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통속한의학 원론 7장 처방학 처방분석

별꽃바람 2010. 6. 11. 07:11

8. 한약을 처방하는 방법

찬약으로 열증을 치료하는 것이 정치이고 찬약으로 한증을 치료하는 것이 반치이다. 반좌법이란 열병에 찬약이 안 받을 때 더운약을 덧붙이거나 찬약을 뜨겁게 해서 쓰는 것이다.

신장의 음을 돕는 약으로는 육미지황탕이 최고이며 마른 어린이에게 가장 필요한 약이고, 신장의 양을 돕는 약은 위관전으로 어린아이의 녹변에 사용한다.

 

9. 유명 처방의 분석

가. 사물탕 : 보혈약의 대표

숙지황은 체온을 증진시키는데 단맛은 비와 영양을 향상하고, 쓴맛은 심장피로 회복에 작용하며 신맛은 간장을 보하고 검은색은 신장을 보한다.

당귀는 보혈약으로 혈액순환을 돕고 대변을 부드럽게 하며 방향성을 갖고 있어 살균력과 호흡을 돕는 작용을 한다.

천궁은 혈액 순환을 돕는 약으로 땀을 잘 나게 하고, 살균력이 강하다.

백작약은 서늘한 약성의 보혈약으로 피를 돕고, 신맛은 간장의 피로를 치유하고, 심장활동을 억제하며 천궁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지나친 발한을 방지하는 한편 울혈을 청소하여 식욕을 증진하고 피를 맑게 하며 해열 작용을 해 준다.

나. 사군자탕 : 보기약의 대표

인삼은 원양과 원기를 도와 생리기능을 왕성하게 한다.

백출은 소화력을 증진하고 폐에 작용하여 튼튼하게 하여 원기를 왕성하게 한다.

감초는 영양을 증진하고 장기를 부드럽게 하며 유독, 극열성 물질을 중화시키고 완화시킨다.

백복령은 인삼, 백출, 감초의 강한 약성의 폐해를 덜어준다. 소변을 이롭게 하고 부당한 열을 제거한다.

다. 팔물탕

사물탕과 사군자탕을 합한 것으로 기와 혈을 고루 보한다.

라. 십전대보탕

팔물탕에 황기와 육계를 가미하여 기혈을 보하되 양기가 아주 허한 사람에게 좋다. 황기는 리를 보하고 육계는 열을 돕는다.

마. 육미지황탕 : 보음약의 대표

음과 신을 보하고 수분을 돕는다. 음을 보하면서도 양기를 해치지 않는 약이다.

숙지황은 보음, 보혈, 보신작용을 한다. 산약은 담백한 단맛으로 기는 평해서 알맞게 영양을 돕고 신수를 돕는다. 산수유는 신수를 기르고 신맛으로 간경의 음을 돕고 수렴작용을 한다.

목단피는 가볍고 서늘한 약성으로 열을 내리고 피를 맑게 한다. 백복령은 신을 돕고 수분배설로 체온을 낮춘다. 택사는 서늘하며 담백하고, 단맛으로 소변을 이롭게 하고 습기를 제거한다.

숙지황은 약한 온성약으로 320g을 쓰고, 산약을 평탄한 약으로 160g, 산수유는 160g, 미량인 목단피는 120g, 택사는 120g을 쓴다.

바. 보중익기탕

외감, 내상으로 생기는 소화불량, 감기, 학질, 폐병, 대하, 설사, 탈항, 탈음에 좋다.

황기 6g, 인삼, 백출, 감초 각각 4g, 당귀, 진피 각각 2g, 승마, 시호 각각 1.2g을 쓴다.

황기, 인삼, 백출은 원기를 보하고, 인삼, 감초는 영양을 돕고, 인삼, 황기는 식은땀을 방지한다. 인삼, 당귀는 피를 보하며, 인삼, 백출, 진피는 소화를 도우며, 시호, 승마는 외감을 풀어 준다.

진피는 소화기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고, 당귀, 진피는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승마는 위를 맑게 해주며 시호는 간경을 맑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