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한약약성가 山果

별꽃바람 2010. 6. 18. 07:46

 

===================== 山 果 (十七種) ==================

梨味甘酸善解酒

渴嗽煩渴痰亦敺

 

梨는 味甘酸하다. 酒毒을 잘 풀며, 渴症․咳嗽․心煩․熱結․風痰도 敺逐한다.

 

배 ①[잎(葉)]은 主로 霍亂을 다스린다.(本草).

 

木苽味酸脚腫濕

藿亂轉筋膝拘急

 

木苽(木瓜)는 味酸하다. 脚氣․水腫․濕痺․霍亂․轉筋․무릎의 拘急을 다스린다.

 

모과 ①手足太陰으로 들어가 水를 얻으면 바로 肝으로 들어 간다. ②鐵을 忌한다. ③[가지(枝)와 잎(葉)]은 主로 霍亂과 轉筋에 먹는다.(本草).

 

山査味甘磨肉食

療疝健胃膨瘡息

 

山査는 味甘하다. 肉積․食積을 갈아 消化시켜 療疝․健胃하고, 腹膨滿․瘡瘍을 사그러 뜨린다.

 

아가위 ①一名 棠毬子. ②묵은 것이 좋다. ③[核]은 主로 음식을 消化시켜 積滯를 없앤다.(本草).

 

林檎酸溫治霍亂

痰氣渴痢頭痛散

 

林檎은 味酸 性溫하다. 霍亂을 다스리며, 痰飮․氣鬱․消渴․痢疾․頭痛을 없앤다.

 

사과 ①一名 來禽 또는 文林郞. ②多食하면 發熱하고 冷痰이 動한다. ③[뿌리(根)]은 蛔蟲과 白蟲을 죽인다.(本草).

 

柿子氣寒潤心肺

澁膓禁痢渴痰退

 

柿子는 氣寒하다. 心과 肺를 潤澤하게 하며, 膓을 澁(收斂)하고, 泄痢를 멎게 하고, 渴症과 痰飮을 물리친다.

 

감 ①金에 屬하고 土性이 있다. ②[烏柿]는 불에 말린 것인데, 性溫하며, 蟲을 죽이고 嘔逆을 멎게 한다. ③[白柿, 즉 곶감]은 日乾한 것인데, 性冷하다. ④[霜, 즉 겉에 생긴 가루]는 上焦를 맑게 하며, 生津하고, 止渴하고, 咽喉 口舌瘡을 다스린다. ⑤[蒂]는 小蔕(괴욤꼭지,고염꼭지)인데, 咳逆을 멎게 한다.(本草).

 

石榴酸溫痢崩帶

制殺三蟲過損肺

 

石榴는 味酸 性溫하다. 痢疾․崩漏․帶下를 다스리며, 三蟲을 죽이는데, 過用하면 肺를 損傷한다.

 

석류 ①[껍질(皮)과 뿌리(根)]은 效力이 같다. ②鐵을 忌한다.(本草).

 

陳皮甘溫順氣功

和脾留白痰取紅

 

陳皮는 味甘 性溫하다. 順氣하는데 效力이 있으며, 脾를 調和시킴에는 留白하고, 痰에는 取紅한다.(留白이란 귤껍질 안쪽에 붙은 흰 부분을 긁어 버리지 않고 그대로 쓴다는 말이고, 取紅이란 그 흰 부분을 긁어 버리고 붉은 겉부분만을 쓴다는 말이다.)

 

동정귤 ①一名 橘皮. ②手足太陰으로 들어 간다. ③껍질 안쪽의 흰 부분을 긁어 버린 것을 橘紅이라고 한다. ④묵은 것이 좋다. ⑤白朮이 있으면 脾와 胃를 補하고, 白朮이 없으면 脾와 胃를 瀉한다. 甘草가 있으면 肺를 補하고, 甘草가 없으면 肺를 瀉한다.(本草). ⑥下焦病에는 鹽水炒해서 쓰고, 肺가 燥한데는 童便炒해서 쓴다.(入門). ⑦[核]은 疝氣와 腎冷을 다스린다.(本草). ⑧제주에서 橘․靑橘․柚子․柑子 등이 난다.(寶鑑).

