |
경(經) |
합(合) | |
오행혈 |
木혈 |
火혈 |
土혈 |
金혈 |
水혈 | |
수삼음 |
수태음 폐경 |
소상(少商) |
어제(魚際) |
태연(太淵) |
경거(經渠) |
척택(尺澤) |
수궐음 심포경 |
중충(中衡) |
노궁(勞宮) |
태릉(太陵) |
간사(間使) |
곡택(曲澤) | |
수소음 심경 |
소충(小衡) |
소부(少府) |
신문(神門) |
영도(靈道) |
소해(少海) | |
족삼음 |
족태음 비경 |
은백(隱白) |
대도(大都) |
태백(太白) |
상구(上丘) |
음릉천(陰陵泉) |
족궐음 간경 |
태돈(太敦) |
행간(行間) |
태충(太衝) |
중봉(中封) |
곡천(曲泉) | |
족소음 신경 |
용천(勇泉) |
연곡(然谷) |
태계(太谿) |
복류(復留) |
음곡(陰谷) | |
오행혈 |
金혈 |
水혈 |
木혈 |
火혈 |
土혈 | |
수삼양 |
수양명 대장경 |
상양(商陽) |
이간(二間) |
삼간(三間) |
양계(陽谿) |
곡지(曲池) |
수소양 삼초경 |
관충(關衡) |
액문(液門) |
중저(中渚) |
지구(支溝) |
천정(天井) | |
수태양 소장경 |
소택(小澤) |
전곡(前谷) |
후계(後谿) |
양곡(陽谷) |
소해(小海) | |
족삼양 |
족양명 위경 |
여태(여兌) |
내정(內庭) |
함곡(陷谷) |
해계(解谿) |
족삼리(足三里) |
족소양 담경 |
규음(竅陰) |
협계(俠谿) |
임읍(臨立) |
양보(陽輔) |
양릉천(陽陵泉) | |
족태양 방광경 |
지음(至陰) |
통곡(通谷) |
속골(束骨) |
곤륜(崑崙) |
위중(委中) |
2.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의 설명
○ 12경맥의 사지의 슬관절과 주관절 이하에 정(正), 형(滎), 수(輸), 경(經), 합(合)의 5개의 특정한 경혈이 있는데 오유혈이라고 말한다.
경맥의 유주와 관계없이 사지의 말단으로부터 주·슬방향으로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 모든 맥기는 小로부터 大한 곳으로, 얕은 곳으로부터 깊은 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맥기의 흐름을 표시하고 있다. 이 흐름은 물의 흐름에 비유한 것이다.
○ 인체의 경기(經氣)는 상하의 유주방향이 있으나, 인체의 맥기는 유주와 관계없이 손끝, 발끝에서 먼저 발생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되어져 있다.
○ 이 혈들을 오수혈이라고 하는 것으로, 소위 처음 발생하는 곳이 정혈이고, 머무는 곳이 형혈이고, 물을 대서 붓는 곳이 수혈이고, 물이 행하는 곳이 경혈이고, 대해로 들어가는 곳이 합혈이라고 하였다.(옛사람들은 경락을 흐르는 물에 비교하였다.)
① 정혈(井穴)
○정혈(井穴) - "나오는 곳을 정(井)이라 한다."
○ [靈樞:九鍼十二原]에 있는 바와 같이 정혈은 경기가 나오는 곳이며, 수류(水流)의 수원(水原)이며 천수(泉水)가 용출(湧出)하는 혈에 비유된다.
○ 정혈은 지하수가 용출하는 것을 비유한 것으로 맥기가 맨 처음 솟아 나온다는 뜻이다.
○ 정혈 또는 십이경의 근혈(根穴)이며, 모두 수족의 조갑측(爪甲側)이나 지단(指端)에 위치해 있다.
○ 정혈의 모두가 손끝, 발끝에 있으나 오직 용천혈만은 발바닥에 있다.
○정혈은 심장 밑의 비만하고 그득한 것(간(肝)의 사기)을 주관하며,
○급성열성질환(急性熱性疾患), 정신질환(精神疾患)등을 응용할 수 있다.
○정혈은 일반적으로 心下가 그득한 것과 心下가 답답한 것을 다스린다.
○ 정혈은 만물이 소생하는 동방목(東方木)의 기운이 있기 때문에 갑자기 처치해야 하는 구급질환(救急疾患)에 사용하고 있다.
○ 정혈은 모든 급성병일 때 모두 출혈시켜서 치료한다.
○ 봄철에는 정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간(肝)에 있기 때문이다.
○ 춘절(春節)에 발생하는 질병은 주로 정혈(井穴)을 중심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한다.
② 형혈(滎穴)
○형혈(滎穴) - "유(留)하는 곳을 형(滎)이라고 한다."
○ 유(留)한다는 것은 원활하게 이행하거나 유동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흡사 원천(源泉)에서 용출(湧出)한 물이 매우 작은 수류(水流)가 되어 흘러가는 것처럼, 이 혈의 부위는 맥기(脈氣)가 유출(流出)하여, 정혈(井穴)보다는 맥기가 약간 큰 것을 표시한다.
○ 형혈은 물이 번성해서 천천히 흐르는 상태를 비유한 것으로 경맥의 기가 번성해지는 것을 말한다.
○ 형혈의 위치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근방에 있다.
○형혈은 몸에 열이 나는 것(심(心) 사기)을 주관하며
○ 형혈은 일반적으로신열(身熱)과 심(心), 화병(火病), 발열(發熱)을 다스린다고 한다.
○ 형혈은 정혈이 경병이나 급성병을 다스리는데 비하여 조금 발전된 것을 다스린다.
○ 여름에는 형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심(心)에 있기 때문이다.
