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약합편에 이용된 한약물
서론(緖論)
{방약합편(方藥合編)}은 조선시대 고종 21년(서기 1884년) 황도연(黃
道淵)의 저술로서 그 아들 황필수(黃泌秀)가 선친의 유지(遺志)를 받들
어 완성한 것으로 이후 현재까지 한방(韓方) 임상지침서(臨床指針書)로
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서적 중의 하나이다.
그 내용 중 [약성가(藥性歌)]에서는 총 517종의 약물을 설명하였으며
처방편에서는 상토(上統)에 보익補益之?? 130方, 中統에 和解之?? 181
方, 下統에 攻下之?? 163方을 收錄하여 神農本草經의 上․中․下 三品
의 區分과 같게 하였다. 그 活用은 東醫寶鑑의 目次와 同一하게 하여
그 活用을 쉽게 하였는데 各 疾病의 虛實. 輕重. 新久와 患者의 本質强
弱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處方의 대부분 (약 88%)을 東醫寶
鑑에서 引用하였는데 東醫寶鑑이 86種의 醫書를 종합한 것이라면 方藥
合編은 東醫寶鑑을 주로한 6種의 醫書를 종합한 것으로 東醫寶鑑의 縮
少版이라 할 수 있다.
最近들어 韓藥 個別 藥物에 대한 起源. 調査. 藥理作用 究明등이 있어
왔으며 東醫寶鑑에 應用된 全體 藥物에 대한 調査가 실시된 바 있다.
方藥合編에 있어서는 藥性歌의 藥物에 대한 本草學的인 調査와 處方
內容의 目次別 分類등의 접근이 있었으나, 處方編에 利用된 藥物에 대
한 分類 調査는 실시 된 바가 없어 이를 整理하는 것은 理論의 體系化
및 臨床에서의 활용폭을 늘려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著者는 東醫寶鑑의 縮少版이라 할 수 있는 方藥合編의 處方編의
韓藥材를 分類하여 調査 報告하는 바이다.
Ⅱ. 본론(本論)
一. 調査方法
1. 本 論文에서는 新訂 大 方藥合編을 使用하였으며 上統 130方․ 中
統 181方․ 下統 163方 중의 藥物을 발췌하여
2. 各種 文獻에 나타난 學名과 異名을 中心으로 하여 重複을 피하여
植物․動物․鑛物 其他 (土․人 部等)로 分類하여 再整理하였다.
3. 이를 다시 效能別(植物․動物․鑛物) 科別(植物․動物) 藥用部位別
(植物․動物) 全體 應用 藥物 頻度,上․ 中․ 下統別 應用藥物 頻度로
分類하였다.
二. 方藥合編에 收錄된 藥物
方藥合編에 利用된 全 藥物을 分類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植物․ 動物․ 鑛物類 韓藥을 效能別로 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表 6.效能別 分類 (動物․ 植物․ 鑛物)
해표약 갈근, 계피, 고본, 마황, 만형자, 박하, 방풍, 상엽, 생강, 세신, 승마
시상, 시호, 우방자, 자소엽, 창이자, 상산, 촉? , 총백, 향수, 두고
선세 사하약 감수, 견우자, 대황, 마자, 상륙, 욱이인, 파두, 곤마자
박초 청열약 국화, 감초, 결명자, 곤포, 괴화, 금은화, 인동등, 청대,차,
목단피, 목적, 백렴, 산두근, 석곡, 연교, 용담, 인진, 자초, ?극?,지모
토복령, 하고초, 해금사, 해대, 해조, ? 자, 현삼, 호황연, 황금,황연
황백,원청, 천산갑,경분, 노감석, 담반, 백반, 붕사, 석고, 웅황, 한수석,
골석, 방향화,곽향, 창출,습약, 이수삼, 구맥, 대극, 대복피, 동규자,
