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 김홍경선생님의 동양의학혁명 총론에 나오는 사명대사 각몽가입니다.
인생천지 차세간(人生天地此世間)이
묘창해지 일속(渺蒼海之一粟)이라.
부유같은 우리 인생
조불모석 세도(朝不謨夕世道)로다.
인간으로 태어남은 세상천지 가운데서
아득한 망망바다 작은좁쌀 같은지라
떠돌아 흘러가는 우리들의 인생살이
아침과 저녁으로 꾀하는 길이로다
야래풍우 정급(夜來風雨正急)되여
화락다소 염려(花落多少念慮)로다.
한단침(邯鄲枕)에 경기(驚起)하니 장생(莊生)인가?
호접(蝴蝶)인가?
비바람 몰아치니 한밤중에 일어나서
많은꽃이 떨어질까 작은생각 잠기도다
헛된꿈을 꾸었다가 놀라서 일어나니
장생인가 나비인가
공왕불 미출세(空王佛未出世)의
삼계대몽(三界大夢)꿈을 깨어
깜짝 놀라 일어나니 추야월(秋夜月)
둥근달이 중천에 밝았더라.
부처님도 오지않은 미지의 세상에서
욕계색계 무색계의 모든세상 제도하는
꿈을꾸다 깨어나니
가을달밤 둥근달이 중천에 밝았더라
월색(月色)은 교교(皎皎)하고
만산(萬山)은 적적(寂寂)한데
무현금(無絃琴) 높이 타니 이 소식 누가 알리.
삼독주(三毒酒)에 대취(大醉)되어
무명장야(無明長夜) 잠이 깊어 꿈을 깊이
꾸노라고 구경할 줄 모르오니 이 아니 불쌍한가.
방편으로 수행하여 내가 먼저 성불(成佛)한 후
중생 제도하여 보세.
달빛은 교교하고 모든산은 고요한데
줄이없는 거문고를 높이타서 전하오니
이소식을 누가알리
탐진치 삼독마음 무명에 크게취해
깊은꿈을 꾸노라고 구경할줄 모르오니
이아니 불상한가
방편으로 수행하여 내가먼저 성불한후
중생제도 하여보세
태고(太古)라 넓은 천지
일간 토굴(一間土窟) 삼어두니
자심성(自心性)의 광명일월(光明日月)
어디다가 비할소냐.
사해수심광(四海水深廣)하여
부증불감(不增不減)하온 것이 그대로
정혜수(定慧水)라.
태고의 넓은천지 한칸토굴 삼었으니
스스로의 마음성품 빛나는해 밝은달을
어디에다 비할소냐
사해바다 깊은물이 넓고도 광대하나
줄어듦도 있지않고 늘어남도 없는것이
선정지혜 물이로다
인아업산(人我業山) 깊은 곳에
수미산이 고묘(高妙)하니
원각도량(圓覺道場) 이 아닌가?
송백(松栢)은 불변(不變)하여
사시장청(四時長靑)하였으니 상주설법(常住說法)
이것일세.
나의업이 깊은곳에 수미산이 묘고하니
원만한 깨달음의 도량이 아니던가
소나무 잣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르고
언제나 상주하여 설법을 하는구나
청산(靑山)은 청청하고
백운(白雲)은 유유(悠悠)한데
적적한 산수간에 올연한 모습으로
허공마(虛空馬)를 빗겨타고
반야혜검(般若慧鈐)을 높이 들어
마군중(魔軍衆)을 항복 받고
법성신(法性身)을 증득하여
주인공(主人公)이 하나되어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소요자재(逍遙自在) 수용(受用)하니、
푸른산은 청정하고 흰구름은 유유한데
적적한 산수에서 무심히 홀로앉아
허공말을 빗겨타고 반야지혜 검을들어
마구니를 항복받고 법성의몸 증득하여
주인공과 하나되어 행주좌와 어묵동정
자유자재 노닐면서 모든것을 수용하니
각수담화(覺樹曇華)만발한데
영상(嶺上)에서 우는 새는
관음조(觀音鳥)이 아니며
잔잔(潺潺)한 청계수(淸溪水)는
조주청다(趙州淸茶)이 아닌가。
깨달음의 나무꽃이 만발하게 피었으니
고갯마루 우는새는 관음새가 이아니며
잔잔한 계곡물은 조주스님 맑은차다
두견(杜鵑)새 울음 소리
종일 무심(終日無心)
종야 무심(終夜無心)
무심객이 되었으니、
심산에 무인도(深山無人到)요
다만 내자오작(來者烏鵲)이라。
두견새 울음소리 종일토록 무심하고
밤새도록 무심하여 무심객이 되었으니
깊은산도 무심하니 까막까치 오고간다
낮에는 해가 오고
밤에는 달이 오니、
비록 적막공산(寂寞空山)이나
주야 벗이 상수(常隨)로다。
유시(有時)에는 염불로써
무공저(無孔笛)를 빗겨 불고
주장자(柱杖子)를 의지하여
타성일편(打成一片) 이루오니
적멸낙(寂滅樂)이 현전(現前)하고、
낮에는 해가오고 밤에는 달이오니
적막한 공산이나 밤낮으로 벗이되어
