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 西 醫 學 Vol.23 No.3 (通卷 第74號)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
枳椇子 및 關聯 韓藥材에 關한 考察
徐富一, 金奉顯, 卞俊晳
(慶山大學校 韓醫科大學 本草學敎室)
ABSTRACT
Bu il-Seo, Bong hyun-Kim :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Joon seok-Buy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갈매나무과에 속한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의 藥用部位에 따른 韓藥材를 本草學 文獻을 通하여 照査한 結果, 枳椇子는 주로 止渴除煩, 淸熱, 解酒毒, 通利二便시키는 效能이 있었다. 그리고 枳椇根은 주로 活血, 舒筋解毒, 行氣하는 效能이 있었고, 枳椇葉은 주로 下胎, 止嘔, 解毒하는 效能이 있었으며, 枳椇木汁은 除臭하는 效能이 있었으며, 枳椇木皮는 主五痔, 和五臟, 活血舒筋解毒하는 效能이 있었다.
I. 緖 論
一般的으로 韓醫學的 體系를 따르지 않고 民間에서 經驗的으로 效驗에 따라 服用하게 되는 藥을 통하여 疾病을 治療하는 民間療法이 행해지고 있다. 民間療法은 때에 따라서 學問的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그 效驗이 탁월한 部分이 있는 反面에 오히려 환자에게 그릇된 情報나 藥物에 관한 잘못된 지식으로 惡影響을 미칠 수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民間療法중에서 科學文物이 發達한 現在까지도 활용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民間藥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이 枳椇子이다. 枳椇子는 갈매나무과에 속한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의 多肉質果柄이 붙은 果實이나 種子로, 10~11월 成熟時에 果柄이 붙은 果實을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果殼을 짓찧어서 종자만 빼내어 햇볕에 말린 것이다.民間에서는 枳椇子를 주로 過飮후 술독을 풀어주는 데에 이용하고 있는데, 과연 이러한 目的으로 枳椇子가 民間에서 사용되어지는 것이 韓醫學的인 見該에서 妥當한 지, 만일 타당하다면 앞으로 韓醫學에서는 枳椇子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著者는 역대 本草書에 나타난 枳椇子의 異名, 成分, 效能, 主治를 살펴보고, 아울러 藥用部位의 差異에 따라 연구한 바를 보고하고자 한다.
Ⅱ. 本 論
1. 枳椇子에 관한 연구
1) 歷代 本草書에 記載된 枳椇子의 異名에 관한 照査
唐代에 刊行된 <新修本草>에서 枳椇라는 藥名으로 처음 기재된 이래, 後代에 이르러서는 枳椇子의 생긴 形態 혹은 枳椇子의 맛 등에 따라서 많은 異名들이 생겨났는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枳椇子의異名
異名 |
參 考 文 獻 |
異名 |
參 考 文 獻 |
지구자 |
약초의 성분과 이용 |
萬壽果 |
中藥大辭典․中華藥海(<藥物生出産辨>) |
木珊瑚 |
