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복약법과 용량
병이 하초에 있으면 강화로 전탕하여 소량씩 서서히 복용하고 병이 상초에 있으면 약화로 전탕하여 약간 많은 양을 복용한다. 복용량은 병세의 경중, 남녀로소, 체질의 강약에 따라 적당히 조절하여 환자의 체질이 약을 감당해내며 효력이 지속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복용후에 물이나 차를 마셔도 안되고, 소아도 젖과 같이 복용하여서는 안 된다.
① 병재흉격이상 : 식후복(음식의 청기가 승하므로 약물도 같이 승하기 위해)
② 병재심복이상 : 식전복
③ 병재사지 : 식간복
④ 병재골수 : 취침전(경맥이 야간에 열리므로) 또는 공복(기상후조)
열증에는 한약을 냉복해야 하고, 한증에는 열약을 열복해야 하며 때로는 한열이 착잡하므로 인하여 복약 후 구토가 나타나는 정황이 진한가열 같으면 열약을 냉복해야 하고 만약 진열가한 같으면 한약을 열복해야 한다.
복용 회수는 보통 1일 3회 먹으나 어떤 경우는 밤에 한 번 더 먹는 것도 있다. 그러나 발한약, 토제, 사하약들은 회수에 관계없이 목적을 달성하면 중지하는 것도 있다.
소아용량은 양방처럼 엄밀한 구별은 요하지 않으나 대략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15세 이상 -- 대인량
15세 미만~10세 정도 -- 대인량의 2/3
10세 이하~5세 정도 -- 대인량의 1/3
5세 이하 -- 대인량의 1/4~1/5
이외 참고적으로 환산표를 기재한다
1근 ≒ 600g, 1양 = 37.5g(≒40g), 1과 = 3.75g(≒4g), 1분 ≒ 2g
1합 = 20cc, 1승 = 200cc, 1두 = 1800cc, 방촌비 ≒ 5cc
6. 임신금기약과 일반금기
약을 먹는 도중 일정하게 주의하는 것을 금기라 하는데 신체조건에 따라 약을 사용하지 못할 때도 금기라고 한다.
가. 일반금기
약을 복용 중에는 생것, 찬 것, 기름기가 많은 것 등은 금하여야 한다. 쓴 약이라고 꿀, 설탕, 엿 등은 되도록 복용하지 않는게 좋다. 소아들이 복용을 원하면 약이 다 흡수된 다음에 먹어야 한다.
또 창출이나 백출이 군약인 약은 도 . 이 . 작 . 합 . 마늘 . 청어 . 초 등을 기하고, 지황일 때는 파 . 마늘 . 무를 기하고, 하수오일 때는 무린어를, 황련과 길경에는 돼지고기와 냉수를, 세신에는 생채를, 목단에는 생호채(유채)를, 복령에는 초산물을, 감초에는 송엽 . 해조 . 돼지고기를, 이동에는 이어를, 양기석에는 양혈을, 황정에는 매실을 우슬에는 쇠고기를, 당귀에는 면을, 사향에는 마늘을, 보골지는 양고기를, 행인에는 속미를 기한다.
개별적인 약물에 따라 금기식을 어떻게 정하였는지는 아직 소상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어 연구과제이며, 또 모든 약을 복용시 녹육을 먹으면 약효가 없어진다고 하는데 이는 사슴이 항상 해독초류를 상식하므로 모든 약효를 제살하기 때문이다.
일반 약물에도 배합금기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고서(동의보감, 의방류취, 의종손익)에 나오는 배합금기>>
① 서로 만나면 독성에 강해지므로 배합금기 :
반하, 과루인, 패모, 백급, 백렴과 오두,
해조, 대극, 원화, 감수와 감초
작약, 단삼, 인삼, 고삼, 현삼, 사삼, 세신과 여로
백렴, 서각과 오두
석결명과 운모
삼능, 유황과 망초
인삼과 오령지, 수은과 비상
파두와 견우자
육계와 적석지
파, 부추와 꿀 등
이외 숙지황이 함유된 약은 무복용을 기하는데 무는 양적식물로 상기하고 숙지황은 음적작용을 하여 보혈 . 보음하므로서 이다. 또 일설에는 지황밭에서는 무의 재배가 안되고, 무밭에서는 지황재배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② 서로 만나면 약효가 감소하여 배합금기 : 낭독과 밀타승 복령과 식초, 생강과 황금 등.
나. 임신중 배합금기
임신중에는 주로 독성약, 설사약, 자궁수축약 등이 해당된다.
보통 2 ~ 4개월 때 제일 주의해야 한다.
식물성 : 오두, 부자, 남성, 반하, 대산, 파두, 대극, 완화, 우슬, 각자, 견우자, 후박, 도인, 목단, 홍화, 대황, 동규자, 삼능, 맥아, 천화분, 육계, 건강, 익모초, 오령지, 소목, 왕불유행, 유향, 포황, 지실, 빈랑, 구맥 석, 오공, 우황, 사향, 천산갑 신석, 석웅황, 유황, 수은, 망초
단 독성이 있어 금기하더라도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에는 수치하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학 계절과 약 (0) | 2010.06.11 |
---|---|
본초학 오색과 인체내에서의 효능 (0) | 2010.06.11 |
본초학 한약의 성능과 작용 (0) | 2010.06.11 |
본초학 본론 한약의 수치 (0) | 2010.06.11 |
본초학 본론 한약의 채취와 저장 (0) | 201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