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련

통속한의학 원론 7장 처방학 증세에 따른 처방약

별꽃바람 2010. 6. 11. 07:10

7. 여러 증세의 치료약

- 열약, 온약 : 부자, 육계, 건강, 백출, 인삼.

- 한약, 냉약 : 대황, 황련, 황금, 생지황, 작약, 우슬, 맥문동, 천문동, 황백, 지모

- 양을 보하는 약 : 인삼, 부자, 두충, 구기자

- 음을 보하는 약 : 숙지황, 산약, 더덕, 우슬, 맥문동

- 기를 보하는 약 : 임삼, 백출, 황기

- 피를 보하는 약 : 따듯하게 보할 경우에는 숙지황, 당귀, 천궁, 녹용을 시원하게 보하는 경우에는 작약, 우슬, 생지황을 사용한다.

- 땀내어 흩는 약 : 따듯하게 할 때는 마황, 계지, 창출, 생강, 형개, 방풍, 세신, 백지, 독활을 사용하고, 시원하게 할 때는 시호, 전호, 승마, 박하를 사용한다.

- 먹어서 소독하는 약 : 온약에는 백지, 형개, 방풍, 진피, 유향, 몰약, 흡각, 천궁을 쓰고, 평약에는 황기, 천산갑을 쓰고, 시원한 약에는 연교, 서각, 금은화, 작약, 천화분, 시호, 하고초, 과루인을 쓴다.

- 지혈약 : 약간 따듯한 약은 부교, 흑묵이 있고 시원한 약은 죽여, 천근, 모근, 측백, 황기, 황련, 지모, 지유로 각혈, 코피, 피똥, 피오줌, 하혈에 사용한다.

- 한열왕래에는 시호, 황금을 쓴다.

- 가스를 배출하여 속을 편하게 하는 약중에 따듯한 것은 진피, 목향, 곽향, 향부자, 후박, 기타 방향성 온약이 있고, 시원한 성분의 약은 지각, 청피가 있다.

- 윗몸 열통(목구멍이 부은 경우 등) : 시호, 길경, 황금, 박하

- 아래 냉통(하복통 등) : 오수유, 후박, 소회향, 건강, 육계 등 하향하는 온약

- 기침 : 따듯한 약으로는 백출, 반하, 백개자, 진피, 봉밀이 있고 시원한 약에는 행인, 상백피, 황금, 길경, 천문동, 맥문동, 패모가 있으며 보통의 평탄한 약에는 오미자, 백합, 아교가 있다.

- 구토 : 위가 찰 때는 인삼, 백출, 건강, 반하, 호초 등의 따듯한 약을 쓰고 위에 열이 있는 경우에는 작약, 지실, 황련, 맥문동 등의 시원한 약을 쓴다.

- 소화불량 : 따듯한 약에는 백출, 반하, 건강, 사인, 육두구, 후박, 초과, 진피, 나복자가 있고 시원한 약에는 지실, 작약, 황금, 황련이 있으며, 평탄한 약에는 산사육, 맥아, 신곡 등이 있다.

- 변비

․ 무르게 하는 약 : 당귀, 숙지황(온약), 작약, 우슬, 황금(서늘한 약), 육종용, 마인(평단한 약)

․ 체온을 돕는 약 : 인삼, 반하, 후박

․ 기운을 돋구는 약 : 인삼, 황기, 백출, 감초

․ 가스를 배출하는 약 : 지각, 지실, 빈랑, 진피, 후박

․ 기타 대황, 망초, 감수는 공하제로 찬약이고, 파두, 피마자, 원화는 열약인데 부작용이 있으므로 가급적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설사

․ 체온을 돕는 약 : 인삼, 건강, 육계, 반하, 부자, 백출, 창출, 후박, 오수유

․ 소변을 원활하게(이뇨) : 복령, 저령, 택사, 차전자, 목통, 치자

․ 기운을 돋구는 약(익기) : 인삼, 황기, 백출, 감초

․ 가스 배출 : 육두구, 초두구, 목향, 후박, 정향

․ 대변을 굳게 하는 약 : 산약, 오매, 오미자, 앵속각

-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소변불리) : 복령, 저령, 택사, 목통, 차전자, 치자

- 오줌을 못 가릴 때 : 익지인, 토사자, 오약, 가구자

- 몽정, 대하에 : 토사자, 산약, 금앵자, 자인, 아교, 용골, 모려

- 어혈 : 도인, 홍화, 소목, 삼릉, 봉출

- 탈항, 탈음 : 황기, 승마, 인삼

- 땀이 너무 많을 때 : 황기, 인삼, 산조인, 백작약, 백자인

- 심신 불안(불면증, 건망증, 가슴 두근거림, 깜짝깜짝 놀랄 때) : 백복신, 산조인, 원지, 백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