新修本草, 中藥大辭典․中華藥海(<綱目>), 本草綱目(<廣志>) |
鷄爪梨 |
中藥大辭典(<中國樹木分類學>), 中華藥海 |
枳椇子 |
本草從新, 本草備要, 圖解鄕藥大事典, 中藥志, 藥用植物學, 全國中草藥匯編, 中國木本藥用植物, 中華藥海 |
木蜜 |
中藥大辭典․中華藥海(<詩疏>), 中華藥海, 本草從新, 證類本草, 本草綱目(<拾遺>), 新修本草 |
甛半夜 |
中藥大辭典(<中國樹木分類學>), 中華藥海 |
碧久子 |
中藥大辭典(<廣州植物誌>), 中華藥海 |
樹蜜 |
中藥大辭典․中華藥海(<古今注>) |
金鉤鉤 |
中藥大辭典(<江蘇植藥誌>), 中華藥海 |
木餳 |
本草從新, 中藥大辭典․中華藥海(<古今注>), 本草綱目(<拾遺>) |
轉鈕子 |
中藥大辭典(江西<草藥手冊>), 中華藥海 |
白石棗 |
中藥大辭典․中華藥海(<醫林纂要>) |
枳俱 |
證類本草, 方藥合編, 食療本草, 本草綱目, 新修本草, 中華藥海 |
鷄爪子 |
中藥大辭典(<綱目>), 中華藥海, 本草綱目 |
蜜지구 |
本草綱目 |
鷄橘子 |
中藥大辭典․中華藥海(<綱目>) |
結留子 |
中藥大辭典․中華藥海(<綱目>) |
鷄爪果 |
中醫大辭典, 中藥大辭典(<南寧市藥物誌>), 中華藥海 |
曹公爪 |
中藥大辭典․中華藥海(<綱目>) |
臭杞子 |
中醫大辭典 |
癩漢指頭 |
中藥大辭典․中華藥海(<蘇沈良方>) |
金鉤子 |
中國木本藥用植物, 中藥大辭典, 常用中藥鑑定大典, 中醫大辭典, 本草用法要方 |
鷄距子 |
中醫大辭典, 中藥大辭典․中華藥海(<蘇沈良方>), 本草綱目(<蘇文>), 本草用法要方 |
酸棗子 |
常用中藥鑑定大典 |
酸棗 |
藥用植物學, 中藥大辭典(<江蘇植藥誌>), 中華藥海 |
金鉤木 |
藥用植物學 |
拐棗子 |
常用中藥鑑定大典 |
金果樹 |
藥用植物學 |
拐棗 |
中醫大辭典, 中藥大辭典․中華藥海(<救荒本草>) |
龍爪 |
藥用植物學, 中藥大辭典(<中國樹木分類學>), 中華藥海 |
鷄巨子 |
常用中藥鑑定大典 |
棘枸 |
本草備要, 中藥大辭典․中華藥海(<綱目>) |
鷄距 |
本草從新, 本草備要 |
枳棗 |
中藥大辭典(<中藥誌>), 中華藥海 |
白石木子 |
中藥大辭典․中華藥海(<荊楚歲時記>) |
蜜지禾敬 |
中藥大辭典(<雷公炮炙論>) |
蜜屈律 |
中藥大辭典․中華藥海(<太平廣記>), 本草綱目(<廣記>) |
栟栱 |
中藥大辭典․中華藥海(<土卑雅>) |
背洪子 |
中藥大辭典․中華藥海(<朱子大全>) |
兼穹 |
中藥大辭典․中華藥海(<朱子大全>) |
天藤 |
中華藥海, 中藥大辭典(<滇南本草>) |
還陽藤 |
中藥大辭典․中華藥海(<滇南本草>) |
蜜지구 |
中華藥海(<雷公炮炙論>) |
2) 枳椇子의 藥味
枳椇子의 藥味는 <新修本草>에서 ‘味甘’으로 최초로 기재된 이래, 주로 甘味나 甘酸味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記載되었으며, 이를 포함한 文獻의 기록은 다음<표 2>와 같다.
<표 2> 枳椇子의 藥味
藥 味 |
參 考 書 籍 |
甘 |
證類本草, 方藥合編, 新修本草, 本草綱目, 全國中草藥匯編, 中藥志, 中國木本藥用植物, 本草從新, 本草備要, 本草用法要方 |
甘酸 |
圖解鄕藥大事典, 常用中藥鑑定大全, 中華藥海,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藥大辭典, 中藥大辭典(<本草再新>) |
3) 枳椇子의 藥性
枳椇子의 藥性에 관해 最初로 記載된 <新修本草>에서 ‘平無毒’으로 記載되었고, 諸本草書에서는 주로 平으로 記載되어 있으며, 枳椇子의 藥性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표 3>과 같다.