등심초, 목통, 방기, 백아근, 편두, 백복
습약 적복령, 복령피, 연엽, 의이인, 저령, 적소두, 초전자, 택사, 통초 편축
거풍습약 강활, 독활, 목과, 백부자, 백선피, 백지, 상기생,
오가피, 우슬, 위령선, 진범, 해동피,백화사,호골, 온리약,계피, 고양강,
부자, 애엽, 오수유, 정향, 정향피, 촉초, 필발, 호초, 회향
개규약 소합향, 안식향, 용뇌향
사향
안신약 백복신, 산조, 석창포, 소맥, 용면육, 원지, 이자, 죽엽, 죽력, 백자인
금박, 은박, 자석, 자석영, 주사, 황단, 평간식,백질려, 천남성, 천마
풍약 영양각, 석결명, 서각, 우황, 태담, 전갈, 진주, 백강잠
대자석, 호박
이기약 약연자, 교피, 교해, 청피, 빈랑, 목향, 백단향, 백두구, 백시체,오약
울금, 지실, 침향, 향부자, 연호색
오령지
청몽석
이혈약 강황, 단삼, 도인, 몰약, 개봉, 아출,삼릉, 소목, 생지황, 유향,익모초
자단, 작약, 지유,천궁, 홍화
아교진, 백초상
소도약 나구자, 대맥아, 사인, 산사, 신곡, 초과, 초두구, 후박
계내금
화담지 천화분, 괄루인, 관동화, 길경, 오매, 반하, 개자, 백합, 사간, 사과
해약 사삼, 유당, 상근피, 은행, 자소자, 자완, 정역자, 죽여, 패모, 행인
호동루, 해분,석종유
보허약 검실, 갱미, 진고미, 구자, 구기자, 지골피, 금앵자, 당귀, 대조, 두충
맥문동, 백출, 보골지, 산수유, 산약, 선화, 속단, 건지황, 숙지황
육종용, 이당, 익지인, 인삼, 천문동, 토사자, 파극천, 하수오, 호도
황기,양육, 양신, 구갑, 녹각교, 녹용, 녹각상, 별갑, 봉밀, 상표초,
자하차, 저제, 토육, 양기석
수렴약 사자, 사자피, 오미자, 육두구, 이, 포황
계장, 모려
용골, 적석지
기타약 약연근피, 노회, ? 자, 사군자, 식?
2. 植物․ 動物類 韓藥을 科別로 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표 7. 科別 分類 (植物․ 動物)
1) 植物類
科名 韓 藥 名
국과 국화, 관동화, 목향, 백출,애, 우방 , 인진, 자수, 창이, 창출, 홍화
두과 갈근, 감초, 결명자, 괴실, ?두, 보골지, 산두근, 소목, 자단, 적소두
?래, 해동피, 황복
?? 과 금앵자, 도, 목과, 산사, 욱이, 이, 지유, 촉? , 행
백합과 ?자, 노회, 맥문동, 백합, 지모, 천문동, 총백, 토복령, 패모
? 형과 강활, 고본, 당귀, 독활, 방풍, 백지, 시호, 전호, 천궁, 회향
강과 강황, 고양강, 백두관, 봉아출, 사인, 생강, 울금, 익지인,?(?) 초두관
? 형과 곽향, 단삼, 박하, 익모초, 자소, 하행초, 향수, 형개, 황령
운향과 ?피, 백선피, 오수유, 지실, 촉초, 황백
모? 과 목단피, 백부자, 부자, 승마, 위령선, 작약, 황연
오가과 독활, 오가피, 인삼, 통초, 해속피
科名 韓 藥 名 科名 韓
藥 名
화본과 갱미, 소맥, 의이, 죽 감람과 몰약, 유향
?과 대황, 편축, 하수오 마편초과 만형자
십자화과 나복, 개자, 정력자 선화과 견우자,선화, ? 사자
호노과 괄루, 사과 택사과 택사
금양과 동규자 시과 백시
현삼과 지황, 현삼, 호황연 상륙과 상류
? 초과 ?자, 파극천 은행과 은행
? 과 계관화, 우슬 ?조과 해조
대엽조과 해대 등심초과 등심초
대통과 대통 산수유과 산수유
원지과 원지 상기생과 상기생
도금양과 정향 정향과 포황
상과 마상 방기과 방기
?? 과 대복 자초과 자초
