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은 기름진 광둥(廣東)음식을 먹을 때면 수시로 차(茶)를 마신다. 차가 입안의 기름을 씻어내 개운할 뿐만 아니라 알칼리 식품이므로 육식으로 인한 몸의 산성화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중국인은 얌차와 우롱차를 좋아하며, 인도인과 영국인은 홍차를 즐긴다. 한국인과 일본인은 녹차를 선호한다. 이것들은 이름은 다르지만 모두 동일한 차나무(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잎을 가공해 만든 것이다.
다만 발효시키고 찌는 공정의 차이에 따라 차의 색깔이 녹색.황색.흑색을 띠게 되며 맛도 다양하게 변화해 녹차.우롱차.홍차가 되는 것이다.
녹차 성분 중 카테킨은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강화시켜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어 비만인들이 먹기에 좋은 음료다.
하지만 녹차의 성질은 조금 차면서 냉하기 때문에 속이 차가운 소음인보다는 속이 더운 태음인이나 소양인의 비만에 효과적이다.
속이 냉하고 소화가 잘 안 되는 소음인은 하체 비만이 특징적으로 잘 온다. 생강차나 계피차와 같이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차가 좋으며, 소화작용을 돕는 산사차도 좋다.
특히 원기가 허약해 피로를 많이 느끼는 소음인들은 인삼차나 황기차로 기력을 보하게 되면 수분대사가 잘 되면서 소변량도 증가한다.
속에 열이 많고 변비가 심한 태음인은 복부 비만이 되기 쉬워 녹차와 함께 칡차.율무차가 효과적이다. 속 열이 풀리면 변비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상반신(상초)에 화(火)가 많은 소양인은 체질적으로 상체 비만이 많다. 위(胃)의 열과 상반신의 화를 식혀주는 보리차.옥수수 수염차가 도움이 된다.
체질적으로 허약한 신장 기능을 도와주는 산수유 차나 구기자 차도 좋다.
태양인은 비만이 잘 오지 않지만 비만인 경우라면 솔잎 차가 좋겠다.
물론 차만으로 비만을 해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섭취한 지방을 강제로 배설시키는 비만 치료제보다는 비만 차가 훨씬 자연의학적임을 알아야 한다.
한시간 정도 걷기 등 적당한 유산소 운동으로 체지방을 충분히 연소시킨 후 체질에 적합한 차를 선택해 보자.
손영태 몸앤맘 한의원장
중국인은 얌차와 우롱차를 좋아하며, 인도인과 영국인은 홍차를 즐긴다. 한국인과 일본인은 녹차를 선호한다. 이것들은 이름은 다르지만 모두 동일한 차나무(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잎을 가공해 만든 것이다.
다만 발효시키고 찌는 공정의 차이에 따라 차의 색깔이 녹색.황색.흑색을 띠게 되며 맛도 다양하게 변화해 녹차.우롱차.홍차가 되는 것이다.
녹차 성분 중 카테킨은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강화시켜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어 비만인들이 먹기에 좋은 음료다.
하지만 녹차의 성질은 조금 차면서 냉하기 때문에 속이 차가운 소음인보다는 속이 더운 태음인이나 소양인의 비만에 효과적이다.
속이 냉하고 소화가 잘 안 되는 소음인은 하체 비만이 특징적으로 잘 온다. 생강차나 계피차와 같이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차가 좋으며, 소화작용을 돕는 산사차도 좋다.
특히 원기가 허약해 피로를 많이 느끼는 소음인들은 인삼차나 황기차로 기력을 보하게 되면 수분대사가 잘 되면서 소변량도 증가한다.
속에 열이 많고 변비가 심한 태음인은 복부 비만이 되기 쉬워 녹차와 함께 칡차.율무차가 효과적이다. 속 열이 풀리면 변비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상반신(상초)에 화(火)가 많은 소양인은 체질적으로 상체 비만이 많다. 위(胃)의 열과 상반신의 화를 식혀주는 보리차.옥수수 수염차가 도움이 된다.
체질적으로 허약한 신장 기능을 도와주는 산수유 차나 구기자 차도 좋다.
태양인은 비만이 잘 오지 않지만 비만인 경우라면 솔잎 차가 좋겠다.
물론 차만으로 비만을 해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섭취한 지방을 강제로 배설시키는 비만 치료제보다는 비만 차가 훨씬 자연의학적임을 알아야 한다.
한시간 정도 걷기 등 적당한 유산소 운동으로 체지방을 충분히 연소시킨 후 체질에 적합한 차를 선택해 보자.
손영태 몸앤맘 한의원장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에 관하여 (0) | 2006.01.19 |
---|---|
밀가루 (0) | 2006.01.15 |
전문의들이 권하는 새해 건강 설계 (0) | 2006.01.14 |
“아이에게 과자를 주느니 차라리 담배를 피우게 하라”(펌) (0) | 2006.01.14 |
감기약은 없다 (0) | 200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