<표 3> 枳椇子의 藥性
藥 性 |
參 考 書 籍 |
平 |
新修本草, 證類本草, 方藥合編, 圖解鄕藥大事典, 本草綱目, 常用中藥鑑定大全, 全國中草藥匯編, 中華藥海, 中藥志,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國木本藥用植物, 本草從新, 本草備要, 中藥大辭典, 中藥大辭典(<本草再新>), 本草用法要方 |
4) 枳椇子의 歸經
枳椇子의 歸經에 관해서는 <本草再新>과 <中醫大辭典>, <圖解鄕藥大辭典>에서 ‘心脾經’으로 入한다고 하였으며, 文獻에 따른 약간의 見解差異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枳椇子의 歸經
參 考 文 獻 |
歸 經 | |||
中華藥海 |
|
|
肺經 |
胃大腸經 |
中藥大辭典(<本草再新>) |
心經 |
脾經 |
|
|
本草用法要方 |
|
脾 |
肺 |
胃 |
中藥大辭典(<本草撮要>) |
|
|
手太陰經 |
|
中醫大辭典 |
心經 |
脾經 |
|
|
圖解鄕藥大辭典 |
心經 |
脾經 |
|
|
5) 枳椇子의 效能 및 主治
枳椇子의 效能, 主治에 관한 첫 기록은 <新修本草>에서 “主頭風 小腹拘急”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後代에 내려오면서 枳椇子는 淸熱利尿, 止渴除煩, 解酒毒, 通便하여 熱病煩渴, 嘔吐, 小便不利 등을 治療하는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는데, 文獻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枳椇子의 效能 및 主治
文 獻 |
效 能 |
主 治 | ||||
利二便 |
止渴除煩 |
淸熱 |
解酒毒 |
其他效能 | ||
新修本草 |
|
|
|
|
|
主頭風, 小腹拘急 |
證類本草 |
|
|
|
|
|
主頭風, 小腹拘急 |
中藥大辭典(<本草拾遺>) |
○ |
○ |
|
|
潤五臟, 去膈上熱 |
|
本草綱目 |
○ |
○ |
|
|
去膈上熱, 潤五臟, 止嘔逆, 辟蟲毒,功用同蜂蜜 |
頭風, 小腹拘急, |
本草從新 |
|
○ |
|
○ |
潤五臟 |
多食發蚘蟲 |
中國木本藥用植物 |
|
○ |
○ |
○ |
利尿 |
熱病煩渴, 呃逆, 嘔吐, 小便不利, 酒精中毒 |
本草備要 |
|
○ |
|
○ |
潤五臟 |
|
方藥合編 |
○ |
○ |
|
○ |
|
煩症, 渴症 |
常用中藥鑒定大全 |
○ |
○ |
|
○ |
|
醉酒, 煩熱, 口渴嘔吐, 二便不利 |
中華藥海 |
|
|
|
○
|
養陰生精,補中益氣 潤腸通便 |
熱病煩渴, 嘔吐呃逆, 小兒疳積, 脾虛水腫, 大便不通, 酒醉 |
中藥志 |
|
○ |
|
○ |
淸濕熱 |
中酒毒, 煩渴嘔逆 二便不利 |
全國中草藥匯編 |
|
○ |
○ |
○ |
利尿 |
熱病煩渴, 呃逆, 嘔吐, 小便不利, 酒精中毒 |
中醫大辭典 |
○ |
|
|
○ |
平肝息風 舒筋活絡 |
醉酒, 煩渴, 嘔吐, 二便不利 治頭風, 小兒驚風, 風濕痲木 |
中藥大辭典 |
|
|
|
|
|
醉酒, 煩熱, 口渴, 嘔吐, 二便不利 |
中藥大辭典(<荊楚歲時記>) |
|
|
|
|
闢蟲毒 |
|
中藥大辭典(<滇南本草>) |
|
|
|
○ |
舒筋絡, 化蟲, 養脾 |
一切左癱右瘓, 風濕麻木 |
藥用植物學 |
|
|
|
|
|
治熱病消渴, 煩渴, 解酒, 嘔吐, 發熱 |
圖解鄕藥大辭典 |
○ |
○ |
|
○ |
|
酒醉, 煩熱, 口渴, 嘔吐, 大小便不利, 癱瘓,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 |
中國高等植物圖誌 |
|
|
|
|
|
淸凉利尿劑 |
약초의 成分과 利用 |
|
|
|
○ |
|
嘔逆질에 쓰며 오줌누지 못하는 질병에 쓴다. |
本草用法要方 |
|
|
|
○ |
生津液, 解渴煩. 肺胃雙收, 醇醪盡敗 |
渴煩 |
6)枳椇子의 成分
과실에는 다량의 포도당, 사과산(malic acid), 苹果酸鈣, 칼슘, 질산칼륨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꼭지에 糖, 서당, 葡萄糖, 果糖, 카랄라제, 페록시다제가 있으며, 總糖은 약 13%이고, 葡萄糖과 庶糖은 거의 같은 량이 들어 있다. 그 외에 果柄에는 당분을 30-40% 함유하고 있으며, 霜降後에는 더욱 더 심해진다고 하였다.
