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주 전부터 유리공주가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에 심취해 있습니다. 덕분에 많이 자비로워지고 여유가 있어 더욱 행복해졌답니다. 전에 몇 분에게 이향봉스님의 글을 모아서 책으로 만들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분의 책을 읽다보면 삶에 대한 욕심이 줄어들고 나눔과 비움이 중요함을 느끼게 됩니다.
반면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을 보면 나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다시 깨닫게 됩니다. 두 분의 주장이 완벽하게 일치함을 느끼며, 깨달음의 경지가 그와 같음을 어렴풋이 느낍니다. 혹자는 비판하는 분들도 있지만 듣고 읽은 것만으로도 행복해지는 것을 보면 결코 손해는 아닌 듯하다.
두 분의 견해 중 운명론에 대한 부분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저 역시 비슷한 생각을 늘 해 왔지만, 정리가 되지 않았는데 즉문즉설을 보다보니 확실히 알 것 같습니다. 참고로 법륜스님은 모든 종교적인 행위들에 대해 문화라는 표현으로 자유를 강조하십니다.
즉 교회를 다니거나 무당을 믿거나 사주팔자를 따지고 비방을 찾는 일 들을 모두 문화행위로 종교적 자유라는 겁니다. 헌법에서 보장한 기본적인 자유 말입니다. 따라서 누구도 타인의 종교 행위에 대해 간섭하거나 비난해서는 안 됩니다. 타인의 종교를 비난하는 것은 그 자체로 부족한 인간임을 증명하는 바보 같은 짓일 뿐이지요.
사설이 길어지고 있군요. 운명론을 보면 3가지 관점이 있습니다.
첫째는 신에 의해 정해진 것이라는 유신론적 관점입니다. 인간 자체가 피조물이고, 모든 것은 신의 뜻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 말입니다. 따라서 신에게 의지하고 빌어야만 죄를 사하고 천국에 간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더불어 재물을 바치도록 권하는데 전지전능한 신이 재물이 필요할 일이 없으므로 결국 신의 말을 전한다는 종교인들을 타락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고 있죠.
둘째는 태어난 날의 운세가 삶 전체를 좌우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동양의 사주 철학입니다. 자연의 운행에 기초한 동양철학은 태어날 때 세상의 운기를 받았기 때문에 그에 의해 대부분의 삶이 정해져 있고, 일부 비방이나 비법에 의해 피할 수 있다고 하죠. 여기에서 혹세무민하는 사이비 동양철학자들이 출몰합니다.
셋째는 전생에 지은 업에 의해 현재 삶이 결정된다는 윤회론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불교의 이론이라고 잘못알고 있는 윤회 론은 힌두교의 개념이죠. 윤회 론은 자신이 지은 업에 의해 결과가 온다는 인과응보 론으로 운명을 설명합니다. 이런 논리는 힌두교의 카스트제도를 유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즉 자신이 살고 있는 불평등한 삶을 타고난 숙명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저항하거나 계급을 초월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도록 만들지요.
그럼 불교의 이론은 무엇일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제행무상으로 대별되는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즉 변화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죠. 우리가 공부하는 질병의 경우도 변화하기 때문에 치료가 가능한 것입니다. 우리 몸은 스스로 느끼지 못하지만 길어야 6개월이면 모두 바뀝니다. 즉 현재의 나를 이루고 있는 생물학적인 나는 6개월 후에는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습니다. 어떤 질병도 섭생을 잘하면 6개월은 어렵지만 몇 년이면 완전히 치료가 가능한 이유입니다.
또 하나 중요한 이론은 제법무아라는 개념입니다. 나라는 것이 없으므로 질병도 없고, 죄도 없지요. 중요한 것은 나라고 할 것도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깨달은 자나 범인이나 누구에게나 순간순간 카르마가 작용하지만 그에 끌려가지 않도록 깨어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법륜스님의 법문은 거의 이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면 됩니다. 자신이 중심이 되는 삶, 그러나 자기라고 할 것도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깨어있는 정신, 나는 우주의 일부이자 전부라는 마음으로 사는 것이 참 삶입니다. 공부가 부족한 제 입장에서는 그 경지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지만 조금씩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파일을 올리려고 하니 용량문제로 올릴 수 없고, 저작권 문제가 걸려 게시판에 올릴 수 없네요. 후에 녹음 파일을 12월 정모 자료 보낼 때 첨부해서 보내드리고자 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유튜브를 통해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링크를 직접 거는 것도 저작권에 저촉되어서 글이 등록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래 주소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써 넣으시면 볼 수 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QShLZDpX7nI
([즉문즉설] 지은 업의 과보를 피해갈 방법)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사익님 노래 가사 몇개 (0) | 2015.03.03 |
---|---|
한의학의 현재를 걱정하며 (0) | 2014.12.26 |
[스크랩] 안구건조증? 다래끼? 아닙니다. (0) | 2014.11.02 |
장모님과 함께 한 죽녹원 그리고 내장산 (0) | 2014.11.02 |
장모님과 함께 한 월출산 (0) | 201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