각두과 율 산차과 차
금? 매과 소합향 속단과 속단
양유과 유, 호동루 대 과 감수,대, 곤마자
장과 계오약 난과 석해,천마, 패모
마 ?령과 목통, 세신 호초과 필발,필등가, 호초
사초과 삼릉, 향부자 길경과 길경,사삼
두충과 두충 ?? 과 백렴
해대과 곤포 다공? 과 복령,저령
목란과 오미자, 후박 주목과 비자
? 과 고연자 가과 구기
?율과 연호색 천남성과 ?, 석창포, 천남성
용담과 용담, 진범 서리과 대조,산조인
인동과 금은화 무환자과 려, 용안
마황과 마황 천향과 침향
척미과 사간 수련과 검실연
?예과 산약 목서과 연교
열당과 육종용 석중과 구맥
차전초과 차전 사군자과 ? 자, 사군자
호도과 호도 목적과 목적
안식향과 안식향 흑삼릉과 삼릉
단향과 백단향 백과 측백
육두관과 육두관
용뇌향과 용뇌향
해금사과 해금사
질려과 백질려
2. 動 物 類
科名 韓 藥 名 科名 韓
藥 名
? 과 계 웅과
웅
구과 구 이어 이어
녹과 록, 사 원청과 원청
모려과 모려 저과 저
? 사과 백화사 ?갈과 금갈
별과 별 진주패과 진주
밀봉과 밀봉 ? 이과 산갑
호봉과 호봉 토과 토
? 과 복어 해토과 해토
선과 선세 묘과 호
잠아과 잠마과 마려
우과 양,영양,우?? 과 오령지
3. 植物․ 動物類 韓藥을 藥用部位別로 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表 8. 藥用 部位別 分類 (植物․ 動物)
1) 植物類
근 갈근, 감초, 감수, 강황, 강활, 고양강, 고본, 천화분, 길경, 단삼, 당귀
(근경) 대극, 대황, 독활, 맥문동, 목과, 목통, 목향, 방기, 방풍, 반하, 백첨
백부자, 백지, 백출, 봉화출, 부자, 비해, 사간, 사삼, 산두근,산약
삼릉, 상륙, 생강, 석창포, 속단, 지황, 승마, 시호, 오약, 우슬, 원지
위령선, 인삼, 자완, 자초, 작약, 전호, 지모, 지유, 진범, 창출, 천궁
천남성, 천마, 천문동, 택사, 토복령, 통초, 파극, 하수오, 향부자, 현삼
연호색, 황금, 호황연, 황기, 황연
과실 가자, 천련자, 구기자, 금앵자, 대조, 동규자, 만형자, 오매, 목과,백두구
백질려,사군자,사인,산사, 산수유, 연교, 오미자, 오수유, 용안, 우방자
리, 익지인, 지실, 지각, 창이자, 초과, 총백, 치자, 필발, 필징가, 형개
호초, 황금, 회양, 종자,감실, 경미, 견우자, 결명자, 청장자, 과루인, 구자,
귤핵, 나복자, 빈랑,대조, 도인, 마자, 목통, 방풍, 개자, 편두, 보골지,
곤마자, 산조인,소맥
연자육, 욱이인, 육두구, 은행, 의이인, 리, 소자, 적소두, 정력자,차전자
초두구, 토사자, 통초, 파두,행인, 호도,홍화
엽 상엽, 애엽, 하엽, 익모초, 소엽, 죽엽
전초 곤포, 곽향, 구맥, 목적, 박하, 세신, 하고초, 해대, 해조, 형개
피 가자피, 계피, 고련근피, 지골피, 귤피, 대복피, 두충, 목단피,백선피,
상백피, 오가피, 죽여, 황백, 후박
화 국화, 관동화, 괴화, 금은화, 선화, 정향, 홍화
지경 계지, 인동, 징심초, 마황, 목통, 상기생, 석곡, 익모초, 통초
즙 노회, 리, 이당, 천죽황, 죽력
수지 몰약, 소합향, 용뇌향, 유향, 호동루
린경 백합, 총백, 패모
심재 백단향, 소목, 자단, 심향
기타 복령, 사과, 신곡,두시, 앵속각, 육종용, 저령, 청대,맥아,백시체,백시상
정향피, 조맥극자, 포황, 해금사, 대두황권육 양, 이어, 토
전체 백화사, 원청, 잠, 전갈분,오령지, 각구,모려, 별, 복어, 천산갑, 선퇴,