7)果柄의 효능 및 主治
果柄의 효능을 분리해서 설명하면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枳椇子의 果柄의 效能과 主治
參考文獻 |
效能 |
主治 |
全國中草藥匯編 |
健胃, 補血 |
蒸熟浸酒, 作滋養補血用 |
中國木本藥用植物 |
健胃補血 |
蒸熟浸酒, 作滋養補血用 |
2. 枳椇根에 관한 연구
1) 枳椇根의 藥味와 藥性
枳椇根의 藥味와 藥性에 관한 기록은 記錄은 다음의 <표 7>, <표 8>과 같다.
<표 7> 枳椇根의 藥味
藥 味 |
參 考 文 獻 |
澁 |
圖解鄕藥大事典, 重慶草藥, 中華藥海,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國木本藥用植物 |
<표 8> 枳椇根의 藥性
藥 性 |
參 考 文 獻 |
溫 |
圖解鄕藥大事典, 重慶草藥, 中華藥海,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國木本藥用植物 |
2) 枳椇根의 歸經
枳椇根의 歸經은 <中華藥海>에서 肝 腎 2經으로 入한다고 하였다.
3) 枳椇根의 主治와 效能
枳椇根의 效能과 主治는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枳椇根의 主治와 效能
文 獻 |
效 能 |
主 治 |
中國木本藥用植物 |
活血, 舒筋解毒 |
排腸肌痙攣, 食積, 鐵棒錘中毒 |
中醫大辭典 |
|
虛勞, 吐血, 風濕筋骨痛 |
中藥大辭典 |
|
虛勞, 吐血, 風濕筋骨痛 |
重慶草藥 |
行氣活血 |
治勞傷咳嗽, 吐血, 風濕筋骨痛 |
食物本草 |
|
治人面目卒得赤黑丹如疥狀, 不及治延及遍身則死, 煎汁服 |
圖解鄕藥大辭典 |
|
虛勞, 吐血, 류머티즘으로 인한 筋骨痛을 治療. |
中華藥海 |
補虛止血, 行氣活血, 祛風除濕 |
虛勞, 勞傷吐血等證, 風濕痺阻로 인한 筋骨疼痛. |
本草拾遺 |
|
主痔 |
本草圖經 |
|
大腸下血 |
4)枳椇根의 成分
根皮에는 多peptidealkaloid인 frangulanine, hovenine을 함유하고 hovenoside도 함유되어 있다.
3. 枳椇葉에 관한 연구
1) 枳椇葉에 관한 藥味와 藥性
枳椇葉에 관한 藥味와 藥性은 <中華藥海>에 ‘苦平’으로 記載되어있다.
2) 枳椇葉의 歸經
枳椇葉의 歸經은 <中華藥海>에 胃 肝二經으로 記載되어 있다.
3) 枳椇葉의 效能 및 主治
枳椇葉의 效能 및 主治에서 가장 特徵적인 것이 下胎시켜서 死産不出을 治療하는 것이다. 효능과 주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표 10> 枳椇葉의 效能 및 主治
參 考 文 獻 |
效 能 |
主 治 |
食物本草 |
|
死胎不出 |
陝西中草藥(中藥大辭典, 中華藥海) |
枳椇枝葉, 熬膏服, 功效同果梗, 且能止嘔, 解酒毒及鐵棒錘毒 |
|
中華藥海 |
下胎, 止嘔, 解毒 |
死胎不出, 胃逆嘔吐, 解酒毒, 鐵棒錘毒 |
本草備要 |
|
其葉入酒, 酒化爲水 |
圖解鄕藥大辭典 |
止嘔 |
死産으로 胎兒가 나오지 않는 疾患, 酒毒 |
4) 枳椇葉의 成分
잎에는 루틴이 있다.
