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약의 개요와 보양약 1. 보약(補藥) 인체의 생리기능의 부조현상에서 오는 신체의 허약상태를 도와주는 약물. 현대 의약에서는 볼 수 없는 한방의 특수용어이며, 역사적으로나 서지학적(書誌學的), 또는 경험적으로 많이 알려진 생활용어이다. 한방에는 모든 본초(本草:藥材) 중 특히 인체의 선․후천적 허.. 건강 관련 2013.02.20
어지럼증 현훈 관련 자료 어지럼증 ====== 어지러운 증상을 한의학에서는 [현훈(眩暈)]이라고 하느데 [현(眩)]은 눈이 캄캄하면서 아찔한 것으로, 즉 별이 보이는 증상이다. [훈(暈)]은 차나 배를 탔을때와 같이 머리가 핑도는 증상이다. 가벼운 현훈증은 눈을 감으면 멈추어지나 심한경우에는 차멀미나 배멀미를 하.. 건강 관련 2013.02.20
사상의학의 이해 사상의학의 이해 I. 들어가는 말 1. 사상의학이란?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우리나라 이조 말엽(19C)에 동무 이제마선생에 의해 연구 완성된 학문으로 유학과 한의학의 양면적 관점에서 인간과 우주를 파악하여 사람을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태양인(太陽人) 등 네 .. 건강 관련 2013.02.20
겨울철 중풍예방과 치료법 겨울철 중풍예방과 치료법 중풍은 마비증상이 오거나 의식을 잃으면 언어장애나 기억력 이상 혹은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병으로 뇌에 혈관이 막히거나 또는 뇌혈관이 터져 출혈됨으로써 일어난다. 양방에서는 이 병을 가리켜 뇌졸중 이라고 한다. 이 병은 기온의 변화가 심한 봄과 초겨.. 건강 관련 2013.02.20
만성간염의 치료 만성간염의 치료 박 재 현 (경산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제1내과) 만성간염은 대부분 급성간염을 오래동안 치료하여도 미유하여 발병한 것으로, 거사불리하여 습열사기가 완전히 청제되지 않고 정기가 허약하여 재발한 소치이다. 만성간염의 치료에 있어서 관유파선생은 오랫동안의 림상 .. 건강 관련 2013.02.20
부항요법이란? 부항요법이란? 부항요법은 말 그대로붙을 부(附) 항아리 항(缸)으로 항아리처럼 생긴 것을 몸에 붙여 혈이 흐르는 곳에 압력을 작용시켜 불필요하거나 정체되어 있는 각종 체액과 혈액을 제거시키는 방법이다. 부황이라는 표기는 잘 못된 것입니다. 1. 부항의 역사 부항은 동서양을 막론.. 건강 관련 2013.02.20
상용 할 수가 있는 증상별 침 취혈(取穴) 상용 할 수가 있는 증상별 침 취혈(取穴) 증 상 경 혈 증 상 경 혈 발 열 대추,곡지,합곡 붕 루 음도 혼 미 인중, 십선혈 疳 積 사봉혈 허 탈 신궐,관원 고혈압 인영, 태충 흉 민 중완, 내관 구 역 격유, 내관, 노궁 오심구토 내관, 족삼리 늑간통 지구, 양능천 多 汗 합곡, 복유 尿 閉 삼음교, 음.. 건강 관련 2013.02.20
숯의 효과에 관하여 숯의 효과에 관하여 숯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제습효과가 탁월합니다. 미세한 기공으로 탁월한 정수 및 멸균효과가 있습니다. 이런 숯의 특성을 활용한 사례가 대단히 많습니다. 건강을 위해서도 숯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숯은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하므로 비.. 건강 관련 2013.02.20
각종 보사법 침술에서 보사법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특히 영수보사나 원보방사는 기본 중에 기본이죠. 김홍경선생님이 침으로 불치병을 치료하는 것을 보면 신기에 가까운 보사법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것을 느낍니다. 침을 배우시는 분이라면 모든 보사법을 다 익힐 수 없더라도 기본은 망각하지 .. 건강 관련 2013.02.17
치료의 대원칙 치료의 대원칙 병 치료란 부조화를 조화로 바꾸는 데 지나지 않는다. 이 간단한 이치가 병을 낫게 하는 힘이다. 너무 생각을 복잡하게 하면 알수 없다.진리는 단순한 것이다. 인체의 자동시스템이 원활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 최고의 목표 1. 陰(음)과 陽(양)의 조화 陰病陽治(음병양치), .. 건강 관련 201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