언제나 따른다네 시간나면 염불로서
구멍없는 피리불고 주장자에 의지하여
한편때려 이루오니 적멸속의 즐거움이
앞에서 나타나네
유시에는 영두암상(嶺頭岩上)
배회(徘徊)하여 관월(觀月)하니
운무심이 출수(雲無心而出岫)하고
수류의이 곡탄(水流意而谷灘)이라。
시간나면 고갯마루 바위위를 노닐면서
달을보며 생각하니
마음없는 흰구름은 바윗굴에 나와있고
뜻이없는 흐르는물 여울돌아 굽이친다
봄이오면 꽃을보고 겨울되면 눈을보니
대장부 살림살이 다시무엇 구하리요。
자수법락(自受法樂) 무위진락(無爲眞樂)
저버린자 누구런고。
생사장야(生死長夜) 잠든 사람
오욕낙(五欲樂)에 침윤(沈淪)하여
무량고(無量苦)를 받지 말고
자타수용(自他受用)하여보세。
봄이오면 꽃을보고 겨울되면 눈을보니
대장부 살림살이 다시무엇 구하리요。
내가받은 즐거운법 위없는 참된진리
저버린자 누구던고 생사에 기나긴밤
오욕락에 잠든사람 무량고를 받지말고
깨달음의 무상진리 너와내가 받아가세
방편(方便)돗대 손에 잡고
생사 바다 넓은 물에
반야용선(般若龍船) 노를 저어
그 바다를 얼른 건너
동왕극락(同往極樂) 하여 보세。
방편돗대 손에잡고 생사바다 넓은물에
반야용선 노를저어 고해바다 얼른건너
너와내가 모두함께 왕생극락 하여보세
사명대사 각몽가 (한글)
인간으로 태어남은 세상천지 가운데서
아득한 망망바다 작은좁쌀 같은지라
떠돌아 흘러가는 우리들의 인생살이
아침과 저녁으로 꾀하는 길이로다
비바람 몰아치니 한밤중에 일어나서
많은꽃이 떨어질까 작은생각 잠기도다
헛된꿈을 꾸었다가 놀라서 일어나니
장생인가 나비인가
부처님도 오지않은 미지의 세상에서
욕계색계 무색계의 모든세상 제도하는
꿈을꾸다 깨어나니
가을달밤 둥근달이 중천에 밝았더라
달빛은 교교하고 모든산은 고요한데
줄이없는 거문고를 높이타서 전하오니
이소식을 누가알리
탐진치 삼독마음 무명에 크게취해
깊은꿈을 꾸노라고 구경할줄 모르오니
이아니 불상한가
방편으로 수행하여 내가먼저 성불한후
중생제도 하여보세
태고의 넓은천지 한칸토굴 삼었으니
스스로의 마음성품 빛나는해 밝은달을
어디에다 비할소냐
사해바다 깊은물이 넓고도 광대하나
줄어듦도 있지않고 늘어남도 없는것이
선정지혜 물이로다
나의업이 깊은곳에 수미산이 묘고하니
원만한 깨달음의 도량이 아니던가
소나무 잣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르고
언제나 상주하여 설법을 하는구나
푸른산은 청정하고 흰구름은 유유한데
적적한 산수에서 무심히 홀로앉아
허공말을 빗겨타고 반야지혜 검을들어
마구니를 항복받고 법성의몸 증득하여
주인공과 하나되어 행주좌와 어묵동정
자유자재 노닐면서 모든것을 수용하니
깨달음의 나무꽃이 만발하게 피었으니
고갯마루 우는새는 관음새가 이아니며
잔잔한 계곡물은 조주스님 맑은차다
두견새 울음소리 종일토록 무심하고
밤새도록 무심하여 무심객이 되었으니
깊은산도 무심하니 까막까치 오고간다
낮에는 해가오고 밤에는 달이오니
적막한 공산이나 밤낮으로 벗이되어
언제나 따른다네 시간나면 염불로서
구멍없는 피리불고 주장자에 의지하여
한편때려 이루오니 적멸속의 즐거움이
앞에서 나타나네
시간나면 고갯마루 바위위를 노닐면서
달을보며 생각하니
마음없는 흰구름은 바윗굴에 나와있고
뜻이없는 흐르는물 여울돌아 굽이친다
봄이오면 꽃을보고 겨울되면 눈을보니
대장부 살림살이 다시무엇 구하리요。
내가받은 즐거운법 위없는 참된진리
저버린자 누구던고 생사에 기나긴밤
오욕락에 잠든사람 무량고를 받지말고
방편돗대 손에잡고 생사바다 넓은물에
반야용선 노를저어 고해바다 얼른건너
너와내가 모두함께 왕생극락 하여보세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채봉시인의 첫 마음 (0) | 2017.04.03 |
---|---|
지눌스님 선수행 지침 어론 (0) | 2016.03.19 |
[스크랩] 주진오 교수 페이스북: 문재인과 안철수 (0) | 2015.12.15 |
나타난 모든 것이 나 자신 (0) | 2015.04.02 |
아침 편지 모음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