4. 枳椇木汁에 관한 연구
1) 枳椇木汁의 藥味와 藥性
枳椇木汁의 藥味와 藥性은 <本草綱目>에서부터 記載되었으며 ‘甘平’한 藥性을 가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藥味과 藥性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11>, <표 12>와 같다.
<표 11> 枳椇木汁의 藥味
藥 味 |
參 考 文 獻 |
甘 |
圖解鄕藥大事典, 本草綱目, 中華藥海, 中國木本藥用植物 |
<표 12> 枳椇木汁의 藥性
藥 性 |
參 考 文 獻 |
平 |
圖解鄕藥大事典, 本草綱目, 中華藥海, 中國木本藥用植物 |
2) 枳椇木汁의 歸經
枳椇木汁의 歸經은 <中華藥海>에서 入肺經으로 記錄되어있다.
3) 枳椇木汁의 主治와 效能
枳椇木汁의 主治와 效能은 特徵的인 것은 除臭하는 效能이 있어서 腋下狐氣를 治療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13>과 같다.
<표 13> 枳椇木汁의 主治 및 效能
參 考 文 獻 |
主 治 |
本草綱目 |
治腋下狐氣 |
中華藥海 |
除臭, 治腋下狐氣 |
衛生易簡方(中藥大辭典, 中華藥海) |
治腋下狐氣 |
圖解鄕藥大辭典 |
腋臭를 다스린다. |
4)枳俱木의 成分
木部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인 hovenic acid(C30H46O5)가 있다
5. 枳椇木皮에 관한 연구
1) 枳椇木皮의 藥味와 藥性
最初로 記載된 文獻은 <新修本草>이며, 味는 甘하고, 性은 溫하다고 記錄되어 있다. 歷代 本草書籍에 나타난 枳椇木皮의 性味는 다음의 <표 14>, <표 15>와 같다.
<표 14> 枳椇木皮의 藥味
藥 味 |
參 考 文 獻 |
甘 |
圖解鄕藥大事典, 本草綱目, 中華藥海,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藥大辭典, 中國木本藥用植物 |
澁 |
中國木本藥用植物 |
<표 15> 枳椇木皮의 藥性
藥 性 |
參 考 文 獻 |
溫 |
圖解鄕藥大事典, 證類本草, 新修本草, 本草綱目, 中華藥海, 中醫大辭典(中藥分冊), 中國木本藥用植物, 中藥大辭典 |
2) 枳椇木皮의 歸經
枳椇木皮의 歸經은 <中華藥海>에서 肝, 脾, 腎 三經으로 入한다.
3) 枳椇木皮의 主治와 效能
枳椇木皮의 主治와 效能은 아래 <표 16>과 같다.
