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한약약성가 五果

별꽃바람 2010. 6. 18. 07:46

 

===================== 五 果 (六種) ===================

李甘骨節勞熱痾

亦能益氣不可多

 

李는 味甘하다. 骨節사이의 勞熱이 오래 된 것을 다스리며, 能히 氣를 더하기도 하나,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오얏 ①물에 가라앉지 않는 것은 有毒하다. ②꿀이 든 음식을 함께 먹어서는 안 된다.(本草).

 

杏仁苦溫風痰喘

大腸氣閉便可輭

 

杏仁은 味苦 性溫하다. 風氣․痰滯․喘咳를 다스리며, 大腸의 氣閉를 열고, 便을 부드럽게도 한다.

 

살구씨 ①手太陰으로 들어 간다. ②껍질과 끄트머리(尖)를 버리고 麩炒해서 쓴다. ③火를 얻으면 좋다. 黃芩․黃芪․葛根을 惡하고, 狗毒을 없애며, 雙仁인 것은 殺人한다.(本草). ④病者가 熱이 있고 땀이 나면 童便에 三日間 浸했다가 쓴다.(入門). ⑤[열매(實)]는 小毒이 있어, 많이 먹으면 筋肉을 損傷한다. 産婦는 더욱 禁忌해야 한다.(本草).

 

烏梅酸溫收斂肺

止渴生津瀉痢退

 

烏梅는 味辛 性溫하다. 肺를 收斂하며, 止渴生津하고, 瀉痢를 물리친다.

 

매화열매 ①猪肉을 忌한다. ②[잎(葉)]은 休息痢와 霍亂을 다스린다.(本草).

 

桃仁甘寒潤大膓

通經破血癥瘀良

 

桃仁은 味甘 性寒하다. 大腸을 潤滑하게 하며, 通經․破血하고, 癥瘕와 瘀血에도 좋다.

 

복숭아씨 ①手足厥陰으로 들어 간다. ②껍질과 끄트머리를 除去하고, 雙仁인 것은 麵炒해서 쓴다. ③[열매(實)]는 損害는 있어도 이로운 것은 없다. ④[꽃{花)]은 主로 殺蟲하고 水道를 通利한다. ⑤[잎(葉)]은 藥效가 같다. ⑥[膠]는 石淋을 내리고 破血한다. ⑦[桃奴]는 서리를 맞고도 떨어지지 않은 것인데, 主로 破血한다.(本草).

 

栗子鹹溫益氣奇

厚腹補腎亦耐飢

 

栗子는 味鹹 性溫하다. 氣를 增益함이 神奇하며, 腹部를 두텁게 하고, 腎을 補하고, 굶주림을 견디게도 한다.

 

밤 ①마른 밤을 먹으면 補益하고, 날 밤을 먹으면 發氣시키고, 삶은 것을 먹으면 氣를 막으니, 오직 잿불에 묻어 半熟해서 먹어야 한다. 小兒에게도 역시 좋지 않다. 즉, 많이 먹으면 齒牙가 나지 않고, 날 밤은 消化가 힘들고, 익혀 먹으면 滯氣기 생기고, 이따금 먹으면 寄生蟲이 생긴다.

 

②축축한 모래에 묻어 두면 여름까지 가도 처음과 같다.(本草).

 

大棗味甘和百藥

益氣養脾滿休嚼

 

大棗는 味甘하다. 百藥을 調和시키며, 益氣 養脾한다. 그러나 患中脹滿하면 大棗먹는 일은 쉬어야 한다.

 

대추 ①土에 속하나, 火도 있다. 十二經脈을 돕는다. ②오래 먹으면 脾를 損傷하고 濕을 돕는다. 더군다나 小兒는 먹으면 좋지 않다. ③[날대추(生棗)]를 먹으면 여윈다. ④[껍질(皮)]은 北向한 것을 태워 그 재를 달여서 눈을 씻으면, 어둡던 눈이 다시 밝아진다.(本草).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夷果  (0) 2010.06.18
한약약성가 山果  (0) 2010.06.18
한약약성가 芝栭  (0) 2010.06.18
한약약성가 瓜菜  (0) 2010.06.18
한약약성가 柔滑菜  (0) 201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