○ 하절(夏節)에 발생하는 질병은 주로 형혈(滎穴)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③ 수혈(輸穴)
○수혈(輸穴) - "주(注)하는 곳을 수(輸)라고한다."
○ 수혈(輸穴)은 경기가 관주(灌注)하는 부위를 표시한다. 흡사 수류(水流)가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유입하는 것 같이 수혈로 향하여 맥기(脈氣)는 깊이 관주(灌注)하며, 경맥(經脈)중의 맥기는 점차적으로 강성해진다.
○ 수혈은 수류가 관주하여 통행하는 곳으로 맥기가 머물고 적셔 주는 역할을 한다.
○ 수혈의 위치는 수관절(手關節)이나 족관절(足關節) 부근에 있다.
○ 수혈은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아픈 것(비(脾)의 사기)을 주관하고,
○주관절동통( 關節冬痛), 슬관절동통(膝關節冬痛)에 사용하고 있다.
○ 수혈은 일반적으로체중절통(體重節痛)과 비습병을 다스리며 풍습비통(風濕痺通)을 다스린다.
○ 늦은 여름에는 유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비(脾)에 있기 때문이다.
○ 장하(長夏)에 발생하는 질병은 주로 수혈(輸穴)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④ 경혈(經穴)
○경혈(經穴) - "통행(通行)하는 곳을 경(經)이라 한다."
○ 경혈은 경기가 통과(通過)하는 부위를 표시한다. 그것은 흡사 물이 원활하게 유랑(流浪)하는 물줄기와 같다.
○ 경혈은 물이 길게 통행하는 곳으로 경맥에서는 맥기가 길게 유주하는 곳을 말한다.
○ 경혈은 수관절(手關節)이나 족관절(足關節)의 손목과 발목 부근에 위치한다.
○ 경혈은 숨이 차며 기침이 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폐(肺)의 사기)을 주관하며,
○인후두 질환(咽喉頭疾患), 해수(咳嗽), 천식(喘息)에 사용하고 있다.
○ 경혈은 일반적으로한열, 인후부 병증을 다스린다.
○ 가을에는 경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폐(肺)에 있기 때문이다.
○ 추절(秋節)에 발생하는 질병은 주로 경혈(經穴)을 치료한다고 한다.
⑤ 합혈(合穴)
○합혈(合穴) - "합입(合入)하는 곳을 합(合)이라고 한다."
○ 합혈은 경기가 최종적으로 합류(合流)하여 깊이 안으로 유입하는 부위를 표시한다. 그것은 수류(水流)가 강하(江河)로 되어 최후(最後)에는 해중(海中)에 유입(流入)함과 같다. 합(合)이란 합류(合流)한다는 의미이며 맥기(脈氣)가 깊은 부위에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 합혈은 물이 흘러와 대해에 합하는 형상을 말한다. 즉, 맥기가 합혈에서 장부로 합하는 곳을 말한다.
○ 합혈의 위치는 주관절과 슬관절의 부위에 있다.
○ 합혈은기가 거슬러 오르고 설사하는 것(신(腎)의 사기)을 주관하며,
○만성병(慢性病)(특히 소화기질환(消化器疾患), 부통(腑痛))에 사용하고 있다.
○ 합혈의 작용은역기된 것을 인하시켜 주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
○ 합혈은만성적인 질병과 상기된 것에 이용을 한다.
○ 겨울에는 합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신(腎)에 있기 때문이다.
○ 동절(冬節)에 발생하는 질병은 주로 합혈(合穴)을 치료해야 한다고 한다.
임상 중 정혈(井穴)을 이용하여 의식장해(意識障害)며 인사불성(人事不省), 쇼크 등을 치료(治療)하며, 형혈(滎穴)로는 열성질환(熱性疾患), 수혈(輸穴)로는 관절통(關節痛), 경혈(經穴)로는 인후부(咽喉部)의 종맥(腫脈), 동통(疼痛), 합혈(合穴)로는 위장(胃腸)의 질환이며 통증(痛症)을 각기 치료(治療)하는 일이 가끔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脾) 병일 때: 복부가 팽만하고 소화되지 않으며 몸이 무겁고 관절통이 있으며 권태감이 심하고 맥이 부완하다.
○ 가슴이 그득하면 정혈(井穴) 인 은백혈을 취하고,
○ 열이 있으면 형혈(滎穴)인 대도혈을 취하며,
○ 몸이 무겁고 관절통이 있으면 수혈(輸穴)인 태백혈을 취하고,
○ 기침 나고 한열이 있으면 경혈(經穴)인 상구혈을 취하며,
○ 역기 있고 설사 나면 합혈(合穴)인 음릉천혈을 취한다.
위병일 때: 안색이 누렇고 트림을 하며 중완 부위가 아프고 맥이 부완하다.
○ 가슴이 그득하면 정혈(井穴) 인 여태혈을 취하고,
○ 열이 있으면 형혈(滎穴)인 내정을 취하며,
○ 몸이 무겁고 관절이 아프면 수혈(輸穴)인 합곡혈을 취하고,
○ 기침 있고 한열이 나면 경혈(經穴)인 해계혈을 취하며,
○ 역기 있고 설사 나면 합혈(合穴)인 삼리혈을 취한다. 다른 경도 이와 같이 적용한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법 교본 8. 정격과 승격 (0) | 2012.10.22 |
---|---|
침법 교본 7. 오행침 배혈법 및 보사법 (0) | 2012.10.22 |
침법 교본 5. 요혈의 개념 (0) | 2012.10.22 |
침법 교본 4. 경혈의 작용, 잡는 법 (0) | 2012.10.22 |
침법 교본 3. 경락과 경혈의 명명 (0) | 201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