<표 16> 枳椇木皮의 效能 및 主治
參考文獻 |
效能 |
主治 |
新修本草 |
和五臟 |
五痔 |
證類本草 |
和五臟 |
五痔 |
本草從新 |
和五臟 |
治五痔 |
中醫大辭典 |
活血舒筋 |
風濕麻木 |
陝西中草藥(中藥大辭典, 中華藥海) |
活血舒筋, 解鐵棒錘毒 |
食積 |
中國木本藥用植物 |
活血, 舒筋, 解毒 |
腓腸肌痙攣, 食積, 鐵棒錘中毒 |
中華藥海 |
健脾消食, 活血舒筋, 解毒 |
脾虛食積腹脹, 血瘀筋骨疼痛, 解鐵棒錘毒 |
全國中草藥匯編 |
活血, 舒筋解毒 |
排腸肌痙攣, 食積, 鐵棒錘中毒 |
圖解鄕藥大辭典 |
調和五臟, 活血, 舒筋 |
五痔, 消化不良으로 因한 痞滿症. |
4)枳椇木皮의 成分
당은 겉껍질아래와 도관속 주위에 있다
Ⅳ. 考 察
枳椇子는 다육질의 果柄이 붙은 果實이나 種子로 , 갈매나무과에 속한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의 多肉質果柄이 붙은 果實이나 種子로, 10~11월 成熟時에 果柄이 붙은 果實을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果殼을 짓찧어서 종자만 빼내어 햇볕에 말린 것이다. 枳椇子는 唐代에 <新修本草>에서 ‘枳椇味甘平無毒主頭風小腹物急’이라고 하여 최초로 枳椇子에 관한 性味와 主治가 硏究가 되어졌음을 文獻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一名木蜜其木皮溫無毒主五痔和五臟以木爲屋屋中酒則味薄此亦奇物’이라고 기재하여 <新修本草> 當時에 이미 木皮를 사용하여 五痔를 治療하며 五臟을 和하는데 긴요한 效能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唐代 <食療本草>에서는 ‘多食發蛔蟲’의 部分이 記載되어 있는데 이는 枳椇子의 效能뿐만 아니라 副作用에 대한 硏究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文獻的 硏究들이 現在에까지 계속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古代文獻의 주된 枳椇子의 效能이나 主治는 現在의 文獻과 比較하여 특별히 差異가 나거나 相反된 部分은 별로 찾을 수가 없으며 주로 敷衍하는 形式의 文獻들이 後代에 많이 나왔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따라서, 枳椇子는 최근 熟醉解決에 도움을 준다는 民間에서의 說을 계기로 文獻的 照査를 통하여 檢討한 결과 熟醉에 대한 有效한 功能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른 藥用部位인 枳椇根, 枳椇葉, 枳椇木皮, 枳椇木汁에 대해서도 文獻的 考察을 통하여 앞으로 韓醫學的으로 枳椇子의 다양한 藥用部位를 積極的으로 活用할 수 있을 것으로 思料된다.
실제 臨床에서 많이 쓰이고 있지 않는 藥材이면서 지금까지 韓醫學的으로 많이 活用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參考文獻의 貧弱함이 있었으나 文獻에 따라서는 枳椇子에 대해 자세히 기재된 文獻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藥用部位別로 枳椇를 考察해보면, 枳椇子는 性味가 甘 혹은 甘酸平하며, 歸經은 주로 心脾經, 肺經으로 入한다. 主治는 止渴除煩, 淸熱, 解酒毒, 利大小便하여 醉酒, 熱病消渴, 煩渴, 嘔吐 大小便不利를 治療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枳椇根은 明代 姚可成의 <食物本草>에 처음으로 수록된 약재로, 9-10월에 채취한 헛개나무의 根이다 枳椇根은 澁溫한 藥性을 가지고 있으며 肝腎二經으로 入하는데 주된 功能은 行氣活血, 祛風除濕하여 風濕痺痛, 筋骨疼痛에 좋은 效果를 보이는 것으로 照査되었다.
枳椇葉은 <食物本草>에 처음으로 수록된 약재로, 헛개나무의 葉이다. 枳椇葉의 性味는 性味는 苦平하며 歸經은 胃肝二經으로 들어간다. 枳椇葉의 主治는 下胎, 止嘔, 解毒作用이 있어서 死産不出, 酒毒, 嘔吐, 鐵棒錘毒의 症狀에 有效한 것으로 照査되었다.
枳椇木汁은 <本草綱目>에 처음으로 수록된 약재로, 樹幹中의 液汁이며, 주로 甘平한 藥性을 가지고 있으며 肺經으로 들어가는데 枳椇木汁의 主治는 除臭하여 腋下狐氣를 治療한다.
枳椇木皮는 <唐本草>에 처음으로 수록된 약재로, 헛개나무의 樹皮이다. 枳椇木皮의 性味가 甘溫하여 肝脾腎 三經으로 들어가며 主五痔, 和五臟하며 活血, 舒筋, 解毒, 健脾, 消食의 效能이 있어서 食積과 消化不良, 鐵棒錘中毒, 風濕麻木에 좋은 效果가 있다.
