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메일 16. 생강 건강메일 16. 생강(生薑) 오늘은 마늘에 대해 쓰려고 했는데 생강에 대한 질문이 있어 생강에 대해 먼저 씁니다. 파, 양파에 이어 마늘을 쓰면 백합과 식물 시리즈가 되는 면도 있어 식상할 수도 있고요. 생강은 열대아시아가 원산이며 다년생 다육덩이 식물입니다. 따듯하고 매우며 독이 .. 건강 메일 2012.11.22
건강메일 15. 양파 건강메일 15. 양파 오늘은 고민없이 쉽게 메일을 씁니다. 왜냐하면 2005년 6월에 이미 보낸바 있는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프랜치패러독스, 이탈리아패러독스, 차이나패러독스에 대해 아십니까? 육류와 몸에 해로운 밀가루음식을 많이 먹는데도 장수하는 이유는 뭘까요? 다들 아시겠지만 그.. 건강 메일 2012.11.13
건강 메일 14. 파 건강 메일 14. 파 약방에 감초가 있다면 채소에는 파가 있습니다. 파는 음식에 맛을 더하는 중요한 채소이면서 대단히 유용한 한약재이기도 합니다. 파의 한자명이 총백인 것은 약용하는 부위가 주로 흰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파에는 뇌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총명한 사람들은 특.. 건강 메일 2012.11.05
건강메일 13. 무 건강메일 13. 무 무는 가장 많이 먹는 채소이면서 요긴한 약재이기도 합니다. 음식 중에서 기를 가장 잘 내려 주는 것이 무입니다. 한약 먹을 때 피해야 하는 음식에 무가 들어가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특히 숙지황이 들어 있는 한약과 무를 같이 먹으면 머리가 희어진다고 하죠. 머리카.. 건강 메일 2012.10.29
건강메일 12. 십전대보탕 건강메일 12 십전대보탕 최근 보약처방에 대한 문의가 많아 메일 주제를 바꾸어 보았습니다. 한의학을 모르는 분들도 십전대보탕은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십전대보탕은 허로를 보하는 대표적인 한약처방이죠. 기를 보하는 처방인 사군자탕과 혈을 보하는 사물탕에 속을 따듯하게 하는 .. 건강 메일 2012.10.20
건강메일 11. 오이 오이는 인도가 원산지이지만 지중해 연안에서 많이 재배됩니다. 중국은 서역에서 삼천년 전에 들여와 호과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통일신라시대 재배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오이는 찬음식의 대표입니다. 게다가 우리가 즐겨 먹는 푸른 오이는 풋오이입니다. 한의학 문헌.. 건강 메일 2012.10.12
건강메일 10. 호박 건강메일 10. 호박 호박을 모르는 사람은 없죠? 그러나 호박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호박의 원산지는 열대아메리카입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조선시대 후반입니다. 따라서 동의보감을 비롯하여 고전 한의학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호박을 보약의 대.. 건강 메일 2012.10.03
건강메일 9. 배추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은 채소하면 아마 배추겠지요. 김치는 우리의 가장 친근한 음식입니다. 그 중심은 단연 배추김치죠. 그런데 배추는 원래 채소가 아니라 한약재로 들어왔다는 것을 아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배추의 한약재 명은 숭채(菘菜)입니다. 고려시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했.. 건강 메일 2012.09.26
건강메일 8. 감자 건강메일 8. 감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한 식물 중 하나가 감자입니다. 감자의 원산지는 안데산맥 고원지대였는데 유럽에 전파된 이후 급속도로 전 세계에 퍼졌습니다. 비타민 C가 많아 땅속의 사과라 불리죠.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820년대이고 고랭지에 맞는 .. 건강 메일 2012.09.10
건강메일 7. 고구마 건강메일 7. 고구마 우리가 늘 접하는 음식 중 원산지가 외국인 경우가 상당수입니다. 대표적으로 고추, 배추,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입니다.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고구마 역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우리가 주로 먹는 것은 뿌리 덩이지만, 잎자루도 .. 건강 메일 2012.08.25