 

靑皮苦寒攻氣滯

平肝安脾下食劑

 

靑皮는 味苦 性寒하다. 氣滯를 다스리며, 平肝․安脾․下食의 藥이다.

 

청귤피 ①肝經氣分 및 手少陽으로 들어 간다. ②醋에 炒해서 쓴다.(本草).

 

柑子大寒膓胃熱

止渴利溲解酒結

 

柑子는 性大寒하다. 胃腸의 熱을 다스리며, 止渴하고, 利尿하고, 酒結을 푼다.

 

감귤

 

柚子味甘卽大橘

去胃惡氣壓酒密

 

柚子는 味甘한데, 卽 大橘이다. 胃 속의 惡氣를 除去하며, 酒毒을 푼다.

 

櫻桃甘熱水穀痢

調中益脾令顔媚

 

櫻桃는 味甘 性熱하다. 水穀痢를 다스리며, 調中益脾하고, 얼굴이 美貌해진다.

 

앵도 ①비를 맞으면 벌레가 저절로 속에 생기나, 水浸을 잘 해서 오래 두면 다 나온다. 많이 먹으면 發熱하고 肺癰이 되어 좋지 않다. ②[동쪽으로 뻗은 뿌리(東行根)]은 白蟲을 죽인다.(本草).

 

白果甘苦喘嗽敺

能治白濁且壓酒

 

白果는 味甘苦하다. 喘嗽를 敺逐하며, 能히 白濁을 다스리고, 또한 酒毒을 푼다.

 

은행 ①一名 銀杏. ②氣壅이 되므로 多食함은 不可하다.

 

胡桃肉甘能補腎

黑髮猶腹過莫緊

 

胡桃肉은 味甘하다. 能히 補腎하며, 머리털이 다시 검게 된다. 그러나 過用함은 緊要치 않다.

 

호도 ①土에 屬하나 火性이 있다. ②多食하면 風이 動하고 痰이 생긴다. ③[기름(油)]은 毒이 있어 蟲을 죽인다.(本草).

 

榛甘平寬腸益氣

不飢健行且開胃

 

榛子는 味甘 性平하다. 腸을 너그럽게 하고 氣를 補益하며 배고프지 않게 하고, 行步를 健壯하게 하고, 또 胃를 열어 준다.

 

개암(榛子).

 

落花生溫果中奇

性能潤肺香舒脾

 

落花生은 性溫하다. 果實 中에서는 기이한 것이다. 藥性은 能히 潤肺하고, 香氣는 舒脾한다.

 

본래 閩廣(중국)에서 生産되던 것인데, 꽃이 진 다음 꽃실(花糸)이 땅에 떨어져서 結實한다.(備要).

 

覆盆子甘益腎精

續嗣烏鬚目可明

 

覆盆子는 味甘하다. 腎精을 補益하며, 女子의 孕胎를 돕고, 毛髮을 검게 하고, 눈을 밝게도 한다.

 

나무딸기 ①酒蒸해서 쓴다. ②蓬藟(멍석딸기)도 效力은 같다.(本草).

 

橡實微溫澁膓痢

氣味俱佳荒可備

 

橡實은 性微溫하다. 膓을 收斂하여 泄痢를 멎게 하며, 氣味가 모두 좋아서, 凶年饑饉에의 對備도 된다.

 

상수리 ①十五日間 水浸하여 떫은 맛을 없앤 다음 쪄서 먹는다. ②[槲實(곡실, 도토리)]도 效力이 같다.(本草).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약성가 瓜果  (0) 2010.06.18
한약약성가 夷果  (0) 2010.06.18
한약약성가 五果  (0) 2010.06.18
한약약성가 芝栭  (0) 2010.06.18
한약약성가 瓜菜  (0) 201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