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메일

동의보감 꿈편 잠자는 자세와 꿈 해몽

별꽃바람 2010. 2. 24. 09:36

 

 

 

가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들녘의 곡식과 과일이 익어가듯이 우리도 일 년의 삶을 돌아보고 수확을 할 시기입니다. 잠시 손을 놓고 올해는 무엇을 수확할 것인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삶의 때만 덧칠한 것은 아닌지, 빈껍데기를 치장하기 위해 소중한 삶을 낭비한 것은 아닌지, 오늘의 삶을 위해 무거운 업을 쌓은 것은 아닌지 돌아봅니다.

 

 

동의보감의 글을 편집한 순서를 보면 허준의 사상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내경편에 기와 혈편 다음에 나오는 것이 꿈편입니다. 어떻게 보면 별로 중요한 것 같지 않은데 실제로 잠은 우리 삶의 1/3을 차지하는 만큼 대단히 중요합니다. 동의보감에는 꿈을 각 장기와 연관하여 해석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꿈을 3회 이상 반복해서 꾼다면 끝부분에 있는 해몽부분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마음이 들떠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에는 간을 보해야 하고, 지나치게 생각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화를 내게 해서 비장을 사해야 합니다.

 

 

상한과 잡병 때 잠을 몹시 자는 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한 것이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한 것입니다. 밝은 것을 좋아하는 것은 양증에 속하는데 원기가 실한 것입니다. 어두운 것을 좋아하는 것은 음증에 속하는데 원기가 허한 것이고, 벽을 향하고 자는 것은 음증에 속하는데 원기가 허한 것입니다. 또한 밖을 향하고 자는 것은 양증에 속하는데 원기가 실한 것입니다.

 

 

“누우면 피는 간으로 간다. 피가 안정되지 못하여 누워도 간으로 돌아가지 못하면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 간(肝)이 허하거나 신(腎)이 허하거나 비(脾)가 허하면 몸이 무겁고 답답하며 괴롭다.”

 

 

잠을 자는 법[寢睡法]

잘 때에는 반드시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준다. 깨어나서는 몸을 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다. 몸을 펴고 누우면 헛것이 들린다. 공자가 죽은 사람처럼 하고 자지 말라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다. 잘 때에는 늘 입을 다물고 자야한다.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사기(邪氣)가 입으로 들어가서 병이 생긴다. 또한 하룻밤 누워 자면서 다섯 번 정도 돌아누워야 한다[득효].

 

 

밤에 잘 때 편안치 않은 것은 이불이 두터워서 열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빨리 이불을 걷고 땀을 닦은 다음 엷은 것을 덮어야 한다. 추울 때에는 더 덮어야 편안하게 잠들 수 있다. 배가 고파서 잠이 오지 않으면 조금 더 먹어야 한다. 배가 불러서 잠이 오지 않으면 반드시 차를 마시거나 조금 돌아다니다가 눕는 것이 좋다.

 

 

잠을 잘 때에는 등불을 켜놓으면 정신이 불안해진다. 손을 가슴에 올려놓으면 반드시 가위눌리어 잘 깨어나지 못한다. 어두운 곳에서 가위눌렸을 때에는 불을 켜지 말아야 하며 또한 앞에 가까이 가서 급히 부르지 말고 가슴 위에 올려놓은 손을 내려 준 다음 천천히 불러서 깨워야 한다.

 

 

잠과 관련하여 유명한 약재가 바로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인데 이는 잠이 많은 데는 생것으로 쓰고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잘 볶아서 씁니다. 잠을 자게 하는 음식으로는 사과, 무궁화, 고사리, 배추 등이고 잠을 적게 하는 음식으로는 더덕, 차, 쓴나물과 쓴 상추, 초결명자 등입니다.

 

 

이하는 꿈을 건강과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최근 동일한 꿈을 반복해서 꾸는 경우는 혹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꿈(희망)은 낮에 꾸시고 밤에는 꿈이 없는 편안한 잠을 주무시기 바라면서 이만 줄입니다.

 

 

 

 

심(心)이 실(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한 꿈을 꾼다.