진주담웅
각 영양,록,서
장 계배지이 계황피
신 해구신
담결석 우
골 호
교 마로
밀당 봉밀
향낭 사
난초 상표초, 해분
제 저
4. 方藥合編에 處方編에 應用된 韓藥을 頻度數로 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表 9. 處方에 應用된 藥物
應用頻度數 韓 藥 名
200回 이상 감초
150 - 199回 당귀
100 - 149회 백출, 인삼, 진피, 천궁
50 - 99회 반하, 방풍, 백복령, 백작약, 숙지황, 육계
적복령, 창출
황령, 후박
40 - 49회 강활, 건강, 길경, 목향, 승마, 자호, 지각,
향부자, 황기
30 - 39회 맥문동, 백지, 부자, 생지황, 소엽, 적작엽,
치자, 택사 황연
20 - 29회 마황, 목통, 빈랑, 사인, 신곡, 산약, 세신,
오미자, 오약지실, 청피, 행인, 형개, 황백
10 - 19회 갈근, 건지황, 괄루인, 향, 피, 남성,
대복피, 대황
두충, 만형자, 맥아, 목단피, 박하, 백복신,
산사, 산수유,생강, 상백피, 연교, 오수유,
우 , 원지, 익지인, 저령, 지모, 지골피,
초과, 침향, 패모, 홍화, 사향, 서각, 주사
6 - 9회 계피, 계지, 고본, 구기자, 귤홍, 도인, 등심
초,목과,방기
백두구, 봉아출, 백편두,백강장,산조두,삼릉,
상륙,석창포, 연육, 위령선, 유향, 육두구,
육종용, 의이인, 아교주,오매
용뇌, 정향, 조각자, 차전자, 천마, 천문동,
초두구, 촉초, 축사, 사자, 파고지, 파두,
현호색, 회향, 녹용, 오령지
우황, 금박, 박초, 석호, 석웅황, 활석
5회 가자, 국화, 대조, 몰약, 소자, 죽여, 진범,
천화분,하고초,향수
4회 구맥,금은화,고백반,나복자,마아초,백개자,
백부자,앵속각, 포황, 하수오, 현삼, 전갈
3회 감실, 괴화, 마자인,백자인,석두,선화, 소목,
애엽,우방자,인진호, 우담남성,지유,천오,
청대, 초룡담, 영양각,천산갑,자석, 청몽석
2회 강황, 갱미, 관동화, 날계, 박초,목적,백단향,
백질려,백합, 비해, 백밀, 사군자, 상산,생율,
속단, 은행, 자단,자원, 자초용, 정력자, 죽엽,
천연자,천죽황, 초결명, 파극천,편축, 편뇌,
필발, 해동피, 호도, 호초, 흑두, 흑축,구각상,
선퇴, 양신, 경분, 붕사,용골,진사,한수석
1회 가자피, 감수, 고련금피, 곤포,귤핵, 금앵자,
노회, 단삼,도지, 대극, 대복자, 대두황권,
동규자,두시, 백련, 백선피,백축, 백초상,
보골지, 복령피, 비마인, 사단,사과, 사당
산두근, 상기생, 생강피, 생귀, 생구채, 생리,
생무근,생우, 생하엽, 서점자, 새비육, 소맥,
사삼,소합유,소회향, 시상,시체, 안식향,양강,
여지핵, 오가피, 욱이인, 울금, 원청,유지,
익모초,인동, 적두, 적소두, 적전, 점두등,
정향피,조각인, 종유분, 죽력, 진창미, 창이자,
총백, 추맥, 춘다,청상자, 토복령, 통초,필진가,
한식면, 해금사, 해대,해조, 호동루, 호황연,
황과루, 황미,황상엽,황송절,계내금,계장,
녹각교, 모려, 백화사,열갑,상표초,석결명,양육
,웅담,이어,자하거, 저제, 진주, 호골, 해분,
해삼, 해표초, 노감석,담반, 대자석, 식염,
양기석, 은박, 자서경, 적석지
방약합편에 이용된 한약물
方藥合編 上․ 中․ 下統別 應用 藥物을 頻度數로
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 상통 | 중통 | 하통