以上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枳椇는 藥用部位에 따라서 그 效能이 서로 다르며, 나타나는 患者의 症狀에 따라 藥用部位를 區分해서 사용하여야 할 것이며, 앞으로도 枳椇子에 대한 보다 많은 硏究를 통하여 임상에서 보다 積極的으로 活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V. 結 論
갈매나무과에 속한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의 藥用部位에 따른 韓藥材를 本草學 文獻을 通하여 照査한 結果 다음과 같이 要約되었다.
1. 枳椇子는 주로 甘 혹은 甘酸平한 性味로 心脾肺經으로 入하며, 止渴除煩, 淸熱, 解
酒毒, 通利二便시키는 效能이 있었다.
2. 枳椇根은 주로 澁溫한 性味로 肝腎經으로 入하며, 活血, 舒筋解毒, 行氣하는 效能
이 있었다.
3. 枳椇葉은 주로 苦平한 性味를 가지고 胃肝經으로 入하며, 下胎, 止嘔, 解毒하는 效
能이 있었다.
4. 枳椇木汁은 주로 甘平한 藥性을 가지고 肺經으로 들어가며, 除臭하는 效能이 있었다.
5. 枳椇木皮는 주로 甘溫하며 肝脾腎經으로 入하여서 主五痔, 和五臟, 活血舒筋解毒하는 效能이 있었다.
以上의 結果로 枳椇子는 解酒毒하는 효능을 비롯하여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었으며, 헛개나무의 藥用部位의 차이에 따른 枳椇根, 枳椇葉, 枳椇木皮, 枳椇木汁의 效能이 多樣하다는 것을 文獻的 考察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 藥物에 대해 繼續的인 實驗 및 臨床硏究가 進行되어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參 考 文 獻
1. 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서울, 日月書閣, pp.382-383, 1991.
2. 申載鏞: 方藥合編解設, 서울, 成輔社, p.575, 1991.
3. 鄭普燮․辛民敎: 圖解鄕藥(生藥)大事典, 서울, 永林社, pp.291-292, 1990.
4. 吳儀洛: 本草從新, 杏林書院, 서울, p.157, 1982.
5. 唐愼微: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大星文化社, 서울, pp.353-354, 1983.
6. 孟詵 著, 唐嘉弘, 馮國定 輯校: 食療本草(養生妙方), 巴蜀書社, 四川省, 1993, p.72.
7. 蘇敬: 新修本草, 上海, 上海古籍出版司, pp.149-150, 1985.
8. 李時珍: 本草綱目 (卷下), 北京, 人民偉生出版司, pp.1845-1846, 1982.
9. 張責君: 常用中藥鑑定大全, 新華書店上海發行所, pp.565-566, 1993.
10. <全國中草藥匯編>編寫組: 全國中草藥匯論(下), 北京, 人民偉生出版司, p.425, 1988
11. 冉善德: 中華藥海, 哈尒濱出版社, pp.(上)1652-1653, (下)236-1237, 1993.
12. 中國醫學科學院藥物硏究所等編著: 中藥誌(第3冊), 北京, 人民偉生出版司, pp. 475 -478, 1984.
13. 中醫大辭典編緝委員會: 中醫大辭典(中藥分冊), 北京, 人民偉生出版司, p.241, 1982.
14. 態文愈 外 3人: 中國木本藥用植物, 上海, 上海科技敎育出版司, pp.501-505, 1993.
15. 甘偉松: 中國高等植物圖誌(二), 台北, 宏業書局有限公司, p.751, 中華民國 72年.
16. 甘偉松: 藥用植物學, 台北, 國立中國醫藥硏究所, p.373, 中華民國 82年.
17. 新文豊出版公司: 中藥大辭典(中), 台北, 新文豊出版司, pp.1239-1240, 中華民國72年.
18. 周志林: 本草用法要方, 台北, 文光圖書有限公司, pp.383-384, 中華民國72年.
19. 汪昻: 本草備要, 高文社, 서울, 1984, pp.149-150.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절풍 관련 자료 (0) | 2013.02.21 |
---|---|
간정격을 사용하는 경우 (0) | 2013.02.21 |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를 읽고 (0) | 2013.02.21 |
각종 질병 자가 진단법 (0) | 2013.02.21 |
동의보감으로 보는 남성 정력처방 (0) | 201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