심이 허(虛)하면 혼백이 들뜨기 때문에 복잡한 꿈을 많이 꾼다.

 

 

사기가 침범하면 정신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적기 때문이다. 혈기가 적은 것은 심(心)에 속한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흔히 두려워하고 눈을 감고 있으며 자려고만 하고 먼 길을 가는 꿈을 꾸며 정신이 흐트러지고 꿈에 허투루 돌아다닌다.

 

 

음기가 쇠약하면 전증(癲證, 간질)이 생기고 양기가 쇠약하면 광증(狂證, 정신병)이 생긴다.

 

 

심풍병(心風病)이 생기면 남자는 꿈에 여자가 나타나고 여자는 꿈에 남자가 나타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7정(七情)이나 6음(六淫)에 감촉되어 심(心)이 허(虛)해져서 밤에 꿈이 많고 잠자리가 편안치 않으며 정신이 어렴풋하며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음기(陰氣)가 성하면 큰물을 건너가는 꿈을 꾸고 무서우며

양기(陽氣)가 성하면 큰 불이 붙는 꿈을 꾸며

음양이 다 성하면 서로 사람을 죽이는 꿈을 꾼다.

 

 

상초(上焦)가 성하면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하초(下焦)가 성하면 떨어지는 꿈을 꾼다.

 

 

몹시 배고프면 무엇을 가지는 꿈을 꾸고

몹시 배부르면 남에게 무엇을 주는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성하면 성내는 꿈을 꾸고

폐기(肺氣)가 성하면 우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성하면 웃기를 좋아하는 꿈이나 무서운 꿈을 꾸고

비기(脾氣)가 성하면 노래를 부르는 꿈이나 몸이 무거워 움직이지 못하는 꿈을 꾼다.

또한 신기(腎氣)가 성하면 허리뼈가 둘로 떨어져서 맞붙지 못하는 꿈을 꾼다.

 

 

또한 궐기(厥氣)가

심(心)에 머무르면 산이나 언덕, 연기나 불이 꿈에 보이고

폐(肺)에 머무르면 날아다니거나 쇠붙이로 만든 이상한 물건이 보인다.

간(肝)에 머무르면 꿈에 산이나 나무가 보이고

비(脾)머무르면 꿈에 언덕이 있는 능이나 큰 못이나 집이 무너지는 것이나 비바람이 부는 것이 보인다.

신(腎)에 머무르면 연못가에 살면서 물에 빠지는 꿈을 꾸며

방광(膀胱)에 머무르면 놀러 다니는 꿈을 꾼다.

위(胃)에 머무르면 음식을 먹는 꿈을 꾸고

대장(大腸)에 머무르면 논밭이 꿈에 보이며

소장(小腸)에 머무르면 복잡한 도시의 거리가 보이고

담(膽)에 머무르면 싸움하고 재판하며 자살하는 꿈을 꾸며

음기에 머무르면 성생활 하는 꿈을 꾸고

목에 머무르면 머리를 베는 꿈을 꾸며

종아리에 머무르면 뛰려고 하나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꿈이나 깊은 땅굴 속에 있는 꿈을 꾼다.

다리와 팔뚝에 머무르면 예절을 지키면서 절하는 꿈을 꾸고

자궁에 머무르면 대소변을 누는 꿈을 꾼다.

 

 

5장이 허하거나 실하면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허하면 꿈에 버섯이나 산의 풀이 보이며 실(實)하면 꿈에 나무 아래에 엎어져서 잘 일어나지 못한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불을 끄는 꿈이나 햇빛에 있는 꿈을 꾸며 실하면 불붙는 꿈을 꾸고

비기(脾氣)가 허하면 음식이 부족한 꿈을 꾸며 실하면 담장을 쌓고 지붕을 덮는 꿈을 꾼다.

폐기(肺氣)가 허하면 꿈에 흰 것이나 사람을 베어서 피가 질퍽한 것이 보이며 실하면 싸움하는 군인이 보인다.

신기(腎氣)가 허하면 꿈에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실하면 꿈에 물에 엎어지거나 무서운 것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