---------+------------------------+------------------------+-----------------------
80-120회 | | 감초 | 감초88
70-80회 | 감초,인삼 | |
---------+------------------------+------------------------+-----------------------
50-69회 | 당귀,백출 | 인삼,귤피 |
---------+------------------------+------------------------+-----------------------
30-49회 | 숙지황,귤피,계,백작약, | 천궁,백작약,백출,시호 | 귤피,당귀,적복령,황금,
| 황기 | | 창출
---------+------------------------+------------------------+-----------------------
20-29회 | 부자,천궁 | 승마,강활,길경,방풍,백 | 백출,목향,방풍,치자,향
| | 지,적복령,계,자소,창출 | 부자,황연,적작약,택사
| | ,후박 |
---------+------------------------+------------------------+-----------------------
10-19회 | 맥문동,목향,승마,원지, | 대복(종자),곽향,귤(미 | 박하,산수유,승마,귤(미
| 우슬,산약,오미자,택사, | 성숙과실),독활,목향,세 | 성숙과실),목통,강활,계
| 향부자 | 신,맥문동,마황,적작약, | ,길경,사인,소맥국,천남
| | 행,생지황,향부자,형개, | 성,형개,주사,백작약,저
| | 황기,황연 | 령,생지황,지실
---------+------------------------+------------------------+-----------------------
7-9회 | 구기,목단피,방풍,보골 | 대복피,만형,박하,복신, | 대맥,목단피,백지,백복
| 지,복신,오수유,황백,녹 | 부자,사인상,생강,전호, | 령,봉아출,산사,삼릉,시
| 용 | 숙지황,초과,황백 | 호,연교,용뇌향,인삼,자
| | | 소,차전자,행,황백
---------+------------------------+------------------------+-----------------------
4-6회 | 길경,독활,산조인,생강, | 계지,고본,과루근,과루 | 곽향,과루종자,구기피,
| 세신,소맥국,시호,용안, | 종자,대복종자,매,목과, | 구맥,대복피,도,독활,맥
| 의이인,생지황,건지황, | 목통,오미자,오수유,오 | 문동,목과,몰약,방기,마
| 토사자,편두,황금,후박 | 약,익지인,죽여,지모,지 | 황,상,세신,위령선,육종
| | 실,천남성,천마,천문동, | 용,의이인,익지인,전호,
| | 초두구,치자,택사,패모, | 조각인,지모,숙지황,천
| | 편두,향유,홍화,사향,서 | 마,침향,파두,패모,현호
| | 각,주사 | 색,홍화,사향,서각,백강
| | | 잠,오령지,우황,전갈,박
| | | 초,석고,웅황,활석
---------+------------------------+------------------------+-----------------------
1-3회 | 가자,감실,개자,강활,갱 | 가자,가자피,개자,강황, | 가자,갈근,개자,강황,견
| 미,계지,고량강,곽향,과 | 견우자,갱미,고련자,관 | 우자,계지,계관화,결명
| 루근,과루종자,구기피, | 동화,구기,구기피,금은 | 자,고련자,고련근피,고
| 귤(미성숙과실),금앵자, | 화,금은화(등),나복,남 | 본,곤포,관동화,괴실,구
| 금은화,단삼,대복피,대 | 실,노회,대맥,대조,도, | 자,금은화,나복,남실,다
| 맥,대복종자,도,매,징심 | 목단피,몰약,방기,백단 | ,대극,대조,만형,매,목
| 초,마황,목과,방기,백두 | 향,백두구,백련,국,두묘 | 적,백단향,백두구,백모,
| 구,국,백지,적복령,비해 | ,징심초,마,백부자,백합 | 국,백부자,백선피,백질
| ,사인,산사,상기생,석곡 | ,봉아출,비자,비해,사과 | 여,복신,복령피,부자,비
| ,석창포,속단,백시체,백 | ,사군자,산사,산약,산조 | 마자,비해,사간,사삼,산
| 시상,아편,애자,여,연육 | 인,생율,석창포,선화,소 | 두근,산약,산조인,상륙,
| ,오약,우방,욱이,육두구 | 맥,소목,소맥국,소합향, | 생강,석창포,선화,소맥,
| ,익모초,익지인,자소,자 | 속단,송,아,안식향,연교 | 소목,연육,연육(엽),오
| 초,전호,정향,조각인,죽 | ,연육,용뇌향,우슬,원지 | 가피,오미자,오수유,오
| 엽,죽여,지모,지실,지유 | ,위령선,류,유향,육두구 | 약,용담,우방,우슬,울금
| ,진범,창출,천문동,초과 | ,의이인,은행,생리,인진 | ,유향,육두구,인진호,자
| ,초두구,촉초자,총백,백 | 호,자완,자소엽,자초,저 | 단,자소엽,적소두,정향,
| 자인,치자,침향,파극천, | 령,적소두,정역자,정향, | 정향피,조각자,죽엽,지
| 패모,하수오,행,현삼,현 | 조각인,죽역,천죽황,건 | 유,건지황,진교,창이자,
| 호색,형개,호도,홍화,황 | 지황,진범,차전자,촉호, | 초과,상산,토복령,편두*
| 연,회향,녹각교,각교,녹 | 침향,토사자,통초,파두, | ,편축,포황,필발,하고초
| 각상,구,봉밀,사향,아교 | 포황,필발,필징가,하고 | ,해금사,해대,해동피,해
| ,양신,양육,우황,리어, | 초,하수오,현삼,현호색, | 조,향유,현삼,호동루,호
| 금박,용골,자석,주사 | 호도,호황연,회향,계내 | 초,황기,회향,계내금,백
| | 금,모려,별,상초,선퇴, | 화사,복어,아교,영양,완
| | 백강잠,아교,영양,오령 | 청,웅,해분,호,경분,금
| | 지,저,진주,천산갑,사향 | 박,노감석,담반,자석,자
| | ,서각,금박,대자석,석고 | 석영,종유석,청몽석,한
| | ,식염,용골,웅황,은박, | 수석,호박
| | 적석지,호박,활석,황단 |
Ⅲ.결론
{방약합편} 처방편에 이용된 한약물을 조사하여 본 내용은 다음과같다.
1. {방약합편} 처방편에 수록된 한약은 총 256종으로 식물 202종, 동물
28종, 광물 24종, 기타 2종(토[土],인[人])이었다.
2. 약물의 이용부위 및 방법등에 따른 종수의 증가로 식물 233류, 동물
32류, 광물 27류, 토류(土類) 1,인부(人部) 1로 총 294류 이었다.
3. 약물을 효능별로 분류하면 보허약(補虛藥) 42종, 청열약(淸熱藥) 41
종, 화담지해약(화담지해약) 23종, 해표약(해표약) 22종, 이수삼습약(리
수삼습약) 21종, 이혈약(리혈약) 18종, 이기약(리기약) 17종, 안신약(안
신약) 16종, 거풍습약(거풍습약) 14종, 평간식풍약(평간식풍약) 13종, 온
리약(온리약) 11종, 수렴약(수렴약) 10종, 소도약(소도약) 사하약(사하
약) 각 9종, 개규약(개규약) 4종, 방향화습약(방향화습약) 2종, 기타 6종
으로 나타났다.
4. 식물류는 84과, 동물류는 24과로 분류되었다.
5. 약물을 약용 부위별로 분류하면, 식물류는 근(근) 및 근경(근경) 70
종, 종자 38종, 과실 34종, 피(피) 14종, 전초(전초) 10종, 지(지) 및 경
(경) 9종, 화(화) 7종, 엽(엽) 6종, 즙(즙) 및 수지(수지) 각 5종, 심재
(심재) 4종, 인경(린경) 3종, 기타 16종이며, 동물류는 각(각) 7종, 전체
(전체) 4종, 육(육) 3종, 각(각) 3종, 난초(란초) 2종, 분(분) 골(골) 담
(담) 신(신) 장(장) 비경리황피(비경리황피) 담결석(담결석) 교(교) 밀당
(밀당) 향낭(향낭) 제(제) 각각 1종이었다.
6. 약물응용 빈도수 에서는 현재 임상응용면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며,
상 중 하통별 빈도수 역시 필요에 따라서 일치됨을 알 수 있었으나,
새롭게 조명되어야할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여러면에서 고찰하여 보았지만, 약물 내용물이 많고, 그 당
시까지의 각종 본초서적에서 응용된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설명이 현재
의 시각에서 볼 때 재 조정 되어야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는 개별 약물에 대한 약효 약리 및 기원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백운하(백운하;1972),한국동식물도감 제13권,문교부
2.강효신(강효신;1972),동양의학개론,고문사
3.황도연(황도연;1977),대방약합편,행림출판사
4.이창복(이창복;1979),대한식물도감,향문사
5.이창언(이창언;1979),한국동식물도감 제23권,문교부
6.현병구(현병구;1980),자원총람,자원개발연구소
7.원병조(원병조;1981),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문교부
8.김창환(김창환) 외 2인(1982),한국동식물도감 제26권,문교부
9.이상인(이상인) 외 2인(1982),한약임상응용,성보사
10.육창수(육창수) 외 5인(1982),한약의 약리분석 임상응용,계축문화사
11.신유항(신유항) 외 2인(1983),한국동식물도감 제27권,문교부
12.김재길(김재길;1984),천연약물대사전,남산당
13.박희신(박희신;1987),관상조류총감,오성출판사
14.고경식 김윤식(고경식 김윤식;1989),원색한국식물도감,아카데미서적
15.신민교(신민교;1989),원색임상본초학,영림출판사
16.우한정 윤무부(우한정 윤무부;1989),원색한국조류도감,아카데미서적
17.육창수(육창수;1989),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아카데미서적
18.윤국병 장준근(윤국병 장준근;1989),몸에 좋은 산야초(산야초),석오출판사
19.조무연(조무연;1989),원색한국수림도감(원색한국수림도감),아카데미서적
20.정보섭 신민교(정보섭 신민교;1990),한국향약(생약)대사전,영림사
21.사관(사관;1921),중국의학대사전,상무인서관
22.장졸부(1970),중국본초학,국립중국의학연구소
23.대신민(1974),중국약재학(상 하),계업서국(계업서국)
24.대신민(1976),중국방약학,계업서국(계업서국)
25.상해중의학원 편(1977),중초약학,상무인서관
26.안혼형(1980),원색상용중약도감,남천서국(남천서국)
27.유 남(1980),중국약물학,정중서국(정중서국)
28.허교목 구년영(1980),원색야생식용식물도감(1,2),남천서국(남천서국)
29.고본 (1981),신편중약대사전,신문풍출판사(신문풍출판사)
30.사명촌(1988),중국약재학,국립편역관
31.서정호(서정호;1986),방약합편 약성가 산초류 43종에 대한 현대 본초
학적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32.윤용갑(윤용갑;1990),방약합편에 수록된 처방의 주치별 계통분류와
인용문헌에 대한 고찰,방제분과 학회지
33.주영승(주영승;1990),동의보감에 수록된 한약물에 대한 연구,대한 한
의학회지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을진인 칠금문 (0) | 2013.01.24 |
---|---|
손사막진인 양생명 (0) | 2013.01.21 |
사암침법 정리 자료 (0) | 2013.01.15 |
금수실증 백설풍(지루성 피부염) (0) | 2013.01.04 |
목토실증